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동양문화읽기
· ISBN : 9791189652685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0-12-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인도 영화란 무엇인가
1. 인도 영화의 현재
(1)문화적 의례로서의 인도 영화
(2)다양한 지역 영화로 구성된 인도 영화
2. 인도 영화의 두 축, 발리우드 영화와 예술 영화
3. 우리나라의 인도 영화 수용
2장 발리우드, 인도의 주류 영화
1. 발리우드 블록버스터 영화
(1) ‘발리우드’ 그리고 ‘블록버스터’란 무엇인가
(2) 발리우드 블록버스터 영화의 특징과 새로운 동향
2. 발리우드 블록버스터 대표작
(1) 〈카슈미르의 소녀〉(2015)—힌두교 휴머니즘과 인도판 동화
(2) 〈피케이–별에서 온 얼간이〉(2014)—군림하는 종교 권력에 맞서는 휴머니즘
(3) 〈더 그레이트 서커스〉(2013)—글로벌 지향형 발리우드 영화의 정수
3. 발리우드 블록버스터의 영화 미학―마살라 전통의 변용과 글로벌 지향형 영화
(1) 카타르시스 단계를 갖춘 전형적인 상업적 서사 구조
(2) ‘마살라 뮤지컬’의 현대적 계승
(3) 마살라 혼합 장르 양식의 고착화
(4) 스타를 활용한 스타 매니지먼트 전략
4. 발리우드 블록버스터의 주제 의식과 이데올로기―국가 이데올로기와 영화 산업, 관객이 빚어내는 욕망의 3중주
(1) 힌두 정신과 탈종교 휴머니즘의 모순적 공존
(2) 인도–파키스탄 갈등 소재와 보편적 평화 정신의 부각
(3) 국가 이데올로기의 옹호와 내면화 기능의 유지
(4) 제한된 악습 비판과 사회 풍자
(5) 여권의 신장과 전통적 여성상 ‘파티브라타’의 존치
(6) 세계 영화 시장을 향한 글로벌 재영토화
5. 발리우드 블록버스터의 미래―전통의 변용과 글로벌 재영토화를 향한 새로운 여정
3장 새로운 발리우드, ‘뉴 발리우드 시네마’의 부상
1. 청년 감독과 ‘뉴 발리우드 시대’ – 마니시 샤르마 감독을 중심으로
(1)발리우드 청년 감독 마니시 샤르마
(2)샤르마 감독의 영화 여정
2. 샤르마 감독의 대표작
(1) 〈웨딩 플래너스〉(2010)
(2) 〈레이디스 vs. 리키 바흘〉(2011)
(3) 〈어 랜덤 데시 로맨스〉(2013)
(4) 〈샤룩 칸의 팬〉(2016)
3. 영화 미학—발리우드 전통 양식의 계승과 현대화
4. 주제 의식—청년 세대의 정체성과 탈주의 욕망
5. 발리우드 제작 시스템과 작가적 욕망 사이의 2중주—탈이데올로기적 개인의 탄생
6. ‘뉴 발리우드 청년 영화’의 부상과 뉴 발리우드 시네마의 의의—탈주하는 청춘과 발리우드 관습의 재영토화
4장 비욘드 발리우드, 새로운 예술 영화
1. 예술 영화의 계승과 변용 – 수만 고시 감독의 벵골 영화를 중심으로
2. 수만 고시 감독의 영화 여정
3. 수만 고시 감독의 대표작
4. 영화 미학 – 벵골 영화의 사실주의 전통과 환각적 사실주의의 절합
5. 주제 의식과 재현 – 인도 현실에 대한 좌파적 비판 의식과 실존적 휴머니즘의 공존
6. 고시 감독과 벵골 영화 전통 – 벵골 영화의 전통과 현대적 작가주의 시선의 결합
맺음말 – 21세기 뉴 인디언 시네마의 부상과 영화사적 의의
주
참고문헌
도판 출처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도의 거리를 걷다 보면 즐비한 영화관에서 매일같이 영화에 환호하고 노래를 따라 부르는 열광적인 인도인들을 쉽게 볼 수 있다. 하루의 고단한 노동을 마친 구릿빛 대중이 금빛으로 도배한 영화관으로 달려가 값싼 티켓에 의지하여 현실의 시름을 달래는 모습에서 인도에서 영화가 사회적으로 어떠한 의미를 지닌 존재인지를 실감할 수 있다. 요컨대 인도에서 영화란 값싼 비용으로 누구라도 쉽게 화려한 문화 공간 속에서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는 서민의 놀이터이자 공동체의 문화 정체성을 형성하는 사회적 의례ritual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_「1장 인도 영화란 무엇인가」
인도의 영화학자 쇼마 차테르지Shoma Chatterji는 「힌디 영화의 고유한 문화적 특징」에서 발리우드 힌디 영화의 정체성을 “네 가지 요인, 즉 위대한 인도 서사물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 인도 고전 연극, 민속극, 19세기 파르시 연극(페르시아에서 400여 년 전에 인도로 이주한 민족의 연극)에서 기인한다”고 분석하며 이를 힌두이즘Hinduism으로 정의한다. 발리우드는 이러한 힌두 정신을 바탕으로 인도의 문화 정체성Indian-ness을 주류 이데올로기로 끊임없이 재현하며, 국가와 사회의 문화적 통합에 기여해왔다. 현재 인도는 언어를 기반으로 28개 자치주, 7개의 연방, 직할지로 구분되어 있으며, 3300개의 언어가 공존하고 있는 다문화·연방 국가다. 따라서 인도 사회는 언제나 국가 정체성과 사회 통합이 가장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어왔다. 발리우드 영화는 이러한 국가적 가치관과 지향점을 반영하는 주류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하는 사회적 기능을 수행해왔다. _「2장 발리우드, 인도의 주류 영화」
수익성과 상업성을 중시하는 발리우드 제작 시스템은 쾌락의 원칙과 오락성을 강조하고, 작가 정신으로 자신의 예술성을 실현하려는 감독은 끊임없이 제한된 시스템에서 탈주한다. 따라서 스튜디오 시스템에서는 경제학과 미학 사이의 긴장 관계가 형성될 수밖에 없다. 작가적 욕망과 제작 시스템 사이의 줄타기 혹은 모순적 2중주, 이것이 청년 세대의 자의식을 담은 탈주의 영화를 지향하면서도 발리우드 양식을 답습하며 제한된 현실 비판에 머문 샤르마 감독의 영화 미학이 태동된 구조적 요인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샤르마 감독이 청년 세대의 자의식과 욕망과 탈주하는 청춘을 사실적으로 재현하고 있는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발리우드는 전통적으로 힌두 정신, 사회 통합, 전통 윤리의 복원을 강조하는 주류 이데올로기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해왔다. 샤르마 감독은 발리우드에서 끊임없이 이탈하고 벗어나려는 자유로운 ‘개인’의 내면에 초점을 둔다. 탈주하는 개인은 발리우드의 전통과 정면으로 충돌하는 지점이다. _「3장 새로운 발리우드, ‘뉴 발리우드 시네마’의 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