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고대사

중국고대사

리펑 (지은이), 이청규 (옮긴이)
사회평론아카데미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000원 -0% 0원
230원
22,77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고대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고대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고고학
· ISBN : 9791188108213
· 쪽수 : 394쪽
· 출판일 : 2017-08-17

책 소개

한강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 5권. 중국에서 인류가 등장한 이후 서기 220년 한나라가 붕괴할 때까지의 역사를 폭넓고 깊이 있게 다룬 책이다. 현대 중국 사회와 문화의 뿌리인 이 형성기 중국 문명에 대해 저자는 지난 30년 동안 이루어진 고고학 발굴과 최근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 새롭고도 의미 있는 해석을 시도한다.

목차

추천의 글 5
머리말 6

제1장 서론: 고대 중국과 그 자연 및 문화경계
중국의 지리: 자연환경 20
고대 중국과 그 거대한 역사적 흐름 23
중국 고대의 재발견 25
고대 중국 연구에 대한 북미 전통의 최근 발전 30

제2장 중국 복합사회의 발달
중국 신석기 문화의 전개에 관한 이론 36
사회발전 이론 39
초기 농경 공동체 41
양사오 사회: 분절적 종족? 44
룽산 ‘읍락’ 문화 49
룽산 ‘수장사회’에 대한 논의 57

제3장 얼리터우와 얼리강: 초기 국가의 확대
‘국가’와 ‘국가의 형성’ 62
얼리터우 문화와 ‘얼리터우 국가’ 64
전승된 초기 역사로 본 국가 형성과 하 왕조에 대한 논쟁 69
상 왕조의 건설과 상 초기의 이주 75
청동기시대 초기의 도시 문명 78
얼리강의 확장: 물질문화를 통해 본 정치적 동정 83

제4장 안양과 그 주변: 상과 당대 청동기 문화
후기 상 왕조의 발견 89
상 후기의 중심도시: 왕실 생활과 경제력 92
부호(婦好)의 무덤과 청동기 주조의 발달 98
상 중기의 설정 102
지역의 연계망 106
상 외부 세계의 독립적 청동기 문화 109

제5장 비밀스런 갑골문에 균열 내기: 상 후기의 문식성과 사회
문자와 사회 환경 114
왕실과 왕실 이외의 점복 전통 117
상의 종교와 왕실 봉헌 123
상 왕실의 계보 127
상나라 정부 조직의 미발달 130
종교 중심의 패권 국가로서의 후기 상 131

제6장 명문화된 역사: 서주 국가와 청동 용기
선주(先周)의 탐색 136
주의 상 정복 142
왕실 도시의 연계망과 주의 물질문화 146
‘서구 봉건주의(Feudalism)’와 구별되는 ‘봉건(封建)’ 153
주 왕조 봉국(封國)의 탐색 157
외부 세계와 초기 서주의 위대한 확장 159

제7장 패러다임의 창조: 주 왕조의 관료제와 사회 제도
씨족과 종족: 주나라 지배층의 사회조직 166
이념과 종교 168
왕실 통치기구의 관료제화 172
서주 중기의 전환 177
서주 국가의 성격 179
문식성(文識性)의 확산과 고전 문헌의 등장 181
서주의 종말 185

제8장 패자와 무사: 춘추시대의 사회 변모(770-481 BC)
패권 제도: 권력의 지정학과 균형 189
현(縣)의 등장: 행정 체계의 재설정 193
종족 시스템의 붕괴와 사(士) 신분의 부상 198
법적 사고의 전환: 정치적 계약의 출현 202
종족(種族) 관계와 화하(華夏) 개념의 출현 206

제9장 영토 국가들의 시대: 전국시대 국가의 정치와 제도(480-221 BC)
‘영토 국가’의 개념 213
정치 군사적 발달 215
새 국가의 근간으로서 소농(小農) 219
농민의 통제: 법률, 조세와 보편적 서열화 221
통치기구의 관료화와 절대 군주 224
전쟁의 변천 226
청동기 문화의 변화 232

제10장 정치인 사상가: 최근 발견된 문헌을 통한 조명
이념적인 딜레마와 국제 상황 237
공자와 유교 240
자연 질서에 대한 도가(道家)의 연구 246
궈뎬(郭店)의 발견과 중국 고대 지성사에서 그 위치 251
법가(法家)의 척도 255
추가 고찰 257

제11장 진의 통일과 진 제국: 토용 전사는 누구였는가?
진의 초기 역사: 고고학적 탐색 262
상앙(商?)의 개혁과 진 국가의 재편성 267
첫 번째 황제와 중국의 통일 274
진 제국의 통합 278
제국을 사후 세계로 283

제12장 한 제국의 확장과 정치적 전환
한 왕조의 토대 291
제국 구조의 축: 제국의 재편성 293
한과 흉노: 둘로 분할된 세계 298
흉노와의 전쟁과 한의 확장 303
왕조 교체와 동한 제국의 건설 309
한 제국과 로마의 관계 312

제13장 국가와 사회: 한 제국의 관료제와 사회 질서
인완(尹灣) 문서와 한나라 관료제 318
장자산(張家山) 법령과 한 제국의 사회 질서 322
농민 대 호족: 한 제국의 사회적 문제 329
한의 식민 사업: 국경사회에 대한 일 고찰 333
제국 체제의 약화와 한 제국의 위기 335

제14장 한 문화와 예술의 이념적 변화와 그 반향
국가전략으로서의 황로 사상 340
한 제국의 유교화와 고전학의 부흥 344
역사의 기술 350
한의 고분 예술과 물질문화 353

그림 출처 360
옮긴이의 글 363
찾아보기 369

저자소개

리펑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동아시아 언어문화학과 교수로 중국의 고대사와 고고학을 담당하고 있다. 중국 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에서 석사, 미국 시카코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일본 도쿄대학에서 수학한 바 있다. 역사학자이자 고고학자인 그는 청동기 명문과 서주시대 역사에서부터 초기 국가, 관료제, 문자의 비교해독, 지역 간의 문화 관계, 사회발전이론까지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그는 또한 중국과 일본에서 폭넓은 유적 현장조사 경험을 가진 활동적인 고고학자이기도 하다. 최근의 주요 저서로는 Landscape and Power in Early China(2006), Bureaucracy and the State in Early China(2008) 등이 있다.
펼치기
이청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에서 석사, 박사학위 취득하고 호암미술관, 제주대를 거쳐 현재 영남대 문화인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영국 케임브리지대학에서 단기간 방문교수를 지낸 바 있다. 한국 청동기와 철기시대의 문화, 그리고 제주와 영남지역의 초기사회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최근의 주요 저서로는 『다뉴경과 고조선』(2015), 『해상활동의 고고학적 기원과 전개』(2016), 번역서로는 『고대문명의 이해』(2015)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