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감독/배우
· ISBN : 9788963564654
· 쪽수 : 204쪽
· 출판일 : 2024-12-24
책 소개
목차
서문 3
I. 미국 및 캐나다의 청년감독 15
1. 데이미언 샤젤(Damien Chazelle): 미국 할리우드의 뉴 라이징 스타 16
1) 감독과 영화 필모그라피 16
2) 작품 해석 19
(1) <위플래쉬(Whiplash)>(2014): “변증법적 반전의 서사구조” 19
(2) <라라랜드(La La Land)>(2016): “자기반영적 작가주의 뮤지컬영화” 25
(3) <퍼스트맨(First Man)>(2018): “내면의 묘사로 탈각화한 영웅신화” 31
3) 영화사적 의의 34
2. 라이언 쿠글러(Ryan Coogler): ‘흑인영화(black film)’의 계승자 37
1) 감독과 영화 필모그라피 37
2) 대표작 해석 40
(1) <오스카 그랜트의 어떤 하루(Fruitvale Station)>(2013): “누구나 오스카처럼 될 수 있다” 40
(2) <크리드(Creed)>(2015) - “불굴의 의지를 다룬 흑인판 ‘록키’” 42
(3) <블랙 팬서(Black Panther)>(2018) - “흑인 슈퍼히어로(Black Superhero)의 세상 구하기” 44
3) 쿠글러 감독의 작품 세계 46
(1) ‘점강법적 상승단계’와 ‘플래쉬백(flashback) 회상기법’의 서사구조 46
(2) 아버지의 부재(不在)와 결핍된 흑인청년의 성장영화 47
(3) ‘흑인영화(Black Film)’의 계승과 다시쓰기(re-writing) 48
4) 영화사적 의의 58
3. 소피 데라스페(Sophie Deraspe): 캐나다 ‘뉴 퀘벡 시네마(New Quebec Cinema)’의 이정표 61
1) 감독과 영화 필모그라피 61
2) 대표작 해석: <안티고네>(2019) 63
(1) 서사구조: 알레고리(allegory)로서의 그리스 비극 구체적 작품분석 64
(2) 현실에 틈입한 가상의 미쟝센(mise-en-scene) 72
(3) 퀘벡영화 전통의 계승과 재영토화: ‘21세기 왕의 딸들(Filles du Roy)’ 이야기 75
3) 영화사적 의의 82
II. 유럽의 청년감독 83
4. 쥘리아 뒤쿠르노(Julia Ducournau): 포스트-휴먼(post-human) 시대의 예후(豫後) 84
1) 감독과 영화 필모그라피 84
2) 작품 해석 85
(1) <로우(Raw)>(2017): “억압된 식인 습성의 귀환” 85
(2) <티탄(Titane)>(2021):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존재의 재영토화” 87
3) 뒤쿠르노 감독의 ‘호러 월드(horror world)’와 미학적 특징 89
(1) ‘장르형 작가감독’의 새로운 전형(典型) 89
(2) 억압된 서발턴(subaltern)의 귀환과 폭력성의 미학 93
(3) 젠더의 해체와 새로운 가족의 탄생 96
(4) 트랜스휴먼 시대의 예후와 신인류의 탄생 98
4) 영화사적 의의 102
5. 마크 젠킨(Mark Jenkin): 영국 ‘콘월 영화(Cornish Film)’의 강렬한 주체의식 104
1) 감독과 영화 필모그라피 104
2) 젠킨 감독과 ‘콘월 영화(Cornish Film)’ 106
3) 작품 해석 109
(1) <베이트(Bait)>(2019): “억압의 현실과 저항하는 알레고리의 몽타주” 109
(2) <에니스멘(Enys men)>: “사라져간 콘월에 대한 실험적인 포크 호러 필름(experimental folk horror film)” 115
4) 실험적 미학정신과 강렬한 주체의식 120
5) 영화사적 의의 123
III. 아시아의 청년감독 125
6. 사미라 마흐말바프(Samira Makhmalbaf): 이란 영화의 재역사화(Re-historicizing) 126
1) 감독과 영화 필모그라피 126
2) 작품 해석 130
(1) <사과(The Apple)>(1998년, 86분): “속박된 자유와 탈주를 향한 욕망” 130
(2) <칠판(Blackboard)>(2000): “희망으로서의 글과 교육” 130
(3) <오후 5시(At Five in the Afternoon)>(2003, 106분): “부르카에 갇힌 여성의 꿈” 131
3) 사미라 감독의 영화세계와 사회맥락적 의미 132
(1) 메타포(metaphor)에 틈입된 리얼리티(reality) 132
(2) 자각하는 여성정체성과 자유 135
(3) 반전과 평화에 대한 갈망 136
(4) 소외계층에 대한 연민과 연대 137
(5) 대안으로서의 서구 민주주의와 휴머니즘 138
4) 영화사적 의의 139
7. 야마시타 노부히로(山下敦弘): 일본 청년세대의 전형(典型) 141
1) 감독과 영화 필모그라피 141
2) 작품 해석 150
(1) <마이 백 페이지(My Back Page)>(2011년): “‘진짜’가 되고 싶었던 청년들의 이야기” 154
(2) <고역열차(苦役列車, The Drudgery Train)>(2012): “고역의 무한궤도에 갇힌 청춘과 구원” 155
(3) <모라토리움기의 타마코(Tamako in Moratorium)>(2013): “잉여청년을 다룬 자전적 영화” 158
3) 야마시타 감독의 영화세계와 사회맥락적 의미: “무업(無業)사회, 사토리세대(さとり世代)를 위한 헌가!” 162
4) 영화사적 의의 168
8. 조코 안와르(Joko Anwar): 뉴 인도네시안 시네마(New Indonesian Cinema)의 담지자 170
1) 감독과 영화 필모그라피 170
2) 작품 해석 177
(1) <조니의 약속(Joni’s Promise)>(2005): “영화광을 위한 영화” 177
(2) <비밀(Dead Time: Kala)>(2007): “도탄에 빠진 인도네시아, 민중의 영웅은 누구인가?” 179
(3) <포비든 도어(Forbidden Door)>(2009): “스너프필름보다 더 잔혹한 사회현실” 182
(4) <모두스 아노말리(Modus Anomali)>(2012): “살인게임에 드리워진 시대의 그림자” 185
(5) <내 마음의 복제(A Copy of My Mind)>(2015): “영화는 정치와 어떻게 만나는가?” 187
3) 감독의 영화미학 189
(1) 시네필 영화: “영화광에 의한, 영화광을 위한 영화” 189
(2) ‘미장센 발화(發話)’의 영화: “시대의 공포를 말하는 미장센” 190
(3) 장르영화 비틀기 전략: “카타르시스를 배제한, 각성(覺醒)의 영화” 193
4) 사회 맥락적(context) 의의: “민주주의 이행기 인도네시아 사회에 대한 비판적 성찰” 197
(1) 인도네시아 사회의 ‘악의 실체’를 비판 197
(2) “저항(抵抗)과 동화(同化) 사이의 강박증: 사회현실과 교접하는 개인의 내면을 성찰” 201
5) 영화사적 의의 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