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임원경제지 전공지 1

임원경제지 전공지 1

(2022 세종도서 학술부문)

서유구 (지은이), 임원경제연구소 (옮긴이)
풍석문화재단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700원 -10% 0원
1,650원
28,050원 >
29,7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970원
26,7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7개 19,8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임원경제지 전공지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임원경제지 전공지 1 (2022 세종도서 학술부문)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인과 한국문화
· ISBN : 9791189801533
· 쪽수 : 420쪽
· 출판일 : 2022-03-22

책 소개

양잠ㆍ길쌈ㆍ방직에 관한 정보를 총망라하다. 〈전공지〉는 조선과 중국ㆍ일본의 다양한 문헌에서 양잠ㆍ길쌈ㆍ방직에 관한 정보를 가장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목차

일러두기
서문 – 도올 김용옥
《전공지》 해제
《전공지》 서문
전공지 권제1
누에치기와 길쌈(상) 蠶績(上)
1. 뽕나무 재배 栽桑
1) 뽕나무[桑] 桑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종자 고르기 擇種
5) 오디 심기 種椹
6) 옮겨심기 移栽
7) 휘묻이와 꺾꽂이 壓揷
8) 접붙이기 接換
9) 지상(地桑, 나지막하게 가꾸는 뽕나무) 地桑
10) 뽕나무밭 관리하기 修蒔
11) 가지치기 科斫
12) 의상법(義桑法, 뽕나무 협동 재배법) 義桑法
13) 황폐해진 뽕나무 관리법 治荒桑法
14) 부가사항 附餘

2. 꾸지뽕나무 재배 栽柘
1) 꾸지뽕나무[柘, 자] 柘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4) 잎 따거나 쳐내기 採剝
5) 쓰임새 功用
6) 부가사항 附餘

전공지 권제2
누에치기와 길쌈(하) 蠶績(下)
1. 누에치기 養蠶
1) 누에 蠶
2) 누에씨 거두기 收種
3) 알받이종이 씻기 浴連
4) 누에 보호 飾庇
5) 잠실 蠶室
6) 잠실난로[火倉, 화창] 火倉
7) 누에시렁 안치기 安槌
8) 누에알 빛깔의 변화 變色
9) 개미누에의 부화(생아) 生蛾
10) 개미누에 누에발로 내리기(하아) 下蛾
11) 온도 총론 涼暖總論
12) 먹이고 기르기 총론 飼養總論
13) 누에발에 나누어 옮기기 총론 分擡總論
14) 개미누에 처음 먹이기 初飼蛾
15) 누에발에 개미누에 나누기[擘黑, 벽흑] 擘黑
16) 첫잠 잔 누에 옮기고 먹이기 頭眠擡飼
17) 두잠 잔 누에 옮기고 먹이기 停眠擡飼
18) 막잠 잔 누에 옮기고 먹이기 大眠擡飼
19) 누에섶에 넣기 入簇
20) 3광(三光)·3희(三稀)·5광(五廣) 三光、三稀、五廣
21) 8의(八宜)·10체(十體) 八宜、十體
22) 금기사항 戒忌
23) 제사와 푸닥거리 祈禳
24) 이른누에와 늦은누에의 장점과 단점 早、晩蠶利害
25) 넉잠누에(사면잠) 기르기 養四眠蠶
26) 여름누에 기르는 법 養夏蠶法
27) 가을누에 기르는 법 養秋蠶法
28) 부록 산누에[山蠶] 기르는 법 附 養山蠶法

2. 고치에서 실켜기(소견) 繅繭
1) 고치 골라서 손질하기[擇治] 擇治
2) 고치 찌는[蒸餾, 증류] 법 蒸餾繭法
3) 실켜기 전체 비결 繅絲總訣
4) 실마리 물리기[餵頭, 외두] 餵頭
5) 열부(熱釜, 따뜻한 가마솥)로 실켜는 법 熱釜繅法
6) 냉분(冷盆, 차가운 동이)으로 실켜는 법 冷盆繅法
7) 냉분(冷盆) 2대 나란히 연결하여 실켜는 법 連冷盆繅法

3. 비단 길쌈[織紝, 직임] 織紝
1) 사(紗)·라(羅)·능(綾)·단(緞) 짜는 전체적인 법 紗、羅、綾、緞總法
2) 사·라·능·단 각각의 명칭 紗、羅、綾、緞分名
3) 사와 단의 화본(花本) 紗、緞花本
4) 삶아 정련하는 법 熟練法
5) 우리나라의 명주[紬, 주] 짜는 법 東紬織法
6) 토주(吐紬) 짜는 법 吐紬織法
7) 숙초(熟綃) 짜는 법 熟綃織法

4. 마전한 직물 염색 湅染
1) 대홍(大紅)색 大紅色
2) 소홍(小紅)색 小紅色
3) 연홍(蓮紅, 연꽃의 분홍)·도홍(桃紅, 복사꽃의 분홍)·은홍(銀紅, 연분홍)·수홍(水紅, 회색빛을 띠는 분홍) 4색 蓮紅、桃紅、銀紅、水紅四色
4) 다홍(多紅)색 多紅色
5) 번홍(番紅)색 番紅色
6) 정홍(丁紅)색 丁紅色
7) 목홍(木紅)색 木紅色
8) 천홍(茜紅)색 茜紅色
9) 규홍(葵紅)색(자색 접시꽃색) 葵紅色
10) 적(赤)색 赤色
11) 토홍(土紅)색(붉은 흙색) 土紅色
12) 금황(金黃, 황금)색 金黃色
13) 선황(鮮黃)색 鮮黃色
14) 아황(鵝黃)색(초록빛을 띠는 연한 황색) 鵝黃色
15) 당리황(棠梨黃)색 棠梨黃色
16) 주황(朱黃)색 朱黃色
17) 두록(豆綠)색(녹두색) 豆綠色
18) 대홍관록(大紅官綠)색 大紅官綠色
19) 유록(油綠)색 油綠色
20) 압두록(鴨頭綠)색 鴨頭綠色
21) 천청(天靑, 짙푸른 하늘)색 天靑色
22) 포도청(葡萄靑, 청보라)색 葡萄靑色
23) 단청(蛋靑, 청록)색 蛋靑色
24) 남(藍)색 藍色
25) 취람(翠藍, 물총새의 색)·천람(天藍, (남색보다 좀 더 진한 청색)) 2색 翠藍、天藍二色
26) 아청(鴉靑)색(검푸른색, 야청색) 鴉靑色
27) 포두청(包頭靑)색(흑갈색) 包頭靑色
28) 청조(靑皁)색 靑皁色
29) 현(玄)색(검은색) 玄色
30) 자색(자주색) 紫色
31) 다갈색(말린 찻잎 같은 갈색) 茶褐色
32) 우갈(藕褐)색(연밥껍질의 갈색) 藕褐色
33) 호두(胡桃)갈색 胡桃褐色
34) 조갈(棗褐)색(익은 대추의 갈색) 棗褐色
35) 초갈(椒褐)색(산초열매 갈색) 椒褐色
36) 명다갈(明茶褐)색(말린 찻잎보다 밝은 갈색) 明茶褐色
37) 형갈(荊褐)색(형개잎 달인 갈색) 荊褐色
38) 전갈(甎褐)색(옛 벽돌색) 甎褐色
39) 침향(沈香)색(어두운 황토색) 沈香色
40) 타(駞)색 駞色
41) 상아(象牙)색(코끼리엄니색) 象牙色
42) 유록(黝綠)색(검록색) 黝綠色
43) 월백(月白)·초백(草白) 2색 月白、草白二色
44) 회(灰)색(잿빛) 灰色

저자소개

서유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자는 준평(準平), 호는 풍석(楓石)이며 본관은 대구이다. 대제학 보만재 서명응의 손자이며, 이조판서 서호수의 아들이다. 영조14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규장각 초계문신으로 발탁된 후 좌부승지, 성균관 대사성, 홍문관 부제학을 거쳐 사헌부대사헌, 예문관대제학, 형조판서, 호조판서, 병조판서에 제수되었다가 늦은 나이에 전라도관찰사, 수원부 유수를 역임하였다. 대표적인 경화세족 가문에서 태어나 다양한 학문을 깊이 있게 연구했으며,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가학을 이어 특히 농학(農學)에 큰 업적을 남겼다. 가문의 개방적인 학문 기풍과 방대한 장서의 열람, 뛰어난 학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다방면에 식견과 경험을 쌓았다. 젊은 시절 정조의 치세 때에는 규장각에서 많은 편찬 사업에 참여했고, 방폐기간 동안의 여러 경험을 기반으로 한 시대를 대표하는 학자로 성장했다. 서유구가 지은 16개의 주제를 지(志)로 하여, 113권으로 구성된《임원경제지》는 농업, 목축, 어업, 양잠, 상업 등의 생산 전반과 의학, 음식, 주거, 선비가 알아야 할 일상 실용지식 등의 생활 전반을 담은 방대한 양의 생활 백과전서이다. 그 밖의 저술로는 정조의 명으로 조선에서 출판한 도서의 목판을 조사한《누판고》와, 전라도관찰사로 재직할 때는 기민을 구제하기 위해 고구마 재배법을 기록한 《종저보》를 간행하였다. 이 밖에도 개인 문집으로 《풍석고협집》, 《금화지비집》, 《번계시고》, 《금화경독기》와 전라도관찰사와 수원유수시절의 업무일지인 《완영일록》과 《화영일록》이 전한다. 임원경제연구소, 임원경제연구소는 고전 연구와 번역, 출판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사단법인으로 다양한 전공분야의 소장학자가 참여하여 《임원경제지》를 완역하고 있다.
펼치기
임원경제연구소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정명현 소장을 중심으로 《임원경제지》의 번역 및 《임원경제지》 기반 다양한 전통문화 복원 및 현대화를 지원하는 사업들을 벌여나가고 있다. 한국고전번역원의 지원으로 《임원경제지》 중 〈인제지〉를, 풍석문화재단과 손잡고 《임원경제지》중 나머지 15개 지의 완역을 추진 중이다. 본 도서에 실린 〈정조지〉의 원문과 번역문은 임원경제연구소에서 제공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