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제주문화의 원류, 해민정신

제주문화의 원류, 해민정신

송성대, 김정숙, 진관훈, 강만익, 정지훈 (지은이)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18,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80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제주문화의 원류, 해민정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제주문화의 원류, 해민정신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지리학/지정학 > 지리학
· ISBN : 9791188339921
· 쪽수 : 188쪽
· 출판일 : 2023-06-02

책 소개

문화지리학자로서 제주인의 정체성 규명에 평생을 매달렸던 故 송성대 교수의 역작을 대중들에게 보다 쉽게 소개하기 위해 펴낸 것이다.

목차

제1장 누가 제주 사람인가?
제2장 처처석전(處處石田), 처처부녀(處處婦女)
제3장 도무(盜無)·걸무(乞無)의 섬
제4장 영등 할망이 낳은 대문무(大門無) 문화
제5장 지역 정신의 시의성(時宜性)
제6장 지역의 세계화와 해민정신

저자소개

송성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2년 경희대학교(지리학 이학사) 졸업 1980년 경희대학교 대학원 인문지리전공 이학석사 학위 취득 1989년 경희대학교 대학원 인문지리전공 이학박사 학위 취득 1974년부터 1977년 오현고등학교 교사 재직 1980년 제주대 시간강사 1981년 이후 제주대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교수 재직 탐라문화연구소장, 제주대학교 대학원장 역임 2010년 제주자치도문화상 학술 부문 수상자 선정 제주대학교 명예교수 이어도연구회에서 상임연구원으로 활동 2021년 1월 1일 숙환으로 별세 주요 저서 『문화의 원류와 그 이해-제주인의 해민정신』[1998, 2021년 개정증보판](도서출판 각) 『문화지리학 강의-환경과 문화』(법문사) 『제주문화의 재조명』(일념) 『두 개의 얼굴, 이어도』(이어도연구회) 공저 『제주지리론』(한국학술정보)
펼치기
김정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주대학교 사회교육과(1984년 졸업)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졸업(2010년)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지리 박사과정 수료(2017년) 전 중등 교사, 신화연구가
펼치기
정지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주대학교 사회교육과 지리교육전공(2003년 졸업)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지리교육 석사과정 수료(2010년) 오현고등학교 교사(stop0412@korea.kr)
펼치기

책속에서

물로 막힌 섬, 척박한 땅에서 살아남으려면 끝없이 그 방법들을 찾아내야 했다. 남에게 의존하지 않고 자립적으로 살 수밖에 없었다. 근검절약은 필수였다. 일엽편주의 배 위에서 살아남아 목적지까지 항해하려면 입체적인 지혜와 기술, 적극적인 도전이 필요했다. 해상생활은 자연만이 아니라 해적과도 싸우는 전사가 되어야 했다. 전체를 살피면서 영특하고 단호하게 행동해야 했다.


‘따또 가족’이란 ‘따로’라는 의식을 가지면서 ‘또한 함께’ 가족이라는 뜻으로 절충형 부계 협동 가족인 부부 중심 가족을 뜻한다. 이 ‘따또 가족’은 제주의 부부관계를 설명하는 데 적합하다. 제주도의 부부관계 역시 ‘따또 부부’라 할 만하다. 부부는 따로(개체적으로) 그리고 공통의 목적을 향해 협조하면서 또한 함께(공동체적으로) 살아간다. 따로 사니 고부간의 갈등도 적은 편이다. “불턱이 지만씩이메 살아졈쭈”라는 속담이 있다. 부엌을 각각 따로 만들어 사니, 고부간에 갈등이 덜해 그나마 살고 있다는 말이다. 함께 사니, 아들 세대는 연로하신 부모를 가까이서 돌볼 수 있었다. 아이들을 키우는 과정에서도 많은 도움을 얻었다.


석다는 풍다와 함께 제주도가 척박한 땅이라는 것을 상징한다. 제주 사람들은 요람에서 무덤까지 ‘돌에서 왔다가 돌로 돌아가는 사람들이다.’라 비유할 수 있을 정도다. 돌 구들(돌로 만든 방)에서 태어나 작지왓(자갈밭)에 묻힌다. 무덤을 둘러싸고 있는 것도 돌이다. 거주하는 집의 벽체가 돌이며, 울타리와 올레 그리고 수시로 밟고 다니는 잇돌(디딤돌)도 돌이다. 신앙의 대상인 산과 바닷가의 신체 자체가 돌이요 그 당을 둘러싸는 담도 돌이다. 밭이 돌밭(자갈밭)이요 그것을 둘러싸는 울타리 역시 돌이다. 바다 밭에도 갯벌은 볼 수 없고 온통 돌뿐이며 오가는 길 역시 검은 현무암 돌길이다. 애월읍 구엄리 소금 생산도 갯벌이 아닌 돌바닥 위에서 이루어졌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