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공학 > 공학 일반
· ISBN : 9791187511229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0-12-17
책 소개
목차
1장.
017 유휴지가 처한 상황
018 유휴지의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 측면
021 유휴지의 정의
025 미국 도시의 유휴지에 관해
032 맥락적인 문제: 세 대도시의 유휴지
038 맺으며
2장.
043 도시와 유휴지: 데이터와 모델
046 미국 도시 내 유휴지의 양
055 미지의 땅: 도시 전략의 이해
060 세 가지 규범과 유휴지
067 맺으며
3장.
071 도시 정책 결정: 토지-세금의 역학 관계
071 조세 당국의 제약과 기회
080 재산세 도시의 전략 행동
086 소비세 도시의 전략 행동
094 소득세 도시의 전략 행동
109 토지-세금 역학 관계의 반영
4장.
115 유휴지의 사회적 가치
117 심상 지도
129 사회적 전략으로서 공지 이용
139 오픈스페이스로서 유휴지
148 맺으며
5장.
155 유휴지의 개발 가능성
156 대도시 권역에서 경제 개발
162 토지 점유
173 유휴지의 재발견과 재활용
180 토지이용의 제약
192 맺으며
6장.
199 유휴지의 전략적 이용
200 유휴지의 공간 모델
202 유휴지를 활용하는 법
211 유휴지의 재활용에 대한 접근
228 유휴지와 전략적 사고
235 부록 A: 방법론
249 부록 B: 현장조사를 진행한 세 대도시 권역의 인구통계·경제·정책 자료
253 부록 C: 유휴지와 버려진 건물에 대한 자료
책속에서
유휴지는 대부분 문제이자 바로잡아야 할 부정적인 공간으로 여겨진다. 이런 암울한 경관을 넘어서 새로운 대안이 요구된다. 부정적인 조건들에도 불구하고 유휴지는 기회의 상징이 될 수 있다. 그런 부지가 지역성과 같은 자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샌프란시스코와 보스턴 같은 도시들의 형성 과정을 보면 이 도시들은 더 많은 유휴지를 만들기 위해 습지를 적극적으로 메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과정이 없었다면 도시의 개발 잠재력은 한계에 부딪쳤을 것이다. 새로운 유휴지가 도시를 더 풍요롭게 만들었다.
유휴지는 유연한 개념이다. 그것은 버려진 공장 지대에 남은 오염된 토양을 의미할 수도 있고, 자연에 남겨진 미개발 지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 모든 도시는 다양한 이유와 조건에서 유휴지를 가지고 있다. 어떤 도시에서 유휴지는 도시가 번영의 정점에서 얼마나 쇠퇴하였는지 보여주는 절망을 상징할 수도 있다. 다른 도시에서는 유휴지가 도시를 확장하고 개발할 수 있는 희망의 상징이기도 하다. 종합적으로 볼 때 유휴지는 도시의 역사를 이야기하며 그들이 어디로 향할지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유휴지는 도시의 무한한 자원이다. 그 빈 공간은 희망을 상징할 수도 있고, 많은 곳에서 그랬듯이 절망을 상징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도시 정책가들은 유휴지에 따라 극대화하거나 최소화하는 선택을 한다. 유휴지는 백지상태의 도시 공간을 재구성할 수 있는 곳이다. 유휴지는 도시의 잠재력을 상징하고 국가의 재정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사회 관계를 반영하고 구성하기 때문이다. … 맥도너의 말을 빌리자면, “유휴지는 비어 있든, 보존되든, 열린 공간이든, 철거된 곳이든, 도시 구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