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원만 정도 광명 2

대원만 정도 광명 2

(티베트 불교 닝마파)

츠총로주 캔포 (강설), 지엄 (편역)
문진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200원
19,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대원만 정도 광명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원만 정도 광명 2 (티베트 불교 닝마파)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티베트 불교 > 티베트 불교 일반
· ISBN : 9791187638865
· 쪽수 : 586쪽
· 출판일 : 2023-02-28

책 소개

십여 년 동안 중국 및 동남아시아의 밀교 수행자와 신도들을 대상으로 중국어로 법문하신 내용을 제자들이 녹음하고 정리하여 8권의 법문집으로 편집하여 『혜등지광』의 제목으로 출간한 책을 번역하여 재구성한 책이다.

목차

Ⅰ. 『삼주요도론』 강해
1. 종합하여 서술함
2. 논의 뜻
1) 서언
2) 출리심 - 윤회를 벗는 입문
3) 보리심 - 대승의 영혼
4) 공성을 증오함 - 최종적인 출로出路
5) 결론

Ⅱ. 사법인의 견해와 수행법 (1)
1. 사법인四法印의 필요성
2. 사법인의 견해
제행무상
1) 바깥무상
2) 내면무상
3) 무상을 부지런히 수행하고 항상의 집착을 멀리 여읨

Ⅲ. 사법인의 견해와 수행법 (2)
유루개고
1) 종합적으로 서술함
2) 분류
3) 사상을 바로 하고 극단을 제거함

Ⅳ. 사법인의 견해와 수행법 (3)
제법무아 (상)
1) 종합적으로 서술함
2) 인무아
3) 법무아
4) 찾지 못함과 찾을 존재가 없음의 구별

Ⅴ. 사법인의 견해와 수행법 (4)
제법무아 (하)
1) 종합적으로 서술함
2) 어떻게 무아를 채택하는가?
(1) 이일이인 離一異因
① 물질을 관찰함
② 정신을 관찰함
(2) 대연기인 大緣起因
3) 맺는말
열반적정

Ⅵ. 사법인의 견해와 수행법 (5)
3. 사법인의 수행법
공성의 수행법
1) 미리 준비함
2) 정행
(1) 색즉시공의 수행법
① 인무아의 수행법
② 법무아의 수행법
③ 공성을 증오하는 표준
④ 기타 요점

Ⅶ. 사법인의 견해와 수행법 (6)
(2) 수受가 곧 공空인 수행법
(3) 상즉시공想卽是空의 수행법
(4) 행즉시공行卽是空의 수행법
(5) 식즉시공識卽是空의 수행법
3) 공성을 수행하고 아집을 끊어 제거함

Ⅷ. 사법인의 견해와 수행법 (7)
제행무상의 수행법
유루개고有漏皆苦의 수행법
무아의 수행법

Ⅸ. 『수심팔송』

Ⅹ. 중생을 이익 주는 9개의 관찰
1. 관찰의 필요성
2. 관찰의 방법
1) 제1의 관찰
2) 제2의 관찰
3) 제3의 관찰
4) 제4의 관찰
5) 제5의 관찰
6) 제6의 관찰
7) 제7의 관찰
(1) 재보시
(2) 신체의 보시
(3) 법보시
(4) 무외보시
8) 제8의 관찰
9) 제9의 관찰
3. 결론

ⅩⅠ. 티베트 불교의 간략한 소개
1. 티베트 불교의 명칭
2. 티베트 불교와 중국 불교의 같고 다른 점
3. 티베트 불교의 분류
1) 닝마파
(1) 개황
(2) 닝마파 교법의 전파 경로
(3) 닝마파의 특별한 수승 법문 - 대원만
2) 샤카파
3) 까규파
4) 겔룩파
5) 죠낭파
6) 시제파
4. 티베트 불교의 특성
5. 의심을 해석함

ⅩⅡ. 현교와 밀교의 같고 다름
1. 서로 같은 점
2. 같지 않은 점
1) 세속제와 승의제의 같고 다름
2) 모든 법은 붓다의 탄청임
3) 공성 수행법의 차별
4) 번뇌가 곧 보리임
5) 제법의 본래는 곧 부처님
3. 결론

ⅩⅢ. 흑사총의
1. 작자의 간단한 소개
2. 정론을 펴서 강의함
1) 제1의 사람
2) 제2의 사람
3) 제3의 사람
4) 제4의 사람
(1) 내밀교의 특성
(2) 의심을 해석함
(3) 현재 존재하는 문제
5) 제5의 사람

ⅩⅣ. 금강살타 수행법
1. 수행법의 요구와 필요
2. 구체적인 수행법
1) 전행
2) 사종대치력
(1) 의지대치력
(2) 파악대치력
(3) 회복대치력
(4) 현행대치력
3) 결행
3. 수행법의 공덕

저자소개

지엄 (편역)    정보 더보기
1956년 전북 김제 출생. 19세에 구례 화엄사에 종견화상을 은사로 입산 출가하여, 월하 화상을 계사로 비구계를 수지하고 화엄사 강원을 졸업하였다. 봉암사 등에서 14안거를 성만하였으며, 화엄사 강원 강주, 운암사 도감을 역임하였다. 1995년 중국에 유학, 남경대학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사천성 오명불학원에서도 수학하였으며, 해인사 승가대 교수로 재직하였다. 『입보살행론광석』, 『입보리행론 강해』, 『대원만수행요결』, 『불자행 37송 강설』, 『친우서』, 『입중론강해』, 『대원만정도광명』, 『정해보등론강의』 등을 번역하였다. 중국 유학중이던 1999년 운명적으로 만난 대성취자 연용상사를 근본스승으로 모시고 수행하며 전법을 받았으며, 현재는 서울 미륵정사에서 법을 펼치고 있다.
펼치기
츠총로주 캔포 (강설)    정보 더보기
1962년 중국 사천성 간쯔장족자치주 루훠현 출생. 1984년 사천성 써다현 오명불학원에서 출가하여, 당대 티베트 불교 닝마파의 대성취자이신 진매이펑춰 법왕을 근본스승으로 모시고 경학과 수행을 병행하였고, 오랜 시간 동안 각고의 노력 끝에 현교의 5부대론과 밀교의 속부에 모두 정통하여 캔포의 지위를 받고, 선을 수행하여 성취를 얻어 법왕으로부터 인가를 받았다. 오명불학원에서 20여년 넘게 교학을 담당하면서, 90년대부터 싱가폴, 말레이시아, 중국, 대만 등에서 전통적인 교학과 현대의 과학, 철학을 통섭하여 현대인에게 적합한 방식으로 불법을 전하고 있다. 저서로는 『츠총로주 캔포 전집 4권』, 『윤회 이야기』, 『티베트 불교의 신묘한 비밀 강설』, 『불교, 미신 or 지신智信』, 『티벳어-중국어-영어 불교용어 사전』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