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91189995638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0-06-12
책 소개
목차
추천사
한국어판 서문│위기가 지나간 자리, 어떤 미래를 설계할 것인가
프롤로그│생각의 프레임을 뉴타입으로 전환하라
제1장 무엇이 우리를 뉴타입의 시대로 이끄는가 ┃6가지 메가 트렌드┃
메가 트렌드 1│물질은 풍요롭지만, 삶의 방향성을 잃어가다
메가 트렌드 2│정답을 찾는 일보다 문제를 발견하는 일이 중요해졌다
메가 트렌드 3│수요를 넘어서는 쓸모없는 일자리와 노동의 대두
메가 트렌드 4│사회 전반에 변동성, 불확실성, 복잡성, 모호성이 넘친다
메가 트렌드 5│‘규모의 경제’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
메가 트렌드 6│인생은 길어지고, 기업의 수명은 짧아졌다
제2장 뉴타입은 어떻게 가치를 만들어내는가 ┃해결하지 말고 문제를 발견하라┃
1│문제 발견│문제를 풀기보다 발견해 제안한다
2│과제 설정│혁신적인 해결책보다 탁월한 과제를 만들어낸다
3│구상력│미래에 대한 예측 대신 미래를 구상한다
제3장 뉴타입은 어떻게 경쟁하는가 ┃쓸모가 아닌, 의미 있는 일에 집중하라┃
4│의미의 힘│일의 의미를 제시해 동기를 부여한다
5│한계비용 제로│하고 싶은 일에 철저하게 집중한다
6│포지셔닝│의미 있는 상품으로 독자적 시장을 공략한다
7│리더십│공감할 수 있는 목적과 이유를 제시한다
제4장 뉴타입은 어떻게 사고하는가 ┃논리와 직감을 유연하게 타고 넘어라┃
8│논리와 직감│논리와 직감으로 의사결정의 질을 높인다
9│우연성│의도적으로 전략적 우연성을 채택한다
10│미의식│규칙보다 자신의 감각을 따른다
11│의사결정│여러 기준을 살피며 동시에 균형을 잡는다
제5장 뉴타입은 어떻게 일하는가 ┃자신이 빛나는 자리를 찾아 움직여라┃
12│이동성│복수의 조직을 넘나들며 일한다
13│노력과 성과│자신의 가치가 높아지는 곳에서 노력한다
14│동기부여│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 자리를 찾는다
15│지식과 경험│프로와 아마추어의 의견을 동등하게 대한다
제6장 뉴타입의 비즈니스 전략은 무엇인가 ┃공유와 탈출을 두려워 말라┃
16│커리어│방대하게 시도하고 잘된 것만 남긴다
17│엑시트│인생의 풍요로움은 탈출을 잘하느냐에 달려 있다
18│공유와 증여│공유하고 나누는 사람의 최종 이익이 커진다
제7장 뉴타입의 학습력은 어떻게 다른가 ┃철지난 지식의 패턴을 리셋하라┃
19│기초교양│상식을 상대화하여 양질의 질문을 만든다
20│깨달음│타인을 자신을 바꾸는 계기로 삼는다
21│언런│고생해가며 익힌 지식의 패턴을 버린다
제8장 뉴타입은 어떻게 조직을 운영하는가 ┃낡은 권력 대신 새로운 시스템을 구상하라┃
22│권력│이동성을 높여 쇠퇴한 조직을 없앤다
23│상사와 부하│권위가 아닌 문제 해결로 행동한다
24│탈구조│시스템에 굴복하지 않고 시나리오를 다시 쓴다
에필로그│의미 없는 일을 하는 자는 반드시 무너진다
주
리뷰
책속에서
그림은 컴퓨터 과학자인 앨런 케이가 1972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다이나북(앨런 케이가 제창한 이상적 컴퓨터)의 콘셉트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했던 이미지다.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를 보고는 “대단해. 무려 반세기 전에 태블릿 단말기의 등장을 예측했다니!” 하고 감탄할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완전히 잘못된 해석이다. 앨런 케이는 미래를 예측한 것이 아니었다. 그는 ‘이런 물건이 있으면 굉장하겠는걸!’ 하는 생각으로 그 이미지를 구체화해서 수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미쳤던 것이다. 앨런 케이는 예측이 아니라 구상을 했다.
2015년 다국적 컨설팅 그룹인 딜로이트가 29개국의 밀레니얼 세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0퍼센트 이상이 직장을 선택하는 기준으로 급여나 제품이 아닌 ‘해당 기업이 사업을 하는 목적’을 중시한다고 대답했다. 또한 영국 <가디언>이 밀레니얼 세대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는 높은 연봉을 받기보다는 인류에 도움이 되는 일을 하고 싶다는 대답이 44퍼센트, 근무하는 회사가 사회에 공헌할 때 일할 의욕이 커진다는 대답이 36퍼센트로 나타났다. 밀레니얼들이 직업 선택의 기준으로 ‘의미’를 매우 중시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