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이산](/img_thumb2/9791187700661.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87700661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2-03-18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1부 월남민의 탄생
1장 이산
북쪽에서 남쪽으로 / 교차하는 이방인
2장 이주와 정착
새로운 신분을 얻다 / 선택의 기로에서 신념의 세계로
3장 정체성
사회변동과 자기결정성 / 변화하는 정체성
2부 조국방문의 자화상
4장 이산가족과 평양의 해외동포 정책
남북대화와 이산가족 / 로동당의 해외동포 정책
5장 조국방문
월북자와 납북자의 유산 / 주체와 인민의 자화상 / 조국방문, 그 이후
6장 만남과 접촉
‘북한주민접촉’ / 만남 그 이상의 편지
3부 평화와 분단사회
7장 『뉴코리아타임스』
전충림과 전순영 그리고 토론토 한인연합교회 / 해외동포 이산가족찾기회 활동
8장 금단의 선을 넘다
평양과 토론토의 협력 / 자신을 증명하다 / 반공의 우상을 허물다
9장 분단사회의 평화통일운동
평화와 분단사회의 재구성 / 월남민과 북미주 평화통일운동
4부 월남 지식인의 근대 초상
10장 문학평론가 김우종
참여문학: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보다 / 인본주의자의 사상과 문학세계
11장 법률가 김태청
일본 제국주의 교육과 자주성 / 법에 따른 통치와 시민의 주권성
12장 기독교 통일운동가 유태영
보수 종교인에서 반미주의자로 / 신앙과 통일운동의 전선에서
13장 기업가 오동선
이북에서 느낀 자아상실감 / 자기 존재의 의무와 경제발전의 소명
나가며 / 감사의 말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월남민에게 38선이나 전선을 지나 남쪽으로 향하는 것은 ‘상대세계’로 들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다르게 표현하면 세계를 인식하는 ‘기준선의 변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환경의 변화에 따라 관점과 사고의 체계를 이루는 기준이 달라짐을 의미한다. 행위와 인식의 기준은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언제나 변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기준선의 변동은 자기 자신과 세계를 이해하고 사고의 체계를 이루는 관점이나 가치관이 변하는 것을 표현하는 서술적 개념이다.
북미주 지역으로 이주한 월남민 중에서 반공주의를 맹신하는 경우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북한을 공산주의 사회라고 비판하며 철저한 반공주의자로 사는 것이다. (중략) 1939년 황해도 풍천면 출신으로 전쟁 때 월남한 임요한은 뉴욕에 거주하는 목사인데 평양에 대해 매우 부정적이다. 그는 “군화”와 “예비군복을 싸들고” 이민 왔다. 왜냐하면 “만약에 대한민국에 인민군이 또 쳐들어온다면” 참전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북에도 가고 싶고 ‘조국방문’을 할 수도 있었지만 스스로 반공주의자를 자처하며 끝내 고향 땅을 밟지 않았다.
월남민뿐만 아니라 월북민의 가족도 이산가족찾기회에 기대를 걸고 있었다. 남한에서 북한으로 간 사람들의 가족이 겪는 ‘국가보안법’의 공포를 감안한다면, 그들의 행보는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이산가족찾기회는 남한과 북한 정부 사이의 관계와 이데올로기를 넘어선 인도적 관점에서 월북자의 이산가족에게도 교류의 물꼬를 텄다. 그들의 활동은 북미주 한인의 민주화운동과 통일운동, 북한과의 교류협력에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 해외동포들이 추진하는 평화통일운동의 디딤돌이 되었고, 중요한 변화는 평양으로 하여금 이산가족들의 만남을 제도 영역으로 받아들이게 한 데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