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도서] 극장에 대하여](/img_thumb2/9791190015202.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경영/공연기획
· ISBN : 9791190015202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0-06-3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제1장 극장에 대해
1 극장은 무엇인가?
문화예술/ 씨어터의 범위/ 씨어터의 어원/ 극장의 편익과 존재 이유
2 서양 극장의 역사
고대 그리스 시대: 헬레니즘 이전까지/ 디오니소스 극장/ 헬레니즘 시대/ 에피다우루스 극장/ 델포이 극장/ 시라쿠사 극장/ 로마 시대/ 마르셀루스 극장/ 콜로세움/ 오랑주 로마 극장/ 폼페이 대극장/ 헤로데 아티쿠스 극장/ 유럽 중세 시대/ 르네상스 시대 이후/ 영국 엘리자베스 시대의 스완 극장과 글로브 극장/ 이탈리아의 올림피코 극장과 파르네제 극장/ 영국의 바로크 극장: 씨어터 로열 드루리 레인/ 이탈리아의 바로크 극장: 라 스칼라/ 로열 오페라 하우스/ 오페라 가르니에/ 바이로이트 극장/ 서양 근대 극장의 흐름
3 한국의 극장사
한국의 고대 극장/ 조선 시대의 공연 공간/ 산대/ 황실극장 협률사/ 원각사/ 동양극장/ 부민관/ 국립극장/ 드라마센터/ 소극장/ 1970년대 이후 우리나라 극장 인프라의 흐름/ 1970년대: 위용과 규제의 시기/ 1980년대: 그랑 프로제의 시대/ 1990년대: '문화 복지'와 '문화 산업'/ 2000년대: 성장통과 조정의 시기/ 2010년대: 변화와 차별의 시대 「사이드스텝: 예술정책 지형의 색다른 시간 구간」
4 우리나라 극장의 오늘
특성별 분포/ 극장의 추이/ 지역별 분포/ 설립 주체와 운영 주체/ 가동률/ 재정/
인력/ 극장의 공연 단체
제2장 극장을 이해하는 10가지 키워드
1 미션
「사이드스텝: 왜 회식의 끝은 항상 노래방일까?」
2 재원
복합 지불자/ 공공극장과 비영리극장/ 공공 재원/ BTL과 BTO/ 민간재원
3 운영 형태
공공 극장/ 공공 극장의 직영/ 공공극장의 위탁 운영/ 민영화/ 민간 극장
4 무대와 객석 간의 관계
프로시니엄 극장/ 돌출무대 극장/ 아레나 극장/ 블랙박스 극장
「사이드스텝: 블랙박스 극장」
5 극장의 크기
6 프로그램 제작 방식
프로듀싱 씨어터/ 프리젠팅 씨어터
「사이드스텝: 시즌」
7 극장의 용도
다목적 극장과 전용 극장/ 복합 공간과 단일 공간/ 장르별 극장
8 극장의 물리적 조건과 특성
스페이스 프로그램/ 무대 시스템/ 음향/ 조명 시스템/ 무대 기계 시스템
「사이드스텝: 구내식당이 있어 다행이다」
9 극장의 이해당사자
복합 공중 또는 다양한 이해당사자/ 관객
「사이드스텝: 시차극복과 햇빛」
10 내외부 환경과 여건
외부 환경/ 내부 여건
「사이드스텝: 흥행과 감동 사이」
제3장 현대극장의 트렌드
1 토털 씨어터
그로피우스의 ‘토털 씨어터’/ 극복하고 싶은 한계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극장1/
샤우뷔네 극장/ 파리 필하모니 홀/ 세리토스 공연센터/ LG아트센터
2 아트 콤플렉스
아트 콤플렉스: 공연 부문의 그랑 프로제/ 링컨 센터/ 국가대극원/ 에스플라네이드/
바비칸 센터/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예술의전당/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사이드스텝: 우리 시대에 딱 맞는 그랑 프로제 ‘1+1’」
3 재생 극장
파운드 스페이스 또는 발견된 공간/ 피터 브룩과 두 개의 재생 극장/ 파리 104/
국립극단의 두 개 공간
「사이드스텝: 3개 극장의 엇갈린 운명」
4 이머시브 씨어터와 새로운 극장
사이트 스페시픽 씨어터/ 이머시브 씨어터/ 슬립 노 모어/ 거리에서
5 도시재생과 공간
문화적 도시재생/ 문화적 도시재생의 사례들/ 도시재생과 극장/ 창동 아레나 프로젝트/
당인리 문화창작발전소/ 마포 문화비축기지/ 세이지 게이츠헤드/ 엘프필하모니
「사이드스텝: 도시의 이미지를 만드는 극장」
6 산업적 성격이 강한 공간
뮤지컬 전용극장/ 아레나
7 문예회관
문예회관의 붐/ 문예회관의 용도/ 문예회관의 운영/ 문예회관의 공간 구성/ 문예회관의
상주단체와 콘텐츠/ 해외의 공공극장 네트워크
8 대학로
에필로그: 극장의 미래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대중에게 환심을 사거나 대중을 상대로 특정 이슈를 설득하는 데 극장이 활용된다, 로마의 콜로세움을 단순히 로마 시민의 유흥을 위해 건립했다고 믿는 사람은 없다. 콜로세움과 콜로세움에서 이루어진 이벤트들은 정권을 안정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권력자나 정치인이 주목하는 극장의 특성이다. 전제적인 국가를 ‘극장국가’라고 부르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언어는 존재의 집이라고 한다. 우리가 씨어터(theatre)에서 비롯된 극장이라는 단어를 쓰는 것은 서구 문명의 유입으로 이루어진 근대화의 체제 위에서다.
다중이 이용하는 극장의 지불자가 소수 귀족이나 왕실에서 익명의 다수로 확대된 것은 공연예술의 붐에 결정적인 조건이 된다. 관객이 주머니를 열고 공연을 선택하는 것은 이전과 같은 기준을 적용하기 어렵다. 그 후 지금까지 대부분의 극장에서 첫 번째 고객은 극장을 직접 찾아오는 관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