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이론 심리학
· ISBN : 9791188527083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7-11-25
책 소개
목차
1회차 수업: 오리엔테이션, 나는 왜 상담사가 되고 싶은가?
2회차 수업: 대화할 때의 불편요인
3회차 수업: 상담과 카운슬링의 차이
4회차 수업: 다양한 상담사례/선의는 상담에 도움이 되는가?
5회차 수업: 전부 말하지 않는다./경험으로 상담이 가능한가?
6회차 수업: 내담자의 자율성
7회차 수업: 경청의 효과
8회차 수업: 공감과 감정 따라가기
9회차 수업: 학교폭력
10회차 수업: 상담 기록과 사례
11회차 수업: 철학상담이란?
12회차 수업: 총정리
저자소개
책속에서
1회차 수업: 오리엔테이션, 나는 왜 상담사가 되고 싶은가?
선생님 초급과정의 수업목표는 다음의 세 가지 개념을 완벽히 이해하고 체화시키는 것입니다.
선생님 첫 번째는 ‘상담사는 내담자의 거울이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거울의 역할이 무엇일까요?
곰 거울은 모범이 되어야 합니다.
선생님 거울 속의 당신은 스스로의 모범이 되나요? 아침에 일어나서 거울을 볼 때 그 안에서 무엇을 보나요?
너구리 아침에 저는... 제 얼굴을 보지요.
여우 거울을 볼 때 저는 내면을 보려고 노력해요. 물론 외면만을 보기가 더 쉽지만요. 우울한 일이 있었던 다음날은 거울을 보고 내 모습이 우울해 보이는지 혹시 평소랑 다르게 보이지는 않는지 살펴봅니다.
선생님 거울을 통해 나는 매일 똑같은 모습을 보나요?
너구리 외모는 크게 달라지지 않지만 느낌은 다르게 보일 때가 있지요.
고양이 저는 거울을 거의 보지 않아요. 거울 속에 비친 제 모습이 왠지 민망하게 느껴지거든요.
선생님 거울 자체가 매일 여러분을 다르게 비춰주나요? 아니면 여러분이 다르게 보나요? 상담사가 거울이 된다는 말은 무슨 의미일까요? 상담사가 내담자의 거울이 되어준다는 것은 보고 싶어 하는 모습뿐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볼 수 있게 비춰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선생님 두 번째는 ‘틀 깨기’입니다. 틀 깨기가 필요한 이유는 유연함을 가진 상담사가 되기 위해서입니다. 유연함이란 사물이나 상황을 바라보는 관점의 유연화를 말합니다. 그러면 우리는 왜 유연해야 할까요? 내담자의 다양한 표현을 있는 그대로 이해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유연하지 않으면 상담사의 가치관이나 경험에 의존하여 고정된 시선으로 내담자를 보게 됩니다. 상담을 하다 보면 때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이나 가치관과도 접하게 되는데 이럴 때, 유연함이 없다면 내담자의 이야기를 들을 수조차 없게 되지요.
선생님 마지막 수업목표는 철학적 사유가 가능한 상담사가 되는 것입니다. 상담사는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게 됩니다. 특히 제주도의 경우 이전과는 달리 전국에서 또는 각국에서 이주해온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습니다. 다양한 환경과 문화가 공존하는 제주입니다. 상담을 하기 위해선 내담자를 둘러싼 환경과 문화, 가치관 등을 알고 있는 것이 내담자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소이지만, 전 세계의 모든 문화와 환경을 전부 아는 것은 불가능한 일입니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무엇일까요? 바로 철학적 사유를 통한 인간에 대한 이해입니다. 여기에서 말하는 철학적 사유란 ‘철학하기’를 말합니다. ‘철학하기’란 일상에서 일어나는 것들을 “왜?”라는 질문을 통해 풀어내는 과정입니다. 이번 상담사 양성과정에서 여러분들은 ‘철학하기’를 통해 인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