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91188215775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2-09-26
책 소개
목차
머리말: 평화학은 평화를 연구하지 않는다
1부. 평화학의 시작과 기본 이론
1장. 전쟁과 평화, 평화학의 시작
전쟁의 경험 / 평화연구의 시작 / 평화연구의 조직화 / 평화학의 시작 / 평화연구의 적용 / 소극적 평화, 적극적 평화
2장. 전쟁 없는 평화
정당한 전쟁 / 전쟁의 정당성 확보 / 민간인 피해의 정당화 / 전쟁 없는 평화의 어려움 / 전쟁 가능 구조의 지속 / 전쟁 준비 사회의 문화적 폭력
3장. 폭력의 탐구
구조적 폭력 사회 / 문화적 폭력의 영향 / 폭력의 합법성 / 평화의 3요소 : 관계성, 공동체성, 지속성 / 폭력과 갈등
4장. 회복과 공존을 위한 평화구축
평화구축의 이해 / 평화구축의 원칙 / 무력 갈등 후 사회의 평화구축 / 전쟁과 무력 갈등 없는 사회의 평화구축
5장. 갈등의 해결과 전환
평화학의 갈등해결 연구 / 갈등해결 접근 / 갈등의 전환 / 공공갈등과 전환적 접근
2부. 한국사회 평화구축을 위한 평화연구
6장. 사회 변화를 위한 평화 담론
한국사회 폭력의 확인 / 남북대결의 지속과 평화의 왜곡 / 국가 폭력의 지속 / 평화 실현을 위한 갈등해결
7장. 평화구축 실행 1 : 전략적 평화구축
전략적 평화구축 / 직면한 상황의 확인 / 사회적 자원의 확인 / 한국사회의 전략적 평화구축
8장. 평화구축 실행 2 : 사회갈등과 남북갈등의 전환
사회갈등의 방치, 폭력의 확산 / 사회갈등의 전환 / 남북대결에서 남북갈등으로의 변화 / 남북갈등의 전환
맺는말: 평화학, 무엇을 연구하고 실행하는가
미주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평화연구는 잇단 세계대전과 그에 따른 광범위한 피해를 성찰하며 시작됐지만, 평화연구 및 평화학의 초점은 전쟁을 포함한 모든 폭력의 탐구, 그리고 그 폭력의 감소와 제거를 통한 평화적 사회 조건의 형성과 평화의 실현에 맞춰져 있다. - 본문에서
전쟁 없는 평화는 전쟁이라는 직접적 폭력만 다루는 것으로 성취될 수 없다. 전쟁 없는 평화는 결국 전쟁을 가능하게 만드는 구조적, 문화적 문제, 다시 말해 구조적, 문화적 폭력까지 포괄적으로 다루는 접근을 통해 가능해진다. - 본문에서
갈등은 폭력의 규명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직면하는 문제일 뿐만 아니라 평화 실현을 위해 거칠 수밖에 없는 단계로 여겨진다. 그런 이유로 국가 사이 무력 충돌에서부터 사회 내 집단 또는 개인 사이 대립까지 힘의 불균형과 불공정한 관계에서 비롯된 갈등은 평화 부재와 실현에 대한 논의에 자주 등장한다. 다만 갈등이 평화 실현을 위해 거쳐야 할 단계로서 정당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평화적 해결 원칙이 전제되어야 한다. - 본문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