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문학
· ISBN : 9791187506799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2-04-05
책 소개
목차
서문 … 12
도입 … 17
1부 기본 덕목
1. 분별: 헨리 필딩, 《톰 존스의 모험》 … 47
2. 절제: F. 스콧 피츠제럴드,《위대한 개츠비》 … 73
3. 정의: 찰스 디킨스, 《두 도시 이야기》 … 99
4. 용기: 마크 트웨인, 《허클베리 핀의 모험》 … 127
2부 신학적 덕목
5. 믿음: 엔도 슈사쿠, 《침묵》 … 155
6. 소망: 코맥 맥카시, 《로드》 … 179
7. 사랑: 레프 톨스토이, 《이반 일리치의 죽음》 … 207
3부 천국의 덕목
8. 정결: 이디스 워튼, 《이선 프롬》 … 239
9. 부지런함: 존 번연, 《천로역정》 … 265
10. 인내: 제인 오스틴, 《설득》 … 287
11. 친절: 조지 손더스, 〈12월 10일〉 … 307
12. 겸손: 플래너리 오코너, 〈계시〉, 〈오르는 것들은 한데 모인다〉 … 331
감사의 말 … 356
토의용 질문 … 359
주 … 366
옮긴이의 말 … 394
책속에서
▌서문
릴랜드 라이큰
이 서문에서 나는 독자들이 이 책을 읽기 시작할 때 꼭 알아야 할 세 가지를 간단히 소개하는 일을 자임한다. 그 세 가지는 책의 맥락, 내용, 성취와 관련이 있다.
현대의 독자들은 이 책이 대표하는 오래된 문학비평의 전통과 그 전통을 두고 현대에 펼쳐지는 논쟁을 모른 채 이 책을 즐겁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문학이 도덕적 진술을 한다, 그 진술이 독자의 도덕적 삶을 강화할 수 있다, 문학비평은 문학텍스트의 도덕적 차원을 탐구해야 한다, 이런 전제는 고전고대에 시작되었고 20세기 이전까지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생각하는 좋은 문학의 특징은 “도덕감각을 만족시킨다”는 점이었다.
이러한 고전 전통의 기독교 버전은 르네상스 시대의 작가 필립 시드니 경(Sir Philip Sidney)의 논문 《시의 옹호》에서 절정에 이르렀다. 시드니는 문학의 목적이 바로 “정신을 사악함에서 덕으로 이끌어 오는 것”이고 독자 안에 “훌륭한 삶을 살고 싶은 욕구”를 불붙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후 계몽주의 및 근대성과 더불어 서구에서는 도덕 기준에 대한 통일감이 붕괴했다. 결과적으로, 문학이 도덕적 함의를 갖고 독자가 덕스러운 사람이 되도록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생각은 시대에 뒤떨어진 것이 되었다. 도덕이라는 것 자체가 “도덕적인 일은 하고 나면 기분이 좋은 일이요, 부도덕한 일은 하고 나서 기분이 나쁜 일”이라는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경구로 쪼그라들었다. 이런 생각은 그보다 앞선 오스카 와일드의 진술과 맥을 같이 한다. “도덕적인 책이나 부도덕한 책 같은 것은 없다. 잘 쓴 책, 못쓴 책이 있을 뿐이다. 그것이 전부다.”
비범한 문학비평가 F. R. 리비스는 문학을 판단하는 도덕적 기준을 거부하는 이런 흐름에 반발하여 《영국 소설의 위대한 전통The Great Tradition》(1948)이라는 유명한 책을 썼다. 리비스가 옹호한 이 ‘위대한 전통’은 무엇일까? 그것은 도덕적 삶을 묘사하는 위대한 작가들과 작품들로 대표되는 문학 전통이자 문학의 도덕적 차원을 탐구하는 유형의 문학비평이기도 하다. 캐런 스왈로우 프라이어의 이 책은 정확히 이 위대한 전통에 속한다.
이렇게 나는 이 책의 내용을 이미 내비쳤다. 프라이어는 이 책의 이론적 부분에서 자신의 시도에 담긴 윤리적, 문학적 본질을 설명한다. 토의용 질문에 포함된 윤리 이론과 도덕적 사고방식에 대한 입문적 내용은 유쾌한 덤이다. 하지만 이 책의 주요 장르는 문학비평이다. 이 책의 근거가 되는 소위 ‘구식의 좋은 본보기 이론’은 영국 르네상스 시대에 특히나 두드러진 영향을 끼쳤다. 본보기 이론이란, 우리 앞에 본보기―본받을 미덕의 본보기와 거부해야 할 악덕의 본보기―를 제시하는 것이 문학의 본질이라는 생각이다. 우리 시대에 이르러 이런 생각은 의심의 여지없는 “지나치게 단순화된 문학관”이라는 낙인이 찍혀 있다. 여기에 대해 나는 이렇게 응수한다. “말도 안 돼요. 문학이 그렇게 작용한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입니다.” 문학의 이러한 자명한 본질에 대해서 C. S. 루이스가 필립 시드니 경을 염두에 두고 한 말이 떠오른다. “윤리적인 것이 곧 탁월하게 미학적인 것이라는 … 가정은 시드니에게 너무나 기본적인 개념이라서 그는 그것을 별도로 주장하지 않는다. 그는 우리가 그 정도는 알 거라고 생각했다.”
이 책에서 프라이어는 서양 문학의 기념비적 작품들을 선정하여 각 작품에 구현된 미덕 한 가지씩을 탐구한다. 독자가 각 작품들을 프라이어의 방식대로만 활용하고 싶어 할 거라는 주장은 찾아볼 수 없다. 프라이어가 한 도덕 분석의 결과로 덕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높아지고 덕을 실천하고 싶은 마음이 커진다. 오늘날 세속적 문학계와 공립학교 교실에서는 기독교적 도덕에 대한 지속적 공격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책은 그와는 다른 의제를 제시한다. 물론 그 의제는 다름 아닌 위대한 전통으로의 복귀이다.
《소설 읽는 신자에게 생기는 일》은 최고 수준의 성취를 이룬 책으로, 학문적 저작의 전형을 보여준다. 저자의 주장들은 방대한 연구 자료로 뒷받침되어 있고 합당한 출처가 모두 밝혀져 있다. 정교한 사고와 표현은 프라이어의 특별한 재능이다. 독자의 문학적 감상과 도덕적 삶을 향상시킨다는 이 책의 목표는 고결하고, 훌륭한 삶을 바라도록 독자를 이끈다는 필립 시드니 경의 목표와 부합한다.
문학 연구자인 나는 늘 도덕적 문학비평에 다소 거부감이 있었음을 털어놓아야 할 것 같다. 도덕적 문학비평이 도덕주의적 비평이 될까봐 우려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캐런 스왈로우 프라이어는 이런 우려를 처음부터 잠재운다. 그녀는 도덕적 차원이 문학의 한 가지 차원일 뿐이고, 그것이 한 작품의 미학적 형식과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분명히 말한다. 이 책에서 한 작품의 도덕적 관점은 추상적으로 진술되지 않고 텍스트의 구체적 요소들, 특히 캐릭터들을 통해 구현된다. 추가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라.
학자는 자기 분야의 책을 읽을 때 비판적이 되기 마련이다. 그리고 책을 덮을 때 해당 주제를 좀 더 잘 다룰 수 있었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없는 경우가 드물다. 그러나 『잘 읽는 삶』을 읽고 나서 나는 문학에서 덕이라는 주제를 다룬 프라이어의 책에 부족함이 전혀 없고 본질적인 내용이 전부 아름답게 진술되었다는 느낌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