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티베트 불교 > 티베트 불교 일반
· ISBN : 9791187638889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23-05-12
책 소개
목차
『수심칠요』 이전耳傳 약석
Ⅰ. 『수심칠요』를 간략히 해석함
1. 예비수행법을 설함
2. 정행의 보리심을 수행함
1) 승의보리심을 수행함
(1) 예비수행
(2) 본수행
(3) 결행
2) 세속보리심을 수행함
(1) 입정
① 수행 환경을 선택함
② 자타상환의 먼저 해결해야 할 조건
③ 자타상환의 공덕
④ 자타상환의 수행법
⑤ 결어
(2) 출정 - 정定에서 나옴
3. 악연을 돌려서 보리도로 사용함
1) 악연을 돌려 보리도로 삼는 사유思惟
(1) 세속보리심으로 악연을 돌려 보리도로 삼음
① ‘애아집愛我執’의 과실을 사유함
② ‘애타집愛他執’의 공덕을 사유함
(2) 승의보리심으로 악연을 돌려 보리도로 삼음
2) 악연을 돌려 보리도로 사용하는 행위로 삼음
(1) 자량을 쌓음
(2) 죄장을 청정하게 함
(3) 마귀에게 보시함
(4) 호법에게 공양함
4. 평생의 수행을 결론 지음
1) 생전수행법의 오력
제1력 - 인발력引發力
제2력 - 관습력串習力
제3력 - 선종력善種力
제4력 - 파척력破斥力
제5력 - 원력
2) 중음수행법의 오력
제1력 - 선종력
제2력 - 원력
제3력 - 파제력
제4력 - 인발력
제5력 - 관습력
5. 마음을 원만하게 수행하는 표준
제1의 표준
제2의 표준
제3의 표준
제4의 표준
6. 마음을 닦는 16가지 서언
7. 마음을 닦는 21가지 학처
Ⅱ. 밀종 개요
1. ‘밀종’의 문자상의 뜻
2. 밀종의 견해
1) 현교와 밀교의 견해의 차이
2) 밀종의 이제
3) 현종경전의 인증
4) 밀종 견해의 수승한 점
5) 밀종의 견해를 어떻게 생기게 하는가?
3. 밀종의 정세속제正世俗諦
- 만법이 다 붓다의 만달라 법계임
1) 논점
2) 부분적인 증거
3) 적정본존 만달라
(1) 보현왕여래 불부·불모
(2) 오부불
(3) 십육대보살
(4) 육도 도사
(5) 문을 지키는 여덟 분의 분노금강
4) 분노본존 만달라
(1) 총설
(2) 분노 5불
(3) 8처모八處母
(4) 8경모八境母
(5) 4수문모四守門母
(6) 28존 자재모
5) 만달라에 관한 의심을 해결함
6) 만달라의 분류
7) 만달라의 위치
8) 제3 전법륜 중의 만달라
9) 만달라의 본존 수량
10) 만달라의 요의와 불요의의 나눔
11) 가장 요의의 만달라인 승의제
12) 만달라를 현전하게 하는 방법
4. 중음의 현상
5. 서방 심리학자의 『중음문해탈』의 평가
6. 정리가 아닌 논을 해부함
7. 현대에 밀교를 배우는 자의 몇 가지 문제
Ⅲ. 금강승의 명칭 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