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공학 > 공학 일반
· ISBN : 9791187511236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0-12-18
책 소개
목차
007 책을 펴내며
009 책을 옮기며
011 서문
017 1장. 유휴지와 빗물 관리 그린 인프라
035 2장. 유휴지 활용을 결정하는 도시 역학
061 3장. ‘공터에 활기를’ 계획
103 4장. ‘공터에 활기를’ 실행
145 5장. 도시녹화 프로젝트의 유지 관리
173 6장. 소규모 그린 인프라 네트워크의 확장
205 부록
230 감사의 말
233 찾아보기
책속에서
빗물 관리 그린 인프라의 형식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많은 필지에서 빗물을 수집하여 단일 빗물 관리 기능으로 전송해주는 대규모 프로젝트이고, 다른 하나는 유역이 더 높은 곳에 위치하여 빗물이 떨어지는 곳에 더 가깝게 빗물을 수집하는 소규모 분산 프로젝트이다. … 대규모 설치와 달리, 분산형 빗물 관리 접근 방식은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도시 유휴지를 이용한다. … 분산형 그린 인프라의 장점은 수많은 소규모 프로젝트가 지역 사회 내에서 더 높은 수준의 참여를 제공하여 주민들과 더 많이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한다는 점이다.
도시가 발전한 방식과 그 일부가 철거된 방식은 유휴지의 입지와 형태를 이루어왔다. 역사적 맥락은 도시 녹화 프로젝트의 성공에 영향을 미칠 유휴지의 물리적·사회적 속성을 보여준다. … 한 장소의 역사를 이해하는 것은 지역사회의 참여를 독려하고, 프로젝트 부지를 선정하고 설계 방식을 결정하는 등 유휴지 재사용 전략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첫 단계이다.
장소와 사람에 대한 끈끈한 연결은 실무자들이 지역 사회를 반영하고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한 새로운 위험에 기여하지 않는 도시 녹화 프로젝트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낯선 동네에서 일하는 도시 녹화 및 그린 인프라 실무자에게는 지역의 역사를 이해하고 있고 주민과 프로젝트 팀 간의 격차를 해소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역 담당자를 찾는 것이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