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공학 > 환경공학
· ISBN : 9791187511434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23-12-05
책 소개
목차
공원주의자
너구리에게
미루나무를 바라보는 법
할머니 조경가
꽃세권
나무를 미워하는 마음
꿀벌이 지키는 도시
잔디밭에 들어가시오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
어린이공원의 딜레마
공원과 도서관
분수를 아는 공원
집 앞, 청와대공원
반려공원
가뭄과 철없음
공원을 얹은 주차장
걷자생존
큰잎나무
경인(京仁)과 경인(敬人)
특급 민원인
햇볕과 그늘
잡초 민주주의
움직이는 의자
학교도 공원이다
수마(水魔)와 헤어질 결심
나무 아래 숨겨진 도시 브랜드
탑골공원에 부는 바람
나무 아래 눕는 소망
공원에서 미술하기
위기를 이기는 텃밭
은행나무와 함께 살 궁리
비움의 힘, 송현동
정원박람회가 바꾸는 도시
녹색치유
‘빌딩, 숲’
재난과 공원
연결의 힘
마로니에 공원의 진화
스마트한 도시 속 아날로그한 공원
반려식물과 겨울 준비
함께
내 맘대로 공원 트렌드
눈 내리는 공원
4차 산업ㅤㅊㅕㄱ명과 만나는 공원
잘 소통할 수 있는 도시
공원과 에너지
정원과 울타리
작가와 정원
새를 위한 도시
빨리 봄을 만나는 법
쓰레기 더미에서 희망의 꽃을
노인을 위한 공원은 없다
평범함의 힘
강을 기억하는 것
목련처럼
시민과학자와 초속 55cm
살구꽃의 실재
식목일(植木日)의 한계
모두를 위한 공원
4월 신록(新祿)의 역설
맨발의 청춘(靑春)
곰배령과 균형
공원이 된 학교들
혁명여걸과 회화나무
심지 않은 나무
정원도시의 완성
여의도공원과 도시의 미래
식물의 정명
연지(蓮池)를 기억하는 이유
큰 나무 같은 사람, 김종철
안양천의 거듭된 별신
포용성 있는 공원과 놀이터
장마와 울음
공원의 추억
뿌리 깊은 도시
오목공원과 회랑(回廊)
목동 그린웨이(Greenway)
산불과 기후감수성
슬기로운 공원생활
저자소개
책속에서
국립공원이든 도립공원이든 도시공원이든 우리가 산이라 부르는 대부분은 공원이다. 경복궁, 덕수궁, 창덕궁 등 모든 궁궐도 공원이다. 한강도 중랑천도 안양천도 양재천도 영락없이 공원이다. (...) 산과 숲과 공원과 정원이 모두 한 부류고, 공원주의자의 눈엔 모두 공원이다.
“어제 세차했는데...” 갑자기 비가 쏟아지면 최근 세차했던 친구들의 탄식이 SNS에 쏟아진다. 공감과 위로보다 엉뚱한 생각이 든다. ‘비를 맞는 주차장이 있다니 햇볕도 좋겠군. 그렇다면 그 땅에 나무를 심어야지!’ 공원주의자 입장에서 햇볕을 쬐는 주차장처럼 세상 아까운 공간이 없다. 햇볕은 자연과 사람이 쐬고 자동차는 지하로 넣어야 한다.
자연재해 등 재난에 맞서는 공원의 역할은 역사가 깊다. 특히, 지진이 많은 일본은 방재공원 개념이 강한데, 비상시 피난 및 구호 활동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데다 녹지 자체가 대형 화재 확산의 방지벽이자 산사태, 해일 등에 대한 완충 공간이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