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논어, 이것을 알지 못하면

논어, 이것을 알지 못하면

신광철 (지은이)
당신의서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0개 4,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논어, 이것을 알지 못하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논어, 이것을 알지 못하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공자/논어
· ISBN : 9791189141028
· 쪽수 : 560쪽
· 출판일 : 2018-04-12

책 소개

시간이 빚어놓은 인생, 그 안에는 신비와 기적이 있다. 생명이라는 특별한 현상을 몸에 지니고 사는 인생은 살아볼 만한 가치가 있다. 삶은 죽음이란 절벽과 마주 서 있다. 그래서 삶은 외줄타기다. 생명현상이란 줄을 타다가 떨어지면 바로 추락하는 것이다.

목차

PROLOGUE 논어를 읽는 기쁨

01 공자의 사생활

1_ 공자의 품행
진실하게 분명하게 | 공손하게 근엄하게 | 손님이 뒤돌아보지 않게 | 발걸음도 신중하게 | 배우는 사람 | 스승은 어디에나 있다 | 군자는 이상형 | 까다롭게, 마땅하게 | 앉기 | 음주법 | 약에 관하여 | 사람이 먼저다 | 임금과 신하 | 측은지심 | 표정도 예의다 | 의전을 받을 때 | 대접받는 법 | 공자의 노래 | 아낀 말들 | 한가해 일이 없을 때 | 조상과 신과 함께 | 도덕을 실천하는 법 | 신중한 일들 | 말하지 않은 것들 | 있는 그대로 드러냄 | 네 가지 가르침 | 무욕 | 편안함의 조건 | 四無爲 | 종종걸음

2_ 공자의 가족
공자의 아들 | 공자의 아들 | 공자의 조카사위, 남용 | 남용 | 남용

3_ 은자(隱者)와의 만남
미생묘 | 은자는 누구인가 | 지음 | 광인 접여 | 장인 | 공자를 조롱하다


02 제자와의 대화

1_ 안연(顔淵)편
예가 아니면 | 공자보다 나은 제자 | 수제자와 애제자 | 어질다, 안회여 | 공자의 인재상 | 공자가 인정한 유일한 인자 | 오직 안회뿐 | 항상 기뻐하는 제자 | 형식은 없다 | 절규 | 통곡 | 안회는 친자식이다 | 가난한 안회, 부유한 자장 | 죽음의 순서 | 맞춤 교육 | 노나라 임금, 애공 | 안회, 안자 | 안회, 仁을 이루다 | 묵묵히 기뻐하고 행동하는 | 유일무이

2_ 자로(子路)편
협객 자로 | 과연 협객이로다 | 아마도 자로일 것이다 | 안다는 것 | 공자가 사랑한 자로 | 불완전 仁 | 조금 모자라지만 착한 제자 | 내가 잘못한 것이라면 | 자기소개 | 기도 | 거짓말 | 순진한 자로다 | 통찰 | 자로를 무시하지 말라 | 맞춤 교육 | 공부라는 준비 | 공자의 평 | 성인 대 성인 | 관중은 인자다 | 반문 | 직언하라 | 운명 앞의 가소로운 모험 | 안 되는 줄 알면서도 | 감정 조절 | 즐길 이가 없다고 향기를 멈추랴 | 어른이 아이에게 | 자신감 | 어찌 나를 까닭 없이 부르랴 | 배움의 효과 | 용기와 의로움

3_ 자공(子貢)편
정치를 보는 눈 | 하나를 들으면 둘을 아는 | 말보다 행동 | 진정 아끼는 것 | 그릇 | 이를 수 없는 경지 | 알 수 없는 것 | 묻는 즐거움 | 仁의 실천 | 백이와 숙제 | 재주의 비결 | 팔려야 구슬이다 | 과유불급 | 정치를 묻는다 | 형식도 중요하다 | 듣지 않으면 멈추어라 | 그래도 정치는 필요하다 | 정치의 비극 | 자책 | 정치 예술 | 살아 있는 논어 | 하늘만이 | 통찰 | 벗 고르기 | 관계 | 하늘은 말이 없다 | 인덕 실천법 | 군자는 | 군자는 | 스승이 될 수 있다 | 공자의 세계

4_ 증자(曾子)편
중심 된 마음 | 해와 달 | 평생 추구한 道 | 마음의 한가운데 | 살얼음 위를 걷듯 | 군자의 세 가지 道 | 겸허한 내 친구 | 누가 군자인가 | 먼 길 | 글과 벗 | 생각의 자리 | 어려운 일 | 정성 | 따라하기 어려운 일 | 안타까움

5_ 민자건(閔子騫)편
민자건 | 민자건의 효성 | 사양

6_ 번지(樊遲)편
늙은 농부 | 어긋남이 없도록 | 지혜로운 인자 | 오랑캐 땅에서도 | 분별의 힘

7_ 염옹(?雍)편
무용지물 | 소탈한 사람 | 仁의 실천 | 인재 | 현자 등용법

8_ 염구(苒求)편
도전 | 성토의 북 | 공과 사 | 임방만도 못한 태산 | 부강 이후 | 무기로 할 수 없는 일

9_ 자유(子游)편
봉양과 공경 | 담대멸명 | 웃자고 한 말 | 道에는 사소함이 없다 | 후회 없이 슬퍼하라 | 충고에 대한 충고

10_ 자장(子張)편
선비의 생각 | 폭넓게 너그럽게 | 출세의 비법 | 과거를 보면 미래를 알 수 있다 | 멀고 먼 仁의 경지 | 현명함은 멀리보기 | 미혹에 빠지지 않는 법 | 좋은 정치가 | 명성과 통달 | 년 수행 | 허리띠에 새긴 지혜 | 도리 | 恭寬信敏惠 | 아직 | 다섯 가지 미덕과 네 가지 악덕 | 따름

11_ 자하子夏편
배운 사람 | 간단하지 않은 孝 | 하얀 천에 그림을 그리듯 | 두 선비 | 과유불급 소탐대실 | 바다가 강을 사귀는 법 | 벼슬과 공부 | 덕의 울타리 | 먼 길 위의 돌멩이 | 날마다 달마다 | 仁의 자리 | 배움의 현장 | 꾸며대는 이유 | 세 번의 변신 | 믿음의 진실

12_ 유자(有子)편
조화와 절제 | 적절한 거리

13_ 대화(對話)편
그리운 제자들 | 단점 | 겸손보다 좋은 정치는 없다 | 행실 | 백우의 병 | 자리만 채우는 신하 | 겸양 | 좋은 과세법 | 수치스런 녹봉



03 공자의 사상

1_ 인(仁)편
실천 속 仁 | 어진 마을 | 인자 식별법 | 청춘의 길 | 진실로 | 허물을 보면 | 어떻게 살 것인가 | 우리가 배울 점 | 전쟁의 원인 | 시간차 | 仁의 이웃들 | 仁은 더 어렵다 | 仁의 가치 | 백성을 움직이는 힘 | 물과 불보다 강한 | 스승에게도 양보 못할

2_ 의(義)편
용기 | 걱정거리 | 뜬 구름 | 의로운 지혜 | 들어는 보았다

3_ 예(禮)편
두 가지 통치수단 | 검소한 예, 교만한 예 | 예는 음악처럼 보이지 않는다 | 나쁘게 말하기 | 묻고 또 물어 닿는 길 | 부리는 禮 | 관중의 임금 행세 | 보기 싫다 | 모난 술잔 | 약속 | 몸의 언어

4_ 효(孝)편
바꾸지 않는다 | 바꿀 수 없다 | 걱정하지 않게 | 부모님의 나이 | 성인도 세속에 산다 | 다움 | 정직

5_ 도(道)편
길 | 적다 | 있다면 | 마음으로 마음을 | 최소 년 | 정치라는 모험 | 실천 | 공자의 道 | 군자의 두 가지 방법 | 道를 말한다 | 같은 일을 걷고 있는가

6_ 치(治)편
옳은 일을 하는 것 | 인재 | 무위 | 정치의 정의 | 정치의 정의

7_ 학(學)편
친구 | 공자의 일생 | 배움 | 이단 | 즐김 | 돌아보기 | 벼슬 | 道가 있는 나라 | 배움에 임할 때 | 몰입 | 아는 사람

8_ 공자어록(語錄)편
나에서 남으로 | 북극성 | 살펴보기 | 믿음의 멍에 | 임금의 존재 | 하늘신 | 원망의 원인 | 진짜 걱정 | 어떤 사람을 보면 | 안전 | 외롭지 않게 | 강건한 사람이 그립다 | 돌아가자 | 부끄러움 | 나를 꾸짖다 | 홍안화수 | 요행의 함정 | 잘 알려진 문장 | 형이상학 | 중용 | 최소한의 예 | 스스로 알게 | 좋아하는 일 하기 | 누구나 스승 | 따르는 것과 아는 것 | 직위에 맞게 | 내가 모르는 바 | 나는 모른다 | 그만둘까 | 흐르는 물 | 德을 좋아하듯 | 삼태기 | 싹에서 열매까지 | 이름은 덧없다 | 고쳐라 | 반드시 고쳐라 | 의지다 | 상록수의 진가 | 하물며 죽음을 | 송사 없는 세상 | 솔선수범 | 진실로 | 사형 없는 나라 | 자신이 바르면 | 차라리 | 한결같게 | 년이면 | 국민교육 | 편안한 부족 | 나라의 道 | 진실로 진심으로 | 어려운 일 | 부끄러울 용기 | 걱정할 것 | 먼저 깨닫기 | 德의 힘 | 은혜의 대가 | 현자가 피할 것 | 말솜씨 | 멀리 생각하기 | 德보다 여자 | 원망 방지책 | 고민하라 | 칭찬할 백성 | 큰 덕을 위하여 | 무조건 살펴보라 | 진짜 잘못 | 경건의 부수입 | 평등의 교육 | 정확성 | 여섯 벗 | 선택은 당신 몫 | 배움의 차이 | 불변의 진리 | 도적 | 德도둑 | 길에 버린 덕 | 간신 | 배부른 후에 | 끝 | 깨끗한 마음 | 차라리 고루한 게 | 다루기 어려운 두 사람


04 인자, 군자, 고자

1_ 인자(仁者)편
편안하고 이로운 비결 | 애증하니까 사람이다 | 들어는 보았다 | 仁者와 知者 | 그럼 용감한 사람은 | 필요조건, 충분조건

2_ 군자(君子)편
무엇에 밝은가 | 학문을 좋아하는 사람 | 근본이 서면 | 당파로 본 차이 | 군자라면 | 그릇에 담을 수 없는 | 경쟁도 군자답게 | 세상의 목탁 | 넘어지더라도 | 오직 의롭게 | 생각의 차이 | 거북의 말, 토끼의 뜀 | 군자의 덕 | 자산子産 | 공자의 심부름 | 내용과 형식 사이 | 우물에서 仁을 찾느냐? | 완성된 사람 | 한결같은 사람이라도 | 다행이다 | 고백 | 마음챙김 | 예가 없으면 | 군자의 땅 | 군자는 겉모습이 아니다 | 말솜씨에 속지 마라 | 풀이 바람의 깊은 뜻을 알랴 | 화이부동 | 군자를 기쁘게 하는 법 | 겸손한 거인 | 어진 소인은 없다 | 꿰뚫는 방향 | 군자가 부끄러울 때 | 화살이 되어 도에 꽂히다 | 이것이 군자다 | 군자의 흠 | 깨달음의 명예 | 누구 탓인가 | 군자의 궤도 | 마음을 본다 | 道로 배를 채운다 | 큰 일에 강하다 | 굵으며 곧다 | 군자에게 조심할 세 가지 | 군자삼적 | 군자도 두려워한다 | 아홉 가지 생각 | 삼년상의 원리 | 군자의 용병술 | 이것을 알지 못하면 | 군자의 능력

3_ 고자(古者)편
경험의 중요성 | 온고지신 | 공정의 기쁨 | 아는 것만 말할 수 있다 | 끝까지 정성을 다하라 | 손바닥 보듯 | 빛나는 주나라 | 아름다우면서 부드럽게 | 언행일치 | 용서 | 좋은 변화 | 옛것이 좋다 | 꿈에서라도 | 나를 키운 것 | 나의 바람, 주역 | 아름다운 거절 | 교만하지 않게 | 위대한 리더십 | 형언할 수 없는 넓이 | 사랑의 군주 | 형제의 나라 | 둘 다 仁이 없었다 | 배움의 목적 | 옛사람, 요즘 사람 | 은자 | 팔선비 | 세 충신 | 활을 쏘는 법


05 공자시대

1_ 공자시대의 사람들
먼저 공경하라 | 도둑을 없애는 법 | 신하들의 공 | 떠나는 이유 | 두 번이면 족하다 | 효 | 벼슬하는 이유 | 진정한 장수 | 어찌 그럴 수가 | 협박 | 예언 | 변치 않는 마음 | 도리와 예의 | 지혜로운 어리석음 | 지나친 예 | 인명재천 | 각자의 일 | 하늘의 뜻 | 아름다운 만족 | 외교문서 | 관중 | 그릇 | 시호 | 허물 줄이기 | 꾸짖는 지팡이 | 공부하지 않는 아이 | 말조심하는 까닭 | 반성이 근심을 없앤다 | 모두가 형제 | 작은 아이 | 자리도둑 | 완곡한 거절 | 임금 행세 | 임금 행세 2

2_ 공자시대의 주공(主公)
한마디 | 누가 칭송받는가 | 변명 | 윗물이 맑아야 | 과거는 잊으라 | 대부라는 자리


06 시와 음악

1_ 시(詩)
시는 처음이다 | 거짓 없는 생각 | 늘 | 그리움 | 시의 실천 | 시를 배우는 이유 | 관저

2_ 음악(音樂)
마음의 완성 | 고기 맛을 잃다 | 아송 | 미워하는 것 | 떠나버린 음악가들 | 찰랑찰랑 | 무엇을 한들

EPILOGUE 논어의 의미와 공자의 일생

*부록: 변환표

저자소개

신광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살아 있을 때 살아야 한다'고 한다. 그리고 '산 것처럼 살아야 한다'고 한다. 신광철 작가는 한국, 한국인, 한민족 에 대한 관심이 많다. 무엇보다 한국인의 뿌리를 찾고자 한다. 그리고 한 국인에 대한 기질과 정신에 대하여 꾸준히 연구해 왔다. 야생으로 자라는 풀과 나무를 산이나 들 그리고 바다에서 채취해서 먹는 민족이 한국인이다. 다른 나라 사람들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다. 이유는 무서워서다. 먹고 죽을 수도 있고, 배탈이 날 수도 있고, 졸도할 수도 있 다. 풀이 가진 약리 성분은 물론 야생초마다 가진 맛과 조리방법이 다른 것을 꿰뚫어 보고 있다. 진정 무서운 것은 전 국민이 알고 있다는 점이 다. 그래서 나물문화라고 한다. 정말로 놀라운 민족이다. 신광철 작가는 한국인만이 가진 특이점과 변별성을 찾아내 한국인을 분석하고 탐색한다. 예리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다. 우리가 당연하다고 스쳐지나가는 것을 짚어내어 특별함을 부여한다. 나물문화가 그렇다. 어쩌다 한 번 빠르게 일처리하기도 어려운데 한국인은 빨리빨리를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할 까. 놀라운 능력이다. 한국인은 세계에서 단위 인구 당 여행을 가장 많이 한다. 여행도 모험이다. 호기심이 발동하고, 모험심 과 탐험심이 있어야 가능한 것이 여행이다. 다 이유가 있다. 신광철 작가 는 한국인의 특성을 하나하나 짚어서 설명한다. 한국인의 행동과 사고 체계를 신광철 작가는 한옥에 대한 책을 5권이나 냈다. 한국의 문화유산에 대한 책도 2권 냈다. 최근작으로 대하소설 [소설환단고기] 5권을 냈다. 그리고 [꼬마철학자두발로]와 [긍정이와 웃음이의 마음공부여행] 이란 제목으로 1권 [꿈은 이루어서 자신에게 선물하는 거야] 와 2권 [인연은 사람을 선물받는 거야] 를 출간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 논어의 맛은 공자를 위대하게 만들기도 하고, 공자를 이웃집 할아버지처럼 친근하게도 만든다. 공자의 사상과 삶이 들어있다. 공자의 철학이 들어 있고 공자가 제자와 언쟁을 벌이는 모습까지도 소설처럼 그대로 적혀 있다.


▶ 공자는 어느 누구보다도 학문에 뜻을 둔 학자였지만 현실 참여에 강한 집념을 보인 정치가였다. 논어는 인류역사상 최초로 전하는 정치학 교과서다. 논어가 2,500년 동안 살아남아 꿈틀거릴 수 있는 이유는 첫째, 인간의 실제 생활에 기반을 둔 철학이고 사상이어서다. 둘째, 인간관계에 대한 정의를 확립한 사상이기 때문이다. 인간은 인간에 의해서 비로소 인간다워진다. 밀착된 인간관계에 중점을 두었다. 인간인 나로부터 출발해 혈연관계인 가족, 바로 붙어 살아야 하는 이웃, 나라, 사회와의 관계를 구체적이면서 실증적으로 다루고 있다. 셋째, 공자를 성인화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공자를 써내려간 인간적이고도 사실적인 집필에 있다.


▶ 공자에 대한 절대적인 흠모는 상상을 초월한다. 중국이나 동북아의 여러 나라에서 공자를 배우고 통치의 중요 이념으로 받아들였다. 중국의 중화요리는 청나라의 황제가 공자의 묘를 참배할 때 공자의 후손들이 황제를 접대하기 위해 개발한 요리라고 한다. 공자가 태어난 곳은 산동성의 곡부다. 이것이 산동요리의 기초가 되었고 북경에서도 산동요리가 전해져 중화요리로 일반화되었을 정도로 공자의 영향력은 컸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