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백제의 야마토왜와 일본화 과정

백제의 야마토왜와 일본화 과정

최재석 (지은이)
만권당
4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7,800원 -10% 0원
2,100원
35,700원 >
37,800원 -10% 0원
0원
37,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4개 2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9,400원 -10% 1470원 24,990원 >

책 이미지

백제의 야마토왜와 일본화 과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백제의 야마토왜와 일본화 과정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백제
· ISBN : 9791188992218
· 쪽수 : 612쪽
· 출판일 : 2023-07-07

책 소개

‘백제의 야마토왜(大和倭)와 백제 야마토왜의 일본으로의 변신 과정’을 다룬 책으로, 일본 고대사 연구에 대한 열 편의 논고를 모은 책이다. 1990년에 출간된 『백제의 야마토왜와 일본화 과정』의 신판이다.

목차

머리말
들어가며

1부 일본 고대국가 연구의 올바른 시각
1. 문화의 시각과 인간 집단의 시각
2. 이주민과 원주민
3. 일본 국가사와 일본 고대사

2부 일본열도 내 한민족과 일본 원주민의 수 및 문화 수준
1장 고대 일본열도로 건너간 한민족과 일본 원주민의 수의 추정
1. 머리말
2. 일본열도에 건너간 이른바 대륙인과 일본 원주민의 수
3. 『일본서기』로 본 일본 이주자의 국적
4. 한국 이외 지역에서 야마토왜로 건너간 이주민의 수
5. 야마토왜로 건너간 한민족의 수
6. 맺는말

2장 일본 원주민의 문화 수준과 고대 일본의 개척자
1. 머리말
2. 일본 원주민의 문화 수준
3. 야마토 지역의 개척자
4. 맺는말

3부 일본 고대 천황과 지배층의 원적
1장 일본 고대 천황의 원적
1. 머리말
2. 『고사기』와 『일본서기』의 귀신시대 설화에서 본 천황의 원적
3. 「덴지기」에서 본 백제와 일본 조정의 관계
4. 「비다쓰기」에서 본 천황의 원적
5. 「조메이기」에서 본 천황의 원적
6. 『신찬성씨록』에서 본 천황, 황자의 원적
7. 일본열도를 뒤덮고 있는 한국 국명을 본뜬 지명
8. 맺는말

2장 일본 고대국가 지배층의 원적
1. 머리말
2. 야마토왜의 실질적인 왕으로서의 소가씨의 원적과 활동
3. 모노노베씨의 원적과 활동
4. 각 분야 지배층의 원적
5. 맺는말

4부 야마토왜와 인접 국가의 관계
1장 백제의 야마토왜와 고구려·신라의 관계
1. 머리말
2. 야마토왜와 고구려의 관계
3. 야마토왜와 신라의 관계
4. 야마토왜에서의 고구려인, 신라인과 그 문물의 수용
5. 맺는말

2장 백제의 야마토왜와 중국의 관계
1. 머리말
2. 야마토왜와 다른 또 하나의 왜
3. 오와의 관계
4. 당과 야마토왜의 관계
5. 맺는말

5부 야마토왜의 ‘일본’으로의 변신 과정
1장 백제와 야마토왜의 관계
1. 머리말
2. 야마토왜 경영에 대한 백제왕의 의지와 실천
3. 야마토왜의 왕궁명과 백제 관인의 야마토왜 파견 근무제
4. 백제의 불교, 학문과 일본 고대국가
5. 쓰쿠시관, 나니와관의 기능과 일본 고대국가
6. 일본에서의 백제 관위 사용과 야마토왜 관인에 대한 백제왕의 업무 지시
7. 백제가 잡은 포로의 일본 송치와 백제 장군의 쓰쿠시(기타큐슈) 방비
8. 일본 고대국가의 해상수송 능력과 통역
9. 맺는말

2장 백제의 야마토왜 형성과 발전
1. 머리말
2. 야마토왜의 형성 시기
3. 초기의 국가적 사업으로서의 저수지 구축과 논 개척 사업
4. 야마토왜의 강역과 그 확대
5. 고대국가 경영의 발전
6. 맺는말

3장 백제의 야마토왜와 ‘일본’으로의 변신 과정
1. 머리말
2. 야마토왜의 강역
3. 백제의 야마토왜 경영과 야마토왜의 백제인 과시
4. 백제가 직영한 야마토왜가 일본으로 변신하는 과정
5. 맺는말

후기
이 책에 실린 논문의 목록
찾아보기

저자소개

최재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앙대학교, 고려대학교 교수와 하버드대학교 교환교수를 지냈다. 한국사회사 분야의 저서로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한국 가족 연구』, 『한국 농촌사회 연구』, 『제주도의 친족 조직』, 『현대 가족 연구』, 『한국 가족제도사 연구』, 『한국 고대사회사 방법론』, 『한국 고대사회사 연구』, 『한국 농촌사회 변동 연구』, 『한국 초기 사회학과 가족의 연구』, 『한국 사회사의 탐구』, 『한국의 가족과 사회』, 『Social Structure of Korea』, 고대 한일관계사 분야의 저서로 『일본 고대사 연구 비판』, 『통일신라·발해와 일본의 관계』, 『정창원 소장품과 통일신라』, 『고대 한일 불교 관계사』, 『일본 고대사의 진실』, 『고대 한국과 일본열도』, 『고대 한일관계와 일본서기』, 『고대 한일관계사 연구』, 『일본서기의 사실 기사와 왜곡 기사』, 『Ancient Korea-Japan Relations and the Nihonshoki』(Oxford: The Bardwell Press) 등이 있으며, 학문 회고록 『역경의 행운』 등 수십 권의 저서와 수백 편의 연구 논문이 있다. 제1회 한국사회학회 학술상, 제24회 한국출판문화상, 제46회 3·1문화상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일본 개척은 이들과 그 자손에 의해서만 행해진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들보다도 그 후의 백제, 신라, 고구려의 삼국, 특히 백제 조정과 백제로부터의 연이은 개척민에 의해 행해진 것이 많았다. 개인 단위의 고급 전문 기술자의 이주도 이루어졌지만 같은 기술자 집단이나 조직이 모조리 일본에 이주해 개척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6세기부터는 백제 조정의 지시에 의해 3년 또는 7년간 일본에 파견되어 그곳을 관리 하다가 후임자에게 그 임무를 인계하고 백제로 귀국하는 식의 개척도 이루어졌다.
일본에 이주한 한국인이나 그 자손에 의해 개척된 것보다는 5세기에서 6세기를 거쳐 7세기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한국, 특히 백제에 의해 파견된 백제 국적의 사람에 의해 고대 일본이 개척된 경우가 더 많았다는 것은[이것은 벼슬아치, 오경박사, 승려, 역박사(易博士), 역박사(曆博士), 의박사, 채약사, 악인 등이 일정 기간 일본에 파견 근무하는 제도에 전형적으로 나타나 있지만] 바로 고대 일본(야마토왜)은 야마토왜 자체가 개척한 것이 아니라 본국인 백제가 개척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 ‘2부 일본열도 내 한민족과 일본 원주민의 수 및 문화 수준’에서


우리는 이미 일본 고대 천황의 원적을 살펴보았으며, 고대 일본으로 건너간 한국인과 일본 원주민의 수를 추정해보기도 했다. 그 결과, 우리는 일본 고대 천황은 유라시아인도 동북아시아인이나 아시아 대륙인도, 그리고 부여족도 아닌 명백한 백제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700년 당시 일본으로 건너간 한국인과 일본 원주민의 비율은 9:1 내지 8:2, 즉 700년 당시 일본 전체 인구의 80~90퍼센트는 한민족이 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 우리는 일본 원주민은 그 수에서뿐만 아니라 문화적 수준에서도 한국인에 비해 매우 뒤처져 있으며, 일본 사회를 개척한 사람은 거의 전부 백제 왕국과 백제에서 건너간 백제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 ‘3부 일본 고대 천황과 지배층의 원적’에서


일본 고대사의 진실 은폐는 『일본서기』보다는 『속일본기』나 『신찬성씨록』 등 후기의 기록일수록 더 많이 나타나고 있고, 역사적 기록보다도 일본 고대사학자의 연구나 해설 등에서 더욱 그 정도가 심한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일본서기』에 은폐·조작된 부분이 적은 것은 아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일본서기』 자체가 일본 고대사의 진실을 은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도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비록 『일본서기』에 진실을 왜곡·은폐한 부분이 적지 않다고 하더라도 역사의 진실된 부분도 상당수 간직되어 있다. 『일본서기』가 역사적 사실을 기록하고도 한편으로는 이것을 은폐하기 위해 허위 역사(이를테면 임나일본부, 진구의 신라 정벌, 고구려·백제·신라의 일본 예속 등)를 기록하고 있지만, 역사적·사회적 맥락의 시각에서 보면 그 허위의 기록은 곧 간파될 수 있는 것이다. 일본 고대사학자들이 메이지 시대부터 성역화한 부분이 바로 『일본서기』의 허위 기술 부분이었던 것이다. 이 허위 조작된 부분에는 기년, 왕호(천황), 국호(일본) 등에 관한 것도 포함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 ‘5부 야마토왜의 ‘일본’으로의 변신 과정’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88992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