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자책] 국치를 잊지 말라

[큰글자책] 국치를 잊지 말라

(역사적 기억으로 본 중국의 정치와 외교)

왕정 (지은이), 피경훈 (옮긴이)
여문책
4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7,000원 -0% 0원
1,410원
45,5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자책] 국치를 잊지 말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자책] 국치를 잊지 말라 (역사적 기억으로 본 중국의 정치와 외교)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중국
· ISBN : 9791187700890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25-01-03

책 소개

대중에 대한 중국공산당의 이데올로기적 재교육을 치밀하게 추적하고 분석하면서, 그러한 재교육이 중국을 끊임없이 19세기와 20세기 초 제국주의 세력에 괴롭힘을 당한 ‘100년의 치욕’의 희생자로 묘사해왔음을 밝힌다. 나아가 그는 포스트 톈안먼 시대와 포스트 냉전 시대 중국의 정치적 변화, 인민의 감정, 국제관계 속의 행동방식을 해독하기 위해 역사적 기억을 활용한다.

목차

한국 독자 여러분께
옮긴이 해제

들어가며
서문

1장 역사적 기억, 정체성, 정치
2장 선택된 영광, 선택된 트라우마
3장 ‘천하’에서 국민국가로: 민족적 치욕과 국가 건설
4장 승리자에서 희생자로: 애국주의 교육 운동
5장 전위에서 애국자로: 중국공산당의 재구축
6장 지진에서 올림픽으로: 새로운 트라우마, 새로운 영광
7장 기억, 위기, 대외관계
8장 기억, 교과서, 중일관계 회복
9장 기억, 민족주의, 중국의 굴기

감사의 글
미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왕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윈난雲南 성 쿤밍昆明 출신으로 베이징 대학 대학원을 수료한 후 미국 조지메이슨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미국 세턴홀 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을 가르치고 있다. 세부 연구 분야는 정체성 기반 충돌identity-based conflicts, 동아시아 지역의 평화와 충돌, 중국의 대외관계 등이며, 주요 연구 성과로는 『국치를 잊지 말라』(Columbia University, 2012)를 포함해 『기억, 정치, 정체성, 충돌: 역사적 기억이라는 변수Memory Politics, Identity and Conflict: Historical as a Variable』(Palgrave Macmillan, 2018) 등이 있다. 『국치를 잊지 말라』는 2013년 국제관계연구회International Studies Association에서 수여하는 ‘올해의 책Book of the Year Award’에 선정되었다.
펼치기
피경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학부와 석사를 마치고 중국 베이징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립목포대학교 중국언어와 문화학과 부교수로 있다. ‘문화대혁명과 사회주의적 주체성의 문제’, ‘중국의 제국 담론’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해방으로서의 과학」, 「주체와 유토피아」, 「문화대혁명의 종결을 어떻게 재사유할 것인가」, 「계몽의 우회」, 「1920년대 마오쩌둥의 계급 개념에 관하여」 등이 있고, 지은 책으로 『혁명과 이행』(공저), 『중국 지식의 시공간과 탈경계』(공저), 옮긴 책으로 『상하이학파 문화연구』, 『계몽의 자아와해』, 『마르크스로 돌아가다』(이상 공역), 『비판철학의 비판』, 『마오쩌둥을 다시 생각한다』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역사적 기억은 특정한 학문적 구분 기준에 딱 들어맞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본격적으로 연구되지 못한 영역으로 남아 있다. 역사적 기억이라는 주제 자체와 그 함의가 여러 영역에 걸쳐 흩어져 있는 관계로 그것을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세밀하게 따져보려는 학자가 거의 없는 것이다. 국제관계를 연구하는 학자로서 나는 역사학자‧인류학자‧사회학자 혹은 심리학자와는 다른 방식으로 연구하는 것을 택했다. 내가 역사적 기억이라는 개념을 연구하는 것은 중국 인민들이 자신들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를 이해하지 못하면 그들의 민족적 관심사를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민족적 관심사라는 것은 외교정책에 관한 그 어떠한 논의에서도 근본적인 초석이며, 역사적 기억은 종족성과 민족적 정체성을 구축하는 주된 ‘1차 자료’다.


오늘날 사람들이 장쩌민의 유산을 이야기할 때 그들은 주로 경제개혁과 외교정책에 초점을 맞춘다. 하지만 장쩌민이 시작한 또 다른 주요 개혁에는 (미디어 혹은 학자들 모두) 별다른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그것은 바로 중국공산당을 혁명 정당에서 민족 정당으로 바꾼 조용한 혁명이다. 이러한 개혁에 있어 장쩌민은 공산주의와 사회주의를 대체하기 위해 중국의 새로운 이데올로기로서 민족주의와 애국주의를 활용했다.


역사 교과서는 민족 서사를 구축하고 재생산하는 주요 구성 요소로 여겨져왔다. 역사 교육은 단순히 역사에 관한 여러 ‘학술적 관점’을 전달하는 것만이 아닐뿐더러 정치적 영향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도 없다. 중국‧한국‧일본이 자국의 교육 체제 안에서 어떻게 역사적 쟁점들을 다루어왔는지를 살펴보면 상당히 불편한 메시지를 포착할 수 있다. 이 세 나라에서 역사 교과서와 역사 교육은 자브리가 묘사한 것과 동일한 배타주의적 담론의 자원이 되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