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91189118280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5-10-03
책 소개
목차
추천하는 말 … 11
인사말 … 23
머리말 개정증보4판 … 25
머리말 개정증보3판 … 27
옮긴이 인사말 … 33
1. 그래도 성경 강해설교 하기_The Case for Expository Preaching … 37
2. 빅 아이디어 이해하기_What’s the Big Idea? … 57
3. 빅 아이디어를 찾는 도구 갖추기_Tools of the Trade … 77
4. 본문에서 설교까지 전개하기_The Road from Text to Sermon … 105
5. 설교 방향 잡고 목표 정하기_The Arrow and the Target … 133
6. 설교 얼거리 짜기_The Shapes Sermons Take … 149
7. 설교 얼거리에 활기를 불어넣기_Making Dry Bones Live … 177
8. 설교 서론은 인상 깊게 시작하고 설교 결론은 완벽하게 마무리 짓기_Start with a Bang and Quit All Over … 209
9. 설교 사상을 빛내기_The Dress of Thought … 231
10. 청중이 알아듣게 설교하기_How to Preach So People Will Listen … 251
마치는 말 … 273
설교 본보기 및 평가 … 279
설교 전개 연습문제 … 299
참고 자료 … 367
성경 본문 찾아보기 … 379
사람 찾아보기 … 383
주제 찾아보기 … 387
개정증보3판 바꿈ㆍ덧붙임 찾아보기 … 396
개정증보4판 바꿈ㆍ덧붙임 찾아보기 … 397
리뷰
책속에서
성경 강해설교, 개정증보4판은 이전 판과 본질적으로 똑같습니다. 성경 본문을 석의해서 영적 도움과 인도가 절실한 사람에게 전달하기까지 빅 아이디어 강해설교를 만드는 모든 필수 단계를 여전히 풀어냅니다. 이 방법론에 익숙한 분은, 제가 석의 아이디어에서 강해 또는 설교 아이디어 만들기로 이동할 때 신학 아이디어(theological idea) 단계를 추가한 사실을 곧바로 눈치채십니다. 해돈 교수님께서는 직관적인 명석함으로 석의 아이디어와 설교 아이디어를 매끄럽게 연결하셨습니다. 그러나 지난 30년 동안 그분 방법론으로 설교학을 가르치면서, 저는 신학 아이디어를 공식화하는 중간 단계가 설교를 공부하는 이를 돕는 데 큰 가치가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개정한 또 다른 내용은 주로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문화 환경의 변화와 추가 연구와 관련해 몇 가지 최신 자료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뒀습니다. 주님께서 바라시는 대로, 성경 강해설교, 개정증보4판은 남성과 여성이 모두 하나님의 말씀을 전할 수 있도록 돕는 중심 역할을 이어가리라 기대합니다. 그 방법론은 물론이고 명확성, 말씨, 예화 사용 등은 모든 목회자와 설교자가 되려는 모든 분에게 필수품입니다.
하나님 권위의 능력을 가장 잘 전달하는 설교 유형이 바로 강해설교(expository preaching)이다. … 진정한 강해설교(genuine expository preaching)를 하는 설교자는 청중이 살아 계신 하나님의 능력을 경험하게 한다. … 강해설교는 성서 개념, 곧 성서 구절을 그 문맥에서 역사적, 문법적, 문학적으로 연구해 길어내 바꾼 개념을 소통하기인데, 성령께서 이를 먼저 설교자 인격과 경험에 적용하시고서 그 설교자를 거쳐 청중에게도 적용하신다.
아이디어를 ‘빈틈없이 정확하게’ 정의하려면, 아이디어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알아야 한다. 아이디어를 그 기본 구조로 축소하면, 아이디어는 ‘주제 요소(subject)’와 ‘부연 요소(complement)’로 이룬다. 둘 다 꼭 있어야 할 요소이다. 아이디어 주제 요소는 “내가 무엇을 말하는가(What am I talking about)?”라는 질문에 완전하며 명확한 대답을 의미한다. … 설교 아이디어에 주제 요소 홀로 있을 수 없다. 주제 요소만으로는 불완전하니, ‘부연 요소’가 있어야 한다. 부연 요소는 “내가 말하는 바에 관해 무엇을 말하는가(What am I saying about what I am talking about)?”라는 질문에 답함으로써, 주제 요소를 ‘완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