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돈황본 육조단경

돈황본 육조단경

(증보판)

혜능 (지은이), 정성본 (옮긴이)
민족사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돈황본 육조단경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돈황본 육조단경 (증보판)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 ISBN : 9791189269494
· 쪽수 : 560쪽
· 출판일 : 2020-06-22

책 소개

중국 선종의 제6조인 혜능 선사의 유일한 설법집. 중국 선불교의 사상 · 철학 · 수행 체계를 종합적으로 제시하는 책이다. 대승불교와 대승경전의 사상을 한 권에 집약하고 있어 중국 선종, 특히 남종 조사선의 사상적 토대를 정립한 중요한 책이다.

목차

일러두기 7
六祖慧能 肖像 8
六祖大鑑禪師贊 9

1장 因 緣
1. 首題 17
2. 편집자 17
3. 序言 30

2장 求法이야기
4. 혜능이 금강경을 듣다 37
5. 홍인 화상과의 만남 44
6. 홍인이 대중에게 心偈를 지어 제출하도록 하다 51
7. 대중은 심게(心偈)를 짓지 않다 57
8. 신수가 심게(心偈)를 지음 61
9. 홍인은 신수를 인가하지 않았다 65
10. 혜능이 심게(心偈)를 짓다 69
11. 혜능이 홍인의 선법을 전수받음 75
12. 혜능이 남쪽으로 떠남 79
13. 혜명이 대유령에서 법을 구함 81

3장 說 法
14. 혜능의 법문 ― 반야의 법을 설함 87
15. 정혜(定慧)가 둘이 아닌 이치 90
16. 一行三昧의 법문 96
17. 등과 등불의 비유 103

4장 坐禪의 定義
18. 법에는 돈점이 없다 109
19. 無念, 無住, 無相, 無縛의 법문 114
20. 좌선의 이치 125
21. 좌선의 정의 132

5장 無相戒 수계설법
22. 무상계(無相戒)의 법문 143
23. 사홍서원(四弘誓願)을 발원함 157
24. 무상(無相) 참회의 법문 162
25. 무상(無相) 三歸依戒를 설함 168

6장 반야바라밀의 法門
26. 반야바라밀의 법문 177
27. 마하(摩訶)의 의미 184
28. 반야바라밀의 의미 186
29. 지혜의 작용 193
30. 금강경의 공덕 196
31. 근기가 작은 사람과 큰 지혜인 201
32. 만법은 자기 마음에 있다 205
33. 돈오견성의 법문 209
34. 돈교의 법문을 호지(護持)할 것 217
35. 무상죄멸(無相罪滅)의 노래 220

7장 門人들의 參問
36. 달마 무공덕(無功德)의 법문 227
37. 정토(淨土)는 어디에 있는가? 233
38. 재가 불자에게 법문 246
39. 혜능이 조계로 돌아가다 253
40. 단경에 의지할 것을 권함 257
41. 남종의 돈교(頓敎)와 북종의 점교(漸敎) 260

8장 十大弟子
42. 지성(志誠)의 참문 267
43. 남종의 三學 법문 271
44. 법달(法達)의 참문 277
45. 지상(智常)의 참문 290
46. 신회(神會)의 참문 294
47. 십대제자에게 三科의 법문을 설함 300
48. 三十六 상대법의 법문 308
49. 단경을 품수할 것 314
50. 진가동정(眞假動靜)의 노래 316

9장 傳法偈와 法統說
51. 傳衣와 東土 六代祖師의 傳法偈 329
52. 혜능의 두 게송 336
53. 西天, 東土의 전등설 338
54. 眞佛을 깨닫고 해탈하는 노래 343
55. 自性 眞佛의 解脫頌 347
56. 혜능의 유언과 입적 351
57. 혜능 입적 후의 기이한 상서 354

10장 壇經의 流通
58. 단경의 전수자 361
59. 단경을 수지하고 품승할 것 362
60. 단경의 유통 363
61. 후미(後尾)의 제목 365

*돈황본 《육조단경》의 성립과 제문제 367
*돈황본 《육조단경》과 심지법문(心地法門) 441
*돈황본 《육조단경》의 선사상(禪思想) 471

찾아보기 / 547

저자소개

혜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선종의 제6조로, 육조대사라고도 한다. 속세에서의 성은 노씨이며. 시호는 대감선사이다. 광동성(廣東省) 신주(新州)에서 태어난 혜능은 집이 가난하여 나무를 팔아서 어머니를 봉양했는데, 어느 날 시장에서 《금강경》을 읽는 소리를 듣고 불도에 뜻을 품게 되어 중국 선종 제5조인 홍인((弘忍, 601~674)을 찾아갔다. 8개월 동안 곡식 찧는 소임을 한 후에 그의 의발(衣鉢)을 전해 받고 남쪽으로 내려가 10여 년을 은둔하다가 676년에 광동성(廣東省) 광주(廣州) 법성사(法性寺)에서 지광에게 계를 받았고, 이듬해에는 소주(韶州) 조계산(曹溪山)에 있는 보림사(寶林寺)로 옮겨 법을 넓혔으며, 자사(刺史) 위거(韋蘊)의 청을 받고 대범사(大梵寺)에서 설법하기도 하였다. 혜능은 신수(神秀, ?~706)와 더불어 홍인 문하의 선사로서, 신수의 계통을 받은 사람을 북종선, 혜능의 계통을 남종선이라고 하였는데, 이른바 오가칠종은 모두 남종선에서 발전하였다. 그의 설법을 기록한 것을 《육조단경(六祖壇經)》이라고 한다.
펼치기
정성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0년 경남 거창 출신으로 속리산 법주사에서 출가하였다.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을 졸업했으며, 일본 아이치 가쿠인(愛知學院)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이후 도쿄(東京)의 코마자와(駒澤)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충남대학교 철학과와 중앙승가대학교에서 강사를 지냈으며, 동국대학교 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는 한국선문화연구원 원장으로 선어록을 강의 중이다. 한국선문화연구원(zenmaster.co.kr)의 문을 두드리면 『종용록강설』을 비롯하여 『임제록』, 『육조단경』, 『대승기신론』 등 많은 강의 동영상을 볼 수 있다. 저서로는 『중국선종의 성립사 연구』(민족사, 1991), 『선의 역사와 사상』, 『선과 다도』, 『선불교란 무엇인가』, 『선종의 전등설 연구』, 『참선수행』, 『선불교의 이해』, 『간화선의 이론과 실제』, 『좌선으로의 초대』, 『선시의 세계』 등이 있고, 역주서로는 『돈황본 육조단경』, 『대승기신론 역주』(전2권), 『금강경 강설』, 『벽암록』, 『임제록』, 『무문관』, 『반야심경』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