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91189580230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0-01-0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프롤로그 ① · ② · ③
문제해결 연구회 · 전략경영 · 문제해결
1.전략경영과 문제해결
전략경영
- UNIQUE · VALUE CHAIN · FIT
- TRADE OFF
- 한 방향 정렬: ALIGNMENT
- 사례연구: CASE STUDY
- 사례연구와 문제해결
- 사례를 다루는 은유법, '이 사건을 해결하라!'
전략경영과 문제해결
- ① 이 사건을 해결하라! S-Is-Q-A 익히기
- ② 이 사건을 해결하라! S-Is-Q-A 익히기
2.문제해결 프로세스
- 문제해결 프로세스
- 문제해결과 퀼러의 침팬지 실험
- 문제해결은 흐름이 좋아야 한다
- 논리는 사실을 재구성하는 힘이다
- 가설 사고와 사실 중심 사고, 러디어드 키플링의 시 'IF'
외전
- A줄과 B줄을 묶어라
3.핵심을 정의하라
- 전략경영 사례로 익히는 문제정의 기술
- 토이저러스 파산 선언, 무엇이 문제였나?
문제정의 기술
- ① 바람직한 상태와 현 상태
- ② 연역과 귀납
- ③ S-C-Q-A의 세가지 쓰임
문제정의 실전 사례
- 연역으로 문제정의
- 연역으로 검증
- 5W2H 활용
- 5W2H와 WHY SO? SO WHAT
외전
- 영화 지상의 별처럼
4.깊게 들어가라
전략 경영 사례
- 후지제록스 뉴질랜드 법인과 호주 법인 회계부정 사건
- 고마쓰 제작소 사례로 원인 분석 방법론 예열하기
5WHY
- 원인분석 도구 5WHY
- 5WHY 워크숍
- 5WHY 워크숍 현장 사례: 국내 S대 산학협력단
- 5WHY 분석 활동과 과제 성격 규명 매트릭스
- 5WHY 분석 활동 GOOD 사례 vs. BAD 사례
외전
- 유실장의 5WHY
5.넓게 생각하라
전략 경영 사례
- 피치항공 도입기(2013년~2015년)
- 피치항공 성장기(2016년~현재)
- 피치항공의 집중 차별화 전략
대안 탐색 기술
- ① 스캠퍼(SCAMPER)
- ② 로직트리 쓰는 법
외전
- 간판과 기획 그리고 MECE
6.실행이 전략이다
전략 경영 사례
- 맥티잔 기부 프로그램
- 해결(안) 선정 매트릭스 기법 익히기
해결(안) 선정 기술
- ① GE 페이오프 매트릭스 활용
- ② GE 페이오프 매트릭스 실전 활용
- ③ 매트릭스 기법 응용
- ④ 집단사고를 예방하는 Be The Devil's Advocate.
외전
- 문제해결 보고서 작성 : 맥킨지 문서 작성 원칙
- 문제해결 보고서 작성 : 우연을 필연으로
- 문제해결 1페이지 보고서 흐름, 문제 명확화 과제 선정
발간사.추천사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문제해결 프로세스
문제해결 절차는 '문제정의 - 원인분석 - 대안탐색-해결(안)선정 - 액션플랜 작성'으로 5단계이다. 이는 문제해결 연구회가 쓰는 방식일 뿐이다. 문제해결 프로세스는 사용자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바꿔 쓸 수있다. 가장 잘 알려진 것이 '맥킨지 식'이다. '문제 정의(Define Problem)'를 시작으로 '문제 세분화(Structure Problem) - 우선순위 결정(Prioritize Issues) - 조사 계획 수립(Plan analyses and work) - 분석(Conduct Analyses) - 결과 종합(Synthesize Findings) - 해결(안) 개발 (Develop Recommendations)'까지 총 7단계를 쓴다. 4단계로 축소해 쓰는 경우도 있다. '문제 정의 - 대안 탐색 - 평가 - 해결(안) 선정'이 그것이다.
창의적 문제해결 방식이 이 4단계 절차를 따르곤 한다. 맥킨지 식과 창의적 문제해결 방식은 문제해결 연구회가 쓰는 절차와 분명 다르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 보면 맥락이 비슷한 점을 발견할수 있다. 요컨대 맥킨지식 문제해결은 '문제 세분화 - 우순 선위 결정 -조사 계획 수립'을 3단계로 나눴지만, 문제해결 연구회 절차는 이를 '문제 정의 활동'으로 간주했고,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세스는 문제해결 연구회 절차와는 다르게 원인 분석 활동 없이 곧바로 문제 정의 후 대안탐색 활동 절차를 밟는 점이 다를 뿐이다. 바로 이 점을 들어 맥킨지 식문제해결과 문제해결 연구회 절차를 '논리적 문제해결'로 부르곤 한다. 또 다른 해석은 원인 분석 활동을 두는 연구회 문제해결 절차는 '개선활동'에, 창의적 문제해결은 '혁신 활동'에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맥킨지 식과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세스에는 포함 되어 있지 않는 절차는 '액션플랜 작성'이다. 이 절차 역시 '실행관리' 또는 '변화관리', '사후 관리' 등으로 쓰곤 하는데, 문제해결 연구회는 '액션 플랜 작성'에 의미를 뒀다. 다만 기업이 겪고 있는 불편한 점을 없애는 관리 활동으로 특히 '연구개발', '생산', '전략경영' 부문에서 문제해결을 다룰 때에
는 꼭 필요한 절차이다. 문제해결 보고서 형식은 천차만별이지만 문제 해결 연구회는 '1페이지 보고서' 사안에 따라서는 '이그젝티브 서머리 (Executive Summary) 형식을 취하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