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학술 연구 첫걸음

학술 연구 첫걸음

(의미있는 연구 과제 선택하기)

토머스 멀레이니, Christopher Rea (지은이), 이형진, 최종원 (옮긴이)
휴먼싸이언스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학술 연구 첫걸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학술 연구 첫걸음 (의미있는 연구 과제 선택하기)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91189057343
· 쪽수 : 310쪽
· 출판일 : 2022-11-21

목차

감사의 글
역자 서문
들어가는 말: 연구자 중심의 연구
1. 자기주도적 연구의 선언문 7
2. 최고의 연구는 연구자 중심의 연구 10
3. 이 책의 사용법 14
4. 첫 번째 단계는 내적 과정, 두 번째 단계는 외적 과정 22
연습 과제 지금 바로 글로 남기기 23

제1부 자기주도적 연구자 되기
제 1 장 연구 질문 만들기
1. 연구 주제는 연구 질문이 아니다. 31
연습 과제 여러분 자신 찾기 43
연습 과제 지루함을 유용한 판단기준으로 만들기 51
연습 과제 작고 구체적인 연구 질문 만들기 56
자문 그룹의 한 마디 “연구 네트워크를 만들어 보세요.” 61
2. 연구 질문으로 가는 여정을 시작하자. 63

제 2 장 연구 문제 파악하기
1. 성급한 연구 질문은 피하자. 66
2. 연구 질문을 검증하자. 70
연습 과제 연구 질문 진단하기-‘질문을 평가하세요’ 71
연습 과제 1차 핵심 자료 활용을 통해 질문 완성도 높이기 76
연습 과제 연구 전제 구체화하기 86
연습 과제 연구 질문들을 연결하는 연구 문제 확인하기 92
자문 그룹의 한 마디 “1차 핵심 자료를 잘 활용하세요.” 94
3. 연구 문제를 마무리하자. 95

제 3 장 효과적인 연구프로젝트 설계하기
1. 1차 핵심 자료를 활용하자. (‘시리얼 상자’ 설명문을 읽는 50가지 방법 예시) 99
연습 과제 1차 핵심 자료를 ‘시리얼 상자’처럼 읽기 110
연습 과제 1차 핵심 자료를 상상하기 114
2. 흩어진 점들을 연결하자. 119
3. 참고문헌은 연구자가 책임을 짊어지자. 127
연습 과제 자료를 활용해서 흩어진 점들을 연필로 이어가기 135
4. 연구 관련 환경을 검토하자. 137
연습 과제 결정을 내리는 복잡한 매트릭스 142
자문 그룹의 한 마디 “여러분의 결정 매트릭스는 완성되었나요?” 145
5. 플랜B의 두 가지 유형을 살펴보자. 146
6. 적절한 연구 공간을 만들자. 153
연습 과제 사소한 준비로 대박 나기 (연구계획서 준비하기) 160
자문 그룹의 한 마디 “연구계획서의 부족함을 이해하는 멘토와 공유하세요.” 169
7. 드디어 연구프로젝트를 시작하자. 170

제2부 자신의 한계 뛰어넘기
제 4 장 동일한 문제를 연구하는 동료 연구자 공동체 찾기
1. 자신과 동일한 문제를 공유하는 연구 동료를 찾아보자. 179
연습 과제 연구 문제의 변수 용어 한 가지 바꾸기 186
연습 과제 연구의 전후 맥락 파악하기 196
연습 과제 ‘동일한 문제를 연구하는 동료 연구자 공동체’의 연구 파악하기 (2차 보조 자료 검색하기) 203
2. ‘동일한 문제를 연구하는 동료 연구자 공동체’를 위해 다시 쓰자. 207
연습 과제 ‘전공자의 전문 용어’ 찾아서 바꾸기 214
자문 그룹의 한 마디 “쉽게 읽을 수 있는 여러분의 연구계획서는 이제 제대로 이해되나요?” 218
3. 자신의 분야 밖에서 ‘동일한 문제를 연구하는 동료 연구자 공동체’와 함께 가자. 219

제 5 장 연구 분야 탐색하기
1. 자신의 학문 분야에서 연구 문제를 찾아보자. 226
2. 문헌리뷰의 재해석을 통해 학문 분야 안밖의 연구자들과 소통하자. 229
연습 과제 기존의 학문 분야 분류 대신 연구 문제 중심으로
자신의 학문 세계 재편하기 235
연습 과제 다른 연구자의 연구 문제의 변수 용어 바꾸기 240
연습 과제 자신의 학문 분야를 위해 다시 쓰기 247
자문 그룹의 한 마디 “여러분의 학문 분야에서 자문 그룹을 찾아보세요.” 252
3. 자신의 학문 분야의 동료 연구자 공동체와 함께 가자. 253

제 6 장 연구결과물 집필 시작하기
1. 걱정하지 말자. (이제 남은 것은 글쓰기뿐이다.) 257
연습 과제 ‘초고 #0’ 작성하기 263
2. 자신의 내면을 읽어내자: ‘초고 #1’ 작성하기 267
연습 과제 ‘초고 #0’에서 ‘초고 #1’로 이동하기 270
3. 완벽함은 지루하다. 275
자문 그룹의 한 마디 “여러분 자신의 내면과 이야기하세요.” 277
4. ‘자기주도적’ 연구를 시작하자. 278
나가는 말: 연구 여정의 다음 단계
연습 과제 새로운 연구 문제를 찾고 새로운 연구프로젝트
시작하기 281
연습 과제 다른 연구자 도와주기 285

추천 도서 291
찾아보기 293

저자소개

토머스 멀레이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존스 홉킨스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컬럼비아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수여받았다. 2006년부터 스탠퍼드대학교의 중국 역사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젊은 학자로서, ≪학위논문 리뷰(Dissertation Reviews)≫의 수석 편집인이기도 하다. 어셔상, 국립과학재단 펠로십상, 구겐하임 펠로십상, 의회도서관 펠로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이형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뉴욕주립대(빙햄턴)와 펜실베이니아주립대에서 비교문학 석·박사를 취득한 후, 라이스대학교에서 강의했으며, 숙명여대 영문학부 번역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문학 공동번역서는 Korean Green Literature: An Anthology of Seven Contemporary Korean Eco-Poets(산림청, 2020), Grasshoppers’ Eyes: Po-ems (Ko Hyeong-Ryeol)(Parlor Press, 2017), Walking on a Washing Line: Poems of Kim Seung-Hee(Cornell UP, 2010), O T’aesok’s “Bellflower” in Modern Korean Dra-ma(Columbia UP, 2009), Allegory of Survival: Theater of Kang-Baek Lee(Cambria Press, 2007) 등이 있으며, 저역서로는 『K문학의 탄생: 한국문학을 K-문학으로 만든 번역이야기』(김영사, 2023, 공저), 『문학번역: 대학에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한국외대출판부, 2015, 공역), 『문학번역의 세계-외국문학의 영어번역』(한국문화사, 2009, 번역) 등이 있다.
펼치기
최종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 컴퓨터과학부 교수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박사 / 한국정보과학회 부회장 / 전) 한국인터넷윤리학회 회장, SW교육봉사단 단장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