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 지식의 시공간과 탈경계

중국 지식의 시공간과 탈경계

박영순, 김진우, 서상민, 윤지원, 박철현, 최은진, 은종학, 피경훈, 박남용, 김하늬, 이광수, 김주아 (지은이)
학고방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1,750원
33,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5,000원 -10% 1750원 29,750원 >

책 이미지

중국 지식의 시공간과 탈경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 지식의 시공간과 탈경계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91169953689
· 쪽수 : 394쪽
· 출판일 : 2023-06-30

책 소개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총서 15권. 시간과 공간을 넘나들며 이를 관통하고 있는 중국지식의 원리와 특징을 발견하는 책이다. 시간을 따라 나누어졌다 다시 모이는 중국지식의 진화와 생동을 볼 수 있으며, 공간을 넘나들며 생산되는 중국지식의 탈경계성을 관찰할 수 있다.

목차

제1부 중국 지식사회의 갈라짐 그리고 경계넘기

시대적 분기(分岐)의 문사(文社) 활동과 지식형성: 복사(復社)의 고학(古學) 부흥과 경세(經世) 사조를 중심으로
I 박영순 21

새로운 자료, 새로운 방법론, 중국고대사 연구의 진전: 2020~2021년 연구 동향과 과제
I 김진우 65

중국학계의 지식생산과 네트워크분석
I 서상민 111

지식권력의 해체와 노자의 정치사상
I 윤지원 141

개혁기 중국의 사상정치공작과 비공유제(非公有制) 기업
I 박철현 163

레이페이홍(雷沛鴻)과 민국시기 광시성(廣西省) 근대 교육의 분기(分岐)와 확장
I 최은진 181

제2부 중국 지식 공간의 확장과 새로운 공간 창출

한–중 과학기술 지식교류의 한계와 새로운 지향
I 은종학 219

‘유가(儒家)’와 ‘사회주의’는 결합할 수 있는가?
I 피경훈 245

중국 SF소설의 과학기술과 문학적 상상
I 박남용 273

청초(淸初) 강남 지식인 사(詞)의 현실 인식과 비애 표현: 진유숭(陳維崧) 「만강홍(滿江紅)」 사(詞)를 중심으로
I 김하늬 299

지식 소통 공간으로서 대만 소셜미디어
I 이광수 337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중국어 교육: 변화하는 중국어 보급정책과 전망
I 김주아 355

저자소개

은종학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중국학부(중국정경전공) 교수.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고(경제학사, 심리학 부전공),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중국학을 전공했으며(경제학 석사), 대한민국 국비유학생으로 선발되어 중국 청화대학(??大?)에 유학했다. 청화대학 박사과정을 최우수 졸업하며 청화대학 영예칭호를 받았고, 기술경제경영학으로 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싱가포르국립대학 방문학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팀 부연구위원, LG경제연구원 중국팀 선임연구원, 중앙일보 기자를 역임했다. 혁신 관련 세계 최고의 학술지인 Research Policy에 중국 교판기업에 관한 선구적인 논문을 게재해 국제 학술지에 300여 차례 인용된 바 있으며, 그 외에도 SSCI 및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Routledge, Edward Elgar 등에서 출간한 전문서에 중국 관련 논문을 다수 발표했다.
펼치기
김진우 (감수)    정보 더보기
중국고대사 전공, 현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연구교수,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방문학자, 고려대학교 사학과 BK21 연구교수, 한국국학진흥원 전임연구원 등 역임 논저 『동아시아 고대 효의 탄생』(평사리, 2021), 『중국의 지역문명 만들기와 역사 고고학 자료 이용사례 분석』(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08) 등 「잊혀진 기억, 사라진 역사들, 그리고 각인된 하나의 역사」(『중국고중세사연구』59, 2021), 「중국 고대 도량형과 수량사의 변화 과정」(『木簡과 文字』24, 2020), 「새로 나온 山東 靑島 土山屯 上計文 書類 漢牘」(『木簡과 文字』23, 2019), 「진·한초 국가권력의 ‘田制’―新출토자료의 田律을 중심으로」(『중국고중세사연구』52, 2019), 「중국고대의 新출토자료와 사마천 연구-『장가산한간』이년율령·사율을 중심으로-」(『史叢』97, 2019) 등
펼치기
피경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학부와 석사를 마치고 중국 베이징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립목포대학교 중국언어와 문화학과 부교수로 있다. ‘문화대혁명과 사회주의적 주체성의 문제’, ‘중국의 제국 담론’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해방으로서의 과학」, 「주체와 유토피아」, 「문화대혁명의 종결을 어떻게 재사유할 것인가」, 「계몽의 우회」, 「1920년대 마오쩌둥의 계급 개념에 관하여」 등이 있고, 지은 책으로 『혁명과 이행』(공저), 『중국 지식의 시공간과 탈경계』(공저), 옮긴 책으로 『상하이학파 문화연구』, 『계몽의 자아와해』, 『마르크스로 돌아가다』(이상 공역), 『비판철학의 비판』, 『마오쩌둥을 다시 생각한다』가 있다.
펼치기
박철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HK연구교수. 중국 동북東北지역, 국유기업, 노동자, 역사적 사회주의, 만주국, 동아시아 근대국가, 기층 거버넌스, 도시 등에 관심이 있다. 지은 책으로 《도시로 읽는 현대 중국 1, 2》(편저), 《특구: 국가의 영토성과 동아시아의 예외공간》(공저), 《세계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중국 동북지역의 전형단위제와 ‘창판대집체기업’〉, 〈초국경도시 훈춘 변화의 중국적 요인 (신)동북현상과 지린성 ‘삼화삼동’ 전략〉, 〈다큐멘터리 다싼샤大三峽와 현대 중국의 하이모더니즘〉 등이 있다.
펼치기
박철현의 다른 책 >
박남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네르바 교양대학 조교수이다. 최근 주로 중국 현당대시, 대만?홍콩?마카오 현대시, 동남아 화인화문시, 중국인 디아스포라 시문학, 중국소수민족과 대만 원주민 문학, 중국 현대 여성시, 한중 비교문학 등을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김하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이다. 최근 명청 교체기 시가詩歌와 청대 사詞문학의 발전 흐름을 통해 중국 강남江南 지식인의 정체성 변화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9956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