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88108893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9-01-24
책 소개
목차
추도의 글 / 언제나 한 모습으로 떠오르는 사람 -유시민 4
1부 2004년 기록하는 것이 나의 임무라 생각했다
2004년 7월 14일 담요 한 장을 국회의장석 앞바닥에 깔고 잠을 청하다 12 / 7월 15일 대법원의 시계는 여전히 20세기 16 / 7월 16일 우라베 토시나오 일본 공사가 방문했다 19 / 7월 17일 헌법 밖의 국민이 어찌 이들뿐이랴 22 / 7월 18일 신록의 계절에 초록이 점점 동색이 되고 있다 25 / 7월 19일 <화씨 9/11>을 관람했다 30 / 7월 20일 당대표와 지도부의 철야농성계획이 전달되었다 32 / 8월 31일 2004년 들어서서 가장 좋은 하루를 보냈다 34 / 9월 1일 가을을 앞세우고 겨울이 남하하고 있다 37 / 9월 2일 아침이 너무 자주 찾아온다 40 / 9월 3일 결혼도 마다하고 오십 평생 내내 당신이 그토록 소망했던…… 44 / 9월 4일 이영훈 교수의 발언 파문이 확대일로이다 48 / 9월 5일 독버섯은 옮겨 심어도 독버섯일 뿐이다 51 / 9월 6일 민법, 형법, 민사소송법, 형사소송법 책을 주문했다 54 / 9월 7일 법사위가 3D업종이라는 말이 허사가 아니다 56 / 9월 8일 송영길 의원 모친상 조문을 가다 58 / 9월 9일 ‘사랑하는 사람도 알고 보면 간첩이다’ 61 / 9월 10일 송창식과 윤형주가 이렇게 노래를 잘 부르는 줄은 오늘 처음 알았다 64 / 9월 11일 용기 있게 진실과 양심의 편에 서야만 ‘원로’일 것이다 68 / 9월 12일 의원회관에 불 켜진 방이 꽤 많다 70 / 9월 13일 국가보안법 공방이 가열되면서 한국 지식인 사회의 진면목이 드러나고 있다 73 / 9월 14일 한국에서 노동운동은 아직 독립운동이다 76 / 9월 15일 예결위에서 박재완 한나라당 의원의 질의가 빛난다 80 / 9월 30일 할 일도 많고 갈 길은 멀다 82 / 10월 1일 노아정 식구들이 의원실을 찾아오다 86 / 10월 2일 철야하는 인턴들로 엘리베이터가 만원이다 89 / 10월 4일 법사위의 국정감사는 홈커밍데이즈 92 / 10월 5일 소주 한잔 같이해야 할 사람 95 / 10월 6일 14년 만에 다시 앞에 섰다 97 / 10월 7일 야간근로를 반대하기 때문에 질의하지 않겠다 100 / 10월 17일 포괄협정(UA)은 보호해야 할 가치가 있는 기밀이 아니다 104 / 10월 23일 흙손을 잡는데 가슴이 뭉클하다 110 / 11월 6일 국회가 추안거(秋安居)에 들어간 지 열흘이 되었다 114 / 11월 30일 또 그가 단식에 들어갔다 117 / 12월 12일 단절되지 않은 역사의 보복을 체험한다 121
2부 2005년-2007년 역사에는 시효가 없다
2005년 2월 15일 생선가게에 다시 고양이들이 나타났다 124 / 3월 9일 바르샤바엔 종일 눈 내리고 128 / 3월 10일 새벽에 쓰는 편지 130 / 3월 11일 인류의 역사는 회계장부가 아닙니다 135 / 5월 6일 “머리가 왜 벗겨지셨어요?” 139 / 5월 8일 그와 헤어진 지 두 달이 되었다 143 / 5월 10일 서울구치소를 방문하다 145 / 7월 24일 역사에는 시효가 없다 148 / 10월 3일 불쌍한 것은 조승수가 아니다 151 /11월 00일 대통령이 못하면 국회가 해야 한다 154 / 2006년 1월 20일 반기문 승, 윤광웅 승, 노무현 패? 158 / 1월 31일 울산바위는 울산에 있어야 한다 161 / 2월 7일 ‘단돈 8,000억 원’으로 면죄부를 살 순 없다 166 / 4월 23일 ‘조용한 외교’는 조용히 끝내야 한다 170 / 5월 30일 분노의 표심이 결집하고 있다 176 / 6월 26일 서민들이 무엇을 잘못했단 말인가 181 / 9월 3일 혼자 있는 방에서도 얼굴을 들기 힘들다 185 / 10월 30일 기꺼운 마음으로 이 길을 간다 190 / 11월 8일 불쌍한 것은 국민들이다 193 / 2007년 1월 5일 어머님의 신문스크랩 20년 196 / 2월 20일 노무현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 200 / 4월 9일 D-365, 당원들에게 보내는 편지 208 / 4월 15일 또 한 사람의 전태일을 보내며 213 / 7월 31일 인질석방, 미국이 책임져야 한다 216 / 8월 20일 전화 홍보보다 부담스런 일은 없다 219 / 10월 25일 국방장관에게 책을 선물했다 222 / 11월 1일 이회창을 부활시킨 이명박 후보의 저력 226
3부 2008년-2012년 우리가 남기는 발자국이 길을 만들 것이다
2008년 4월 18일 나에게 묻는다 230 / 7월 9일 수면권을 보장하라 233 / 7월 10일 뒤풀이를 사양하다 236 / 7월 11일 ‘양해’할 수 없는 죽음 239 / 7월 12일 구해근 교수를 뵙다 242 / 7월 13일 꽃이 무슨 소용인가 245 / 7월 15일
4부 2013년-2018년 언젠가 촛불마저 꺼져도 광장은 외롭지 않을 것이다
2013년 3월 11일 짜파구리 재료를 사다 320 / 4월 29일 국회쇄신이 시작되어야 할 곳 322 / 2014년 4월 30일 백성을 버린 선조와 배신당한 백성들의 분노 325 / 7월 8일 첫 날 첫걸음을 무명용사탑으로 정한 뜻은 327 / 2017년 2월 14일 특검이 수사기간 연장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329 / 3월 6일 언젠가 촛불마저 꺼져도 광장은 외롭지 않을 것이다 332 / 6월 6일 ‘애국자 대신 여공이라 불렸던 그분들이 한강의 기적을 일으켰다’ 336 / 8월 17일 대선 후 100일 338 / 8월 24일 ‘겸임해제사건’을 아시나요? 341 / 2018년 1월과 2월 그들이 진정 두려워하는 것 344 / 3월 산하에 봄이 달려오는 소리가 들립니다 346 / 4월과 5월 이제 우리는 돌이킬 수 없는 평화의 길로 들어섰습니다 348 / 7월 23일 많은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350
5부 2004년-2018년 그의 말은 희망이었고, 이제 역사가 되었다·어록 353
추도의 글 / 그를 보내며 -조승수 392
노회찬 연보 394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08시, 국회 귀빈식당에서 단병호 의원이 주도하는 노동기본권 실현 의원연구모임 창립대회가 있었다.
“48개월 중 2개월이 지났다. 내일은 오늘과 달라야 한다.”(2004.7.15) “민법, 형법, 민사소송법, 형사소송법 책을 주문했다. 나이가 들수록 해야 할 공부가 늘어난다.”(2004.9.6) “현충원 무명용사탑을 참배했다. 이름 없이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의 건강한 다리가 되겠다는 스스로의 다짐이다.”(2014.7.8) 노회찬은 이름 없이 살아가는 사람들의 눈으로 세상을 보고 시대를 느꼈으며 그들의 언어로 정치를 해석하고 그들의 소망을 정치에 투영하려 분투했습니다. 인간사회에서 제일 이루기 어려운 그 일을, 오늘보다 내일 더 잘하기 위해 쉬지 않고 공부했고요.
―「추도의 글 언제나 한 자리에 있는 사람-유시민」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