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88286188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1-03-10
책 소개
목차
제1부 총론(總論)
1. 易이란?
2. 역학이란?
3. 숙명과 운명
4. 운명학
5. 사주추명학의 기원과 변천
6. 음양오행과 간지(干支), 갑자(甲子)
제2부 사주추명(四住推命) 명리학(命理學)
1. 사주 정하는 법
2. 日干 대 月支로 보는 운세
3. 오행에 의한 기본적인 판단 [일간(日干)오행과 월절(月節)의 희기(喜忌)]
4. 성격 판단법
5. 오행궁합(五行宮合)
6. 사주 안의 오행 [간지의 합(合)과 오행]
7. 대운(大運) 정하는 법
8. 신강(身强)과 신약(身弱)
9. 12운성(運星) : 포태양생법(胞胎養生法)
10. 육친표출법(六親表出法)
11. 형ㆍ충ㆍ파ㆍ해살(刑沖破害殺)
12. 공망(空亡) · 공망살(空亡殺)
13. 원진살·양인살·비인살(怨瞋殺·羊刃殺·飛刃殺)
14. 강신살(强神殺)
15. 희신(喜神) : 길성(吉星)
16. 용신(用神) 및 격국(格局)
17. 유형별 天機의 원리
18. 사주에 의한 적당한 직업
제3부 성명학(姓名學)과 역리(易理)
1. 성명의 7대 관찰
2. 성명학상 불길한 문자
3. 자형인상(字形印象) : 성명의 육체
4. 음령오행(音靈五行) : 성명의 생명
5. 삼원오행(三元五行)ㆍ수리오행(數理五行) : 성명의 性情
6. 오행해설
7. 수리(數理) 해설
8. 음양배치 : 성명의 조직
9. 성격10형(性格十型)
10. 인격 10형(人格十型)
11. 역리대상(易理大象)
12. 대수론(代數論)
제4부 통변의 실제 : 약술(略述)
1. 남명(男命) 50대
2. 여명(女命) 40대
3. 소아(小兒) 여명(女命)
4. 소아(小兒) 남명(男命)
5. 여명(女命) 20대
6. 여명(女命) 50대
책속에서
[머리말]
역(易)이란 무엇인가? 전문가가 아닌 세상 사람들이 알기로는 역이라 하면 한낱 점복을 위주로 하는 그런 책이요, 그래서 이를 깨치면 점술과 예언에 도통하는 그 무엇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그러나 역은 결코 단순한 그런 것만이 아니다.
일찍이 공자도 세 번이나 철을 하여 읽고 공부했다는 역은 원래 쉽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회의·상형으로는 일월(日月)의 결합 즉 음양을 의미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역은 바꾼다는 변역(變易)의 뜻과 변하지 않는다는 불역(不易)의 뜻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하지만 “진역자(眞易者)는 불변서(不變筮)라”는 ‘참으로 역을 아는 자는 점치지 아니한다’는 말도 있듯이 역은 천지 사물의 운동과 세태의 정상을 간파하는 주요한 도구로서 천지의 이치를 담고 있는 것으로 학자들 사이에서 회자되어 온 것이다. 따라서 이는 단순히 점복의 책이나 점성의 수단이 아니라, 인간이 자신의 운명을 알고 이를 개척하는 데 필요한 하나의 학문적 도구이며 그 원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단순히 점치는 책으로 알려져 온 것은 아마도 진시황이 분서갱유를 단행할 때, 그 분서의 참화를 점복서라는 이유로 모면한 사실로부터 대개 기인한다는 설이 있다. 동시에 이를 다루는 많은 사람들에 의해 운명과 길흉화복을 점치는 수단으로 사용됨으로써, 실제로 이것이 지니는 과학성과 학문성에도 불구하고 일련의 사술 혹은 방술의 수단으로 오해되어 온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이를 연구하는 많은 학자들에 의하면, 주역은 중국 고대 우주만물의 변화상을 연구한 자연철학서적으로 중국문화의 한 구획을 긋는 위대한 저작이라고 한다.
곧 주역은 태극으로 그 氣일원론의 우주관을 구성하고 있는데, 象·數·理로 그 사유형식과 방법을 제시하고 음양학설로 만물의 통일적 이론 형식을 제공하여 왔다. 다시 말해 서양의 과학과 달리 오랜 옛날부터 동양인들에 의해 연구·이해되어 온 동양의 자연과학이 바로 주역이라는 얘기이다.
사주추명(四柱推命)이란 무엇인가.
어떤 사람이 세상에 태어나는 것과 어떤 제품이 만들어질 때를 비교하면 여기에는 일련의 유사성이 있다. 예컨대 요즘은 어떤 상품이든 소위 바코드가 붙여져 그 제품을 구별하고 분류하는 기준이 되는데, 이를 사람에게 적용시킨다면 과연 무엇이 될 것인가. 그것은 다름 아닌 생년월일과 시간이 되는 것이다. 물론 여기에도 다양한 정보가 들어가겠지만 그 기본적인 분류 기호는 이미 자연으로부터 여기에 주어지는 것이다.
곧 사주란 한 인간에게 근본적으로 주어진 생년월일시를 각각의 기둥으로 삼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집짓는 것을 한 인간의 삶이라 보며, 다만 이러한 중에 인간의 삶은 기본적으로 하늘로부터 받은 자신의 命이 있다고 보는 것이 동양의 전통적인 사유였다. 마침내 여기에서 과연 그런 명이 무엇인지 규명해 보려는 염원이 뒤따랐던 것이다.
바로 이 점에서 근본적으로 자연에서 주어진 그 천명(天命)을 추(推)하고 측(測)하려는 입장에서 제기된 개념이 추명이요, 이를 위하여 제공된 기본적인 자료가 곧 사주이다. 다시 말해 사주추명이란 한 인간이 자연으로부터 받은 기본적인 자료를 토대로 그의 명을 추리하고 측량하는 것을 일컫는다.
그리고 사람은 이러한 사주에 더해 자신의 이름으로 자신을 드러내므로 그 성명이 중시되고, 결정적으로 자신의 관상(觀相)과 심상(心相) 등이 결합하여 한 개인의 정체(正體)를 구성한다. 이로부터 우리는 다종다양의 무수한 사람을 나름대로 판별·구분하는 경험치를 갖고 이런 축적된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동양에서는 예로부터 자기의 삶을 설계하는 하나의 참고로 활용해 왔다.
그리고 이를 일러 ??명(命)과 리(理)??, 즉 하늘이 내게 준 사명과 그 이치에 관한 학술이라 하여 명리학(命理學)이라고 하였다. 동양에서는 하나의 정리된 체계로 이들을 총괄하여 사주추명학(四柱推命學)이나 역학(易學) 등으로 부르면서 기술ㆍ방법적인 인생의 지침으로 사용해 왔다.
그러나 최근 우리는 과학의 시대라는 이름에 걸맞게 합리적 이성의 작용만 최고로 삼는 일련의 흐름을 따라 이런 동양 전통의 여러 학술 방법들을 무조건 미신이나 불합리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동양의 여러 철학사상 중 일반으로부터 멀어지고 괜히 심유한 분야로 알려지거나 배척되는 그 첫 번째 제물이 바로 명리학(命理學)이다.
하지만 생각해 보라. 과연 인생에서 합리적인 것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얼마나 있는지·····. 인생은 근본적으로 부조리하다고 외친 숱한 서구의 지식인들도 있지만, 우리네 인간의 삶이란 이성으로는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캄캄한 암흑과 같다. 바로 이래서 인간은 스스로의 힘으로 미래를 예측하고 개척하려는 소망을 가지기도 한다. 또한 미래를 예측하는 다종다양한 방법 중 동양 최고의 기술적 지위를 갖추고 있는 것이 바로 역(易)과 결부된 명리학(命理學)이다.
·易이라는 글자는 甲骨文에서도 찾아볼 수 있을 만큼 연원이 오래되었는데, 언젠가부터 「역학」의 범주에 수용되어 「역학」을 대표하는 말로 쓰였다.
·易은 일반적으로 변경, 바뀜을 의미한다고 해석된다. 易자를 바뀜의 의미로 해석한 孫貽讓은 易이 대부분 「易日」, 「不易日」로 쓰이고, 또 날씨와 관련되는 雨, 霧 등과 함께 쓰였기 때문에, 고대에 점을 쳐서 결정된 날짜에 기후의 이상이 생겼을 때는 날짜를 바꾸고(易日),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바꾸지 않는다(不易日)고 하였다.
·《周易》의 간칭(簡稱). * 주역의 기본사상은 「中正」에 있다.
·易이란 만물을 열고 일을 이루어, 천하의 도를 포괄하는 것이다.(夫易, 開物成務. 冒天下之道, 如斯而已者也.:<繫辭上>)
·易은 아무런 생각도 없고 아무런 작위도 없이, 고요히 움직이지 않지만, 이에 감응하면 모든 일에 통하게 된다.(易無思也, 無爲也, 寂然不動, 感而遂通天下之故.:<繫辭上>)
·易이란 象이고 象이란 像이다.(是故易者, 象也. 象也者, 像也.:<繫辭下>)
·「易者神之用也」:(邵康節)
·「良知卽是易」:(王守仁)
·易은 만물의 본원 혹은 근본원칙을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