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수학/과학
· ISBN : 9791187980537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18-03-27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1. 지구의 체온, 기후
- 빙하기는 다시 올까?
2. 기후는 왜 변화할까?
- 트럼프는 왜 파리협정을 탈퇴할까?
3. 기후가 생명을 위협하다
- 미세먼지는 중국 때문이다?
4. 지구의 모습을 바꾸는 기후
- 지구 온난화가 계속되면 지구는 어떻게 될까?
5.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우리의 노력
나오는 말
저자소개
책속에서
18세기 중반 산업혁명 이후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에 석유, 석탄 같은 화석연료가 많이 사용됐다. 동시에 지구의 허파 역할을 하는 숲을 잘라내 농경지와 도로를 만들고 대규모로 가축을 기르고 새로운 도시를 만드는 개발이 이어졌다. 그 결과 대기 중 이산화탄소, 메탄 같은 온실기체 또는 온실가스가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지구 온난화를 부추기는 온실효과에 따라 부작용이 커졌다. 지난 100년 동안 세계의 평균기온은 0.7。C 내외로 올랐고, 우리나라의 평균기온은 전 지구 평균보다 훨씬 높은 1.5。C 상승했다.
한반도를 덮치는 강력한 한파도 지구 온난화와 관련이 크다. 빙하는 태양에너지를 반사하고 바닷물은 태양에너지를 흡수하는데, 지구 온난화로 북극해의 바다 빙하가 녹으면 바다가 더워지고 결국 북극의 대기가 올라간다. 대기가 냉각되지 않으면서 차가운 공기를 북극에 가둬두는 역할을 하는 제트기류가 약해진다. 그 결과 한반도가 있는 중위도 지방까지 차가운 북극 공기가 내려오면서 추워지는 것이다. 한반도는 북극권(북위 66。)에서 약 3,000km나 떨어져 있지만 한반도의 날씨는 북극권의 영향을 크게 받는 연결고리로 묶여있다.
유엔은 현재와 같은 속도로 온실기체가 늘면서 온난화가 되면 2100년에는 평균 해수면 높이가 오늘날보다 63cm까지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문제는 세계 인구의 약 40%가 해안으로부터 100km 이내에 살고 있으며, 1억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해발고도 1m보다 낮은 곳에서 살고 있다는 사실이다. 기후변화는 사람들이 거주하는 환경을 크게 바꾸고, 나아가 인간의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다. 태평양의 작은 섬나라 투발루나 인도양의 아름다운 섬나라 몰디브 같은 섬들은 조금씩 바닷물 속에 잠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