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슬픔의 사회학

슬픔의 사회학

(슬픔의 미학과 치유)

우정 (지은이)
도서출판 JMG(자료원·메세나·그래그래)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10% 0원
950원
16,150원 >
17,1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710원
15,3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3개 1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슬픔의 사회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슬픔의 사회학 (슬픔의 미학과 치유)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87715146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3-11-10

책 소개

우리 사회가 왜 ‘슬픈 사회인가?’를 주제로 삼아 현시대 사람들의 개인적 사회적 슬픔에 대한 배경 및 사회적 죽음들에 대해 살펴보는 데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목차

■ 들어가는 말 : 우리는 어떤 사회에서 살고 있는가? / 5

제1장 슬픔의 의미 : 슬픔이란 무엇인가? / 25
1-1. 슬픔의 철학: 철학에 필요한 슬픔 / 26
존재론적 슬픔 / 27
슬픔과 사회문제 / 35
치유과정으로써의 슬픔 / 39
1-2. 슬픔의 의미: 슬픔이란 무엇인가? / 43
슬퍼하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44
생멸변화(生滅變化) 속의 슬픔 / 51
존재의 슬픔은 어디까지? / 54
1-3. 애도하는 인간: 눈물로 살아가는 사람들 / 62
슬픔은 어떻게, 어디서부터 오는가? / 63
슬픔의 정서적 층위 / 67
슬픔과 우울증의 관계 / 75

제2장 슬픔의 유형과 사회적 재생산구조 / 83
2-1. 슬픔은 어떤 모양으로 오는가? / 84
다양한 슬픔: 나의 슬픔 들여다보기 / 85
슬픔의 언어는 어떻게 표현되는가? / 92
슬픈 경험에 대한 차이 / 98
2-2. 역사적 슬픔의 실제: 박탈된 슬픔의 역사 / 104
슬픔에 대한 역사적 증언과 그 흔적들 / 105
일제에 의한 박탈된 슬픔 / 114
남북분단의 슬픔: 이산가족의 슬픔 / 122
대형사고로 인한 죽음과 슬픔 / 129
슬픔이 정치 사회 속으로 / 136
2-3. 슬픔의 사회학: 왜 슬픈 사회인가? /144
왜 슬픈 사회인가? / 145
사회적 존재로서의 슬픔 / 152
슬픔의 사회적 재생산구조 / 156
갈등사회, 피로사회, 분노사회로부터 슬픈사회로 / 161

제3장 생애과정에서의 슬픔 /169
3-1. 젊은이들의 슬픔 / 170
어항 속의 물고기 같은 존재들 / 171
청춘이니까 슬프다? / 177
청장년층의 사회적 욕구 해결은 어려운가? /181
3-2. 배우자 사별과 슬픔 / 187
배우자 사별 후의 심리적 반응은 복잡하다 /189
배우자 사별 후 삶의 재구성 /196
새로운 출발로서의 연애와 재혼 / 202
3-3. 노년기의 슬픔에 대하여 / 208
노년기 슬픔이란 무엇인가? / 209
슬픔이 노년기 삶에 미치는 영향 / 213
노년기 슬픔에 대처하기 / 218

제4장 슬픔과 눈물의 생리학 / 223
4-1. 슬픔과 눈물의 생리학 / 224
눈물은 무엇이고 왜 흘리는가? / 225
생물물리학적 반응으로서의 눈물 / 231
남성의 눈물, 여성의 눈물: 과연 여성이 남성보다 더 울까? / 234
4-2. 슬픔에 가치 부여하기 / 240
문학예술에서의 슬픔과 눈물 / 241
암 병동의 슬픔과 절규 / 252
종교가 슬픔에 미치는 영향 / 258

제5장 슬픔의 극복과 치유를 위한 미학 / 267
5-1. 슬픔과 기쁨, 그리고 욕망 / 268
슬픔과 기쁨의 관계를 어떻게 볼까? / 269
슬픔과 행복은 같이 있다 / 273
슬픔의 극복과 치유를 위한 미학 / 278
5-2. 슬픔에서 기쁨으로 / 287
슬픔과 눈물의 순기능 / 288
슬픔에서 깨어나기 / 293
지금은 슬픔에서 기쁨으로 되돌아가야 할 시간 / 297
5-3. 슬픔 극복을 위한 관리와 치유 / 303
슬픔 극복을 위한 치유는 어떻게 / 304
슬픔 극복을 위한 사회적 차원의 치유 / 309
슬픔 극복을 위한 개인적 차원의 대처 / 314

에필로그 / 322

참고자료 / 329

저자소개

우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회학 박사. 전, 국가정보대학원 교수. 황해도 연백에서 태어나 6.25 전쟁과 피난 생활, 산업화 민주화를 목격하며 70평생을 살아왔다. 현대노년사회포럼 대표 및 자유기고가로 활동하고 있다.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국가정보대학원 교수, 한양대 겸임교수, 미국 유타대학 사회과학대학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은퇴 후는 하고 싶은 일만 한다는 집념 속에 제주에 칩거하며 노년의 문제를 다루는 노년사회학에 관심을 갖고 있다. 성공적인 노화와 관련된 이론과 방법론을, 그리고 건강을 돌보는 걷기. 숲철학에 대한 글쓰기와 강의로 일상을 보내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걷기의 유혹》(2020), 《휴미락의 탄생: 쉬고(休), 먹고(味), 즐김(樂)의 인문학 수업』(2020), 《죽음의 인문학적 이해》(2018), 《인문학에 노년의 길을 묻다》(2015), 《북한 사회의 성과 권력》(2012), 《9988의 꿈과 자전거 원리》(2010), 《정보소비의 이해》(2009), 《정보경영론》(2008), 《북한사회구성론》(2000), 《분단시대의 민족주의》(1996) 등이 있다. 기타 블로그로 『네이버: 우정의 어모털 세상 읽기』를 통해 노년사회의 문제, 경험적인 걷기 철학, 숲과 야생의 위로를 폭넓게 소개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슬픔은 외로울 때 오는 경향이 있다. 외로움은 힘겨운 시련일 수 있다. 슬퍼하는 것은 사회적 과정이지만 우리 개인 각자의 생활 태도에 따라 다르다. 산업화 도시화 글로벌화 과정에서 풍요 속에 슬픔은 비례한다. 경쟁사회 속에서 인간관계의 분화에 의한 슬픔은 더욱 확대되고 있다. 물론 슬픔을 모르고 사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슬픔을 느끼는 사람이 더 인간적이다. 기쁨보다는 슬픔의 눈물을 흘리는 시간이 길다. 슬픔을 느끼는 시간이 길어지면 영혼이 아프고 무감각해짐은 물론이다.
게다가 인간이 세상을 보는 관점은 자기 세계관에서 어떤 의미를 부여하느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 슬픔 역시 개인 차원에서 자기 자신을 이해할 수 있는 도구가 된다. 같은 맥락에서 제각각 자신에게 필요한 만큼의 충분한 눈물을 흘릴 때 그 슬픔이 해소될 수 있다. 슬픔은 저마다 겪는 깊은 절망감, 자기비하, 우울증과 관련돼 있으므로 그 해소방법 역시 개인적이다. 슬픔이 심하면 뇌 기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질병 치료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Kristen, et al, 2020).
일반적으로 슬픔을 극복하는 데는 개인적인 방식과 시간이 필요하다. 슬픔의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치유속도는 점진적으로 진행된다. 어떤 힘으로도 혹은 자기 스스로 빨리 회복되지 않는다. 더구나 슬픔을 치유하는 정상적인 시간 계획은 없다. 어떤 사람은 1주일 내로 회복되기도 하고 어떤 사람은 1개월 아니 그 이상 몇 년이 걸리기도 한다. 문제는 자신이 슬픔의 고통을 인식하고 자연적으로 서서히 치유 회복되도록 노력할 뿐이다.
또 내가 왜 슬프고 행복하지 않은가의 문제는 결국 사회문제와 연결된다. 개인 차원에서 사회 차원으로의 행복 찾기가 진정한 삶의 회복이다. 슬픔을 줄이기 위해서가 아니라 슬픔을 충분히, 그러나 슬픔을 극복하여 병적인 상태로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스로의 해결책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Davis, 2015).
따라서 진정한 해법은 못되지만 간단한 해결책이 있다. 나중에야 깨달을 때가 많지만 고통이 극단적이더라도 생존하는 방법은 있게 마련이다. 진짜 실패는 쓰러진 뒤에 일어나지 않고 주저앉는 태도다. 눈물을 흘리면서도 살아야 한다는 의지가 우선이다. 만약에 무엇을 추진하다가 실패하고 쓰러지더라도 다시 일어서는 용기가 진정한 삶이 아닐까 싶다. 야구에서 희생 플라이는 누가 봐도 아름다운데 말이다. 기쁨을 만들며 슬픔을 멀리 내보낼 수 있는 방법을 앞에서도 기술했지만 슬픔을 어떻게 견딜 것인지를 다시 요약해 보자.

∙ 슬퍼질 때는 많이 울어라.
상실을 충분히 슬퍼한다. 마음의 상처가 클 때는 남을 의식하지 말고 눈물을 흘려라. 사람들은 제각각 자신에게 필요한 만큼의 충분한 슬픔의 눈물을 흘려야 한다. 눈물을 흘리면 스트레스 호르몬인 카테콜라민(Catecholamine)이 밖으로 배출돼 울고 나면 개운하고 마음이 진정된다.

∙ 주어진 현실 속에서 삶의 균형을 이루는 일이다.
고통에서 완전히 눈물을 흘리면서도 살아야 한다는 의지에서 벗어날 수 있는 사람은 이 세상에 한 사람도 없다. 고통은 우리 삶의 일부분이다. 따라서 가능한 슬픔에서 벗어나 균형을 잡는 데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중용(中庸)을 지키는 것이다.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지나치거나 모자람이 없는 것이 중(中)이다. 행복한 생활은 결핍의 수준과 과잉의 극단 사이에서 찾아야 한다는 뜻이다.

∙ 당신의 슬픈 원인을 이해하고 대처하는 일이다.
만 가지 슬픔 중에서도 예기치 않은 슬픔에 대처하는 일이 제일 중요하다. 예상됐던 슬픔은 그렇게 문제되지 않는다. 예상되었던 슬픔은 위험의 인지, 인과관계의 이해가 가능하고 스스로 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갑작스런 상실 혹은 치명적인 실패로 인한 슬픈 감정은 심리적 충격과 신체적 마비, 절망 고통, 분노로 이어질 수 있다. 즉 신경학적으로 슬픔과 비참함을 느끼는 정서감이 파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즐거운 감정, 행복한 순간, 그리고 무엇을 이룰 수 있다는 자신감의 유지가 필요한 이유다.

∙ 슬픔은 늘 우리 옆에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일이다.
직장을 잃거나 사랑하는 사람과의 사별, 질병 관계의 단절은 어느 때나 일어날 수 있다. 죽음과 사랑, 결혼과 이혼, 재혼이 우리 삶의 슬픔과 기쁨의 배경이 된다. 특히 고통과 슬픔은 늘 옆에 있다. 여기서 슬픔을 인정하고 이에 대처하는 방법을 스스로 터득해야 한다. 일상의 소중한 순간을 훨씬 더 온전하게 만족스럽게 보낼 수 있도록 자기치유 노력이 있어야 한다.

∙ 자기 강요에서 벗어나는 일이다.
자신이 무엇이 되고자 하는 ‘자기 강요’에서 벗어나는 것이 슬픔에서 벗어나는 일이다. 실제로 “나는 이것이 좋다. 나는 그것이 싫다. 나는 이것을 할 수 있다. 나는 그것을 원하지 않는다. 나는 이것을 꼭 해야 한다.”라는 등의 자기 강요에서 벗어날 때 자신도 모르게 오는 슬픔을 이겨낼 수 있다. 실패, 상실감 등이 심한 사람은 병리적으로 신체적 질병, 신경증 등의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 슬픔 극복을 위한 우아한 미학(elegant aestheticism)에 잠겨보자.
가까운 예로써 기차 여행을 하면서 잠시 사색에 잠길 때 작은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매일의 파노라마를 종교적으로 미학적으로 경험하는 것이다. 한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지루한 한 장소를 벗어나 다른 곳을 여행할 때 슬픔이 즐거움으로 바뀔 수 있다. 다시 말해 많은 경험을 통해 진정한 자아(authentic self)를 발견할 수 있다. 박물관 혹은 오페라 극장을 찾아가 삶의 의미를 찾아보는 것, 흘러가는 세월 속에서 변하지 않는 우아함을 지키면서 신선한 비주얼을 즐기는 것도 슬픔을 극복하는 방법이다.

∙ 이웃과 슬픔을 나눠라.
다른 사람을 위해 흘리는 눈물은 자신의 약함을 보이는 것이 아니다. 슬픔은 순수한 마음의 순간적 표시다. 슬픈 사람에게 도울 수 있는 사람은 같이 울어주는 것 말고는 없다. 혹시 불편한 관계가 있었다면 먼저 사과하고 화해하라, 그리고 도움을 요청하라. 모든 생명을 내 몸처럼 사랑하고 존중하는 것은 삶의 기본적 보편적 가치다. 그러므로 누구든지 늘 이웃의 슬픈 자에게 어떻게 ‘위로의 도움을 줄까? 고민해 보라.

∙ 슬픔 뒤에 오는 우울증을 멀리하라.
정신과 의사 및 심리학자들은 우울증과 정상적인 슬픔과 구별해 접근한다. 로버트 버톤(Burton, 2011)은 “슬픔과 우울증은 상호보완 관계”로 보았다. 그리고 이들의 경계 역시 모호하지만 슬픔의 현상은 적어도 일상에서 가볍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반면에 우울증은 혼자 앓는 질병이다. 나와 너의 관계에 따라 내적으로 오는 고통이 우울증이다. 슬픔 자체를 뚜렷하게 왜 슬픈지를 알고 있지만 우울한 사람은 그 이유를 잘 알 수 없다. 우울증은 공허감 속에서 의식, 무의식적 감정이 혼재해 나타나는 현상이다.

∙ 마음 챙김(Mindfulness)의 수련이다.
전부는 아니지만 마음 챙김은 주변 환경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스스로 통제하는 마음 훈련이다. 혼란한 정신상태에서 벗어나는 일종의 ‘깨어남’이다. 우리의 생각, 감정, 신체감각, 주위환경을 매 순간 자각하는 태도다. 계속되는 고통을 기도로 명상으로 보듬고 현실적 어려운 삶을 해결해 가는 자세다. 심호흡, 음악, 명상을 통해 자신을 다스리는 것이다. 요새 웰빙의 깃발로 요가, 단학, 명상과 같은 수행방법이 인기를 끄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 자신을 사랑하는 일이다.
당신 스스로를 사랑(Self-love)하라. 사랑은 내가 존재하는 능력이다. 즉 현대는 자기(self)를 중시하는 시대이다. 자기만의 의식, 무의식을 포함한 마음 전체의 주인이 되는 것 말이다.
융(Jung)은 의식으로서의 나(ego)를 넘어서 자기 자신을 객체로써 파악한다. 동양사상가 양주(楊朱)는 대표적인 이기주의자로서 “내 행복이 먼저다.”라는 메시지를 던진다. 살아가면서 내 몸을 잘 대접하는 일이다.
주역(周易)에 ‘자천우지’(自天祐之)라는 말이 있다.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는 말이다. 그러면 당신이 모든 이 앞에서 당당해질 것이다

이제 문제 해결점에 도달했다. 슬픔 속에는 아직 뭐라 말할 수 없는 미래의 삶을 향한 모색이 담겨 있다. 슬픔의 감정은 극복의 대상이 아니라 껴안고 가야 할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 늙었다고 슬퍼할 일도 아니고 아름다움을 가지지 못했다고 슬퍼할 일도 아니다. 그럴 때 “아무러면 어때, 안 보이면 어때, 못 보면 어때, 이별이면 어때, 늙으면 어때, 이 나이면 어때, 못살면 어때, 초가집에 살면 어때, 죽으면 어때” 하는 낙관적인 마음을 소유할 때 슬픔은 떠나갈 것이다. 이런 낙관적인 마음으로 지금까지 살았다면 당신은 슬픔의 경로를 통과한 사람이다.
끝으로 당신은 타인을 위해 눈물을 흘린 적이 있는가? 지금은 우리 사회의 슬픔을 치유하는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야 할 때다. 슬픈 사람들은 우리의 관심, 용서와 사랑, 많은 도움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당신 스스로는 “아 이제는 내 삶을 미워하지 말아야지.” 하는 자기 배려가 요구된다. ‘나’로부터 추방당했던 삶을 이제 다시 찾아와 있는 그대로 사랑해야 하겠다는 마음 챙김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슬픔을 내 마음속에 간직하는 것이 아니라 슬픔과 같이 놀아주거나 아니면 내보내야 한다.

[슬픔 극복을 위한 개인적 차원의 대처]에서 인용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