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88128105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18-11-29
책 소개
목차
시작하며_ 당신 뭐야?
너야말로 뭐야?
듣고 화가 난다는 건, 사실……
세상에서 가장 웃긴 심리학
'살아있다는 실감의 농도'는 어느 정도?
싸구려인 척하지 마
1장_ 내 인생은 왜 자꾸 꼬이기만 할까?에 답하다
인생은 오로지 증거를 수집하는 여행이니까
- 고생 끝에 낙이 온다는 건 거짓말!
- 감정 노트로 마음속에 쌓여있던 감정을 확인한다
두근두근 가슴 뛰는 일만 찾다가 빈축을 사지는 않을까?
- 자신을 소중히 하는 것은 목표가 아니라 과정이다
블로그에서 챌린지 프로그램을 연재하는데, 목표가 이루어지지 않아
- 끌어당겨서 행복한 것이 아니라 행복한 사람이 끌어당기는 것
배우자를 찾지 못한 사람의 공통점은, 이것
- 핏발 선 눈에 좋은 인연은 보이지 않는다
인생의 굴곡 따위 없이 처음부터 행복해도 괜찮아
- 고생길만 편애하는 자신을 깨닫자
늘 감사하는 사람이 실제로 가장 감사해야 할 것
- 감사보다 먼저 해야 할 일이 있다
2장_ 저주를 푸는 것부터 시작하자
'사랑받고 있다'와 '신뢰받고 있다'는 다른 것
- 사랑받지 못했는가? 신뢰받지 못했는가?
- 시간을 되돌리지 않아도 지금부터 할 수 있는 일
자신이 싫어하는 사람을 닮아가는 법칙
- "당신처럼 되고 싶지 않아!"의 함정
- 분노의 원인은 모두 이것
- 부정하면 폭발하고, 긍정하면 가라앉는 법칙
걱정이란 어지간히 성가시다
- 누군가를 걱정하는 건 주제넘는 일이다
- 사람은 신뢰받을 때 비로소 성장한다
- 지옥으로 가는 데스로드에서 이제 슬슬 빠져나올 때
용서하지 않아도 괜찮다, 엄마를 조금 이해해본다
- 엄마의 저주를 푸는 방법
- '가해자는 늘 예전엔 피해자였다'는 법칙
"네 탓이야!"라고 비난하기 위해 자신을 괴롭히는 건 이제 그만
- 저주받은 아이의 복수극
- 복수극을 끝내는 말
3장_ 걱정거리를 없애는 나리심리학
사람은 이해하는 것만으로 바뀐다
- 사람이 바뀌려면 '이해'나 '체감'이 필요하다
- 담배를 끊고 싶은데 끊지 못하는 사람의 심리
- 하고 싶은 일이 뭔지 모르겠다는 건 거짓말
눈앞의 현실은 연기, 불씨를 잡아라!
- 자기 안의 전제를 깨닫는다
- 쓰고, 고마워하고, 버리면 전제가 바뀐다
- '포기하지 않기'를 전제로 하여 생각한다
걱정이란, 사실 최고의 '면죄부'
- 밤잠을 못 이루는 사람은 땅에 얽매여 있는 영혼
삐치는 것은 상대에 대한 폭력이다
- 멋대로 참고, 멋대로 폭발하는 사람에게
- 삐치는 폭력 앞에 있는 것은?
세상은 무슨 일이 있어도, 어쨌든 '괜찮다'
- 실수는 잘못을 인정하면 그뿐
- 걱정의 90%는 일어나지 않고, 일어나는 10%도 결국 괜찮다
인생을 바꾸는 것은 10년의 노력이 아니라, 하루의 용기
- 꿈을 이루는 최단 경로
사람은 자신이 보고 싶은 것만 본다
- 운세는 자기긍정을 위한 최강의 도구
- 당신은 선택받았다
4장_ 돈에 대한 불안이 사라진다
돈이 없어서 못 한다고 생각하는 일이 있는가?
- 돈과 꿈의 유쾌한 관계
- '돈을 받아들이자'고 확실히 생각하고 있나?
- 항상 돈이 빠듯한 사람의 전제
- 행복해지는 것에 대한 죄책감을 버려라
돈은 의자 뺏기 게임이 아니다
- 돈이 흘러가게 하라
- 돈이 좋아하는 사람이 되라
돈 문제는 커피 한 잔 값으로 해결된다
- 지갑 안을 똑똑히 확인하자
- 형체가 없는 것에 돈을 쓴다?
마치나리~~
리뷰
책속에서
"나한테는 안 좋은 일만 일어나."
"늘 제멋대로인 남자들만 만나."
"항상 나한테만 불리해."
"이렇게 노력했는데 결국 이혼이라니."
"내가 안 하면 누가 하겠어."
"참다 보면 틀림없이 언젠가 알아봐 주겠지."
이 모든 말에 숨은 전제는 무엇일까?
참으면 어떻게든 된다는 생각이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오늘 참으면 내일도 앞으로도 계속 참아야 한다. 참고 있으면 알아봐 주기는커녕 주변 사람들에게 "이 사람은 이걸 좋아해." "이대로 괜찮은가 봐." "자기가 선택한 일이잖아." "하고 싶으니까 하겠지." 하는 오해를 사게 되고, '참으면 어떻게든 되겠지.' 하고 생각하는 한 늘 참아야만 하는 현실이 기다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