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여성의 자기계발
· ISBN : 9791189352356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1-02-10
책 소개
목차
『세계 최고의 여성들은 왜 자신감에 집중할까』
프롤로그
Chapter 1 진짜 내 모습을 찾아서
흔들리지 않는 자신감을 찾아서 | 여자는 왜 자신의 실력을 운이라고 생각할까 | 용기를 짜내야 하는 순간 | 생각만 하는 여자, 요구해서 얻어내는 남자 | 나는 왜 결정적인 순간에 망설일까 | 능력보다 자신감이 더 중요하다고? | 자신감은 주어진 상황을 대하는 태도다
Chapter 2 조금만 생각하고 더 많이 행동하기
내 삶의 나침반이 되는 자신감 | 여자를 불안하게 만드는 것들 | 장군의 자신감을 배우다 | 자신감이 뭐라고 생각하세요? | 비슷하지만 다른 자신감의 사촌들 | 생각을 멈추고, 행동에 나서라 | 약간 지나친 자신감이 가장 좋다
Chapter 3 자신감도 선택할 수 있을까
자신감을 타고난 사람들 | IQ보다 중요한 자신감 |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들 | 자신감도 유전이 될까 | 민감성 유전자를 가진 사람들 | 스스로 탄력성을 기를 수 있다 | 유전자에 휘둘리지 않기
Chapter 4 나는 왜 착한 여자가 되었나
인생이 계속 초등학교 시절만 같다면, 여성들은 세계를 지배할 것이다 | 경쟁을 두려워하지 않는 습관 | 미움받기 싫은 마음 | 고정관념은 나를 더 긴장시킨다 | 여자들은 거울 사용법을 모른다 | 호감을 사고 있을 시간이 없다 | 지나치게 생각하고 곱씹는 습관 | 테스토스테론은 왕의 자신감을 줄까?
Chapter 5 실패할 줄 알아야 성공도 할 수 있다
충분히 실패하기 | 무엇이든 배울 수 있다는 믿음 | 남들과 다름을 받아들이기 | 칭찬에 휘둘리지 않기 | 한 방에 해결할 수는 없지만
Chapter 6 작은 일부터 시작하기
잘못된 결정이라도 해야 한다 | 생각으로 감정을 통제할 수 있다 | 부정적인 생각 털어내기 | 생각을 내 편으로 만들기 | 나에게 집중하는 것이 최선은 아니다 | 사람들은 각자 자기 생각으로 바쁘다 | 칭찬에 감사하는 법을 배우자 | 자신감은 내 손으로 만드는 것이다 | 끝을 올리지 않고 말하라 | 자신감을 높이는 습관들
Chapter 7 딸에게 자신감을 물려주자
결과 대신 과정을 칭찬하라 | 아이 스스로 해결하게 하라 | 나의 불안을 아이에게 지우지 말기 |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 | 점수 대신 큰 그림을 보라 | 뚜렷한 목표를 갖는 법 | 잘한 일은 알려라 |팔꿈치로 한번 쿡 찔러주기
Chapter 8 나만의 자신감을 찾다
자신감의 모습은 서로 다를 수 있다 | 스스로의 롤모델이 되기 | 달라질 땐 과감하게 |적게 생각하라. 행동에 나서라. 진실해져라
• 감사의 글
• 부록1 - 모리스 로젠버그의 기본적인 자존감 측정표
• 부록2 - 자기 효능감 평가표
책속에서
자신감이 점점 뚜렷이 보이기 시작했다. 우리는 자신감에는 행동, 그러니까 뭔가를 하거나 마스터하거나 결정하는 일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는 확신을 점점 더 강하게 갖게 되었지만, 여전히 우리의 관심을 끄는 다른 말들도 있었다. 한때는 ‘자신감’과 ‘자존감’을 동일시하는 초보적인 실수도 했지만, 그 실수는 전문가들을 만난 뒤 바로잡게 되었다. 물론 자신감의 사촌들도 다 가질 만한 가치가 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흔히 자신감과 같은 것으로 생각하는 다른 긍정적인 특성들, 즉 자존감, 낙관주의, 자기 관용, 자기 효능감과 자신감 사이에는 몇 가지 중요한 차이들이 있다. 이 집안 식구들 가운데 일부는 그간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많이 알려지기도 했다. 그러나 일부는 낯선 새 식구다. 그리고 각기 지지하는 사람들도 있고 비난하는 사람들도 있다. 어떤 사람들은 낙관주의가 인생의 열쇠라고 말할 것이고, 어떤 사람들은 자존감 없이는 절대 행복해질 수 없다고 말할 것이다.
_Chapter 2, 조금만 생각하고 더 많이 행동하기
자신감 코드를 풀어줄 근본적인 해결책은 결국 과학이다. 그리고 그 과학은 지금 설사 성인이 된 이후에도 우리가 스스로의 뇌 구조를 바꿀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민들레과이든 난초과이든, 그리고 훌륭한 어머니를 두었든 그렇지 못하든, 우리가 생각을 바꿔 새로운 사고 습관을 개발한다면, 뇌 안에서도 물리적인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맨체스터대학의 뇌영상 인지분석 분야 수석 연구원인 레베카 엘리엇은 지금 여러 해째 탄력성 문제에 매달리고 있다. 왜 어떤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좌절감을 더 잘 견뎌내고, 아주 큰 어려움에 처해도 계속 자신감을 유지하는 걸까? 그녀는 지금 뇌영상 분석에서 탄력성에 대한 단서를 찾는 중이다. 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것은 세로토닌 유전자로 보이는데, 그렇다면 탄력성은 부분적으로는 유전적인 것일 수도 있다. 지금 엘리엇은 자신감과 관련된 특성인 탄력성 역시 후천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는 사실이 연구를 통해 곧 입증될 것이라 믿고 있다.
_Chapter 3, 자신감도 선택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