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90147729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1-10-1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장 오프라인 학교에서 온라인 교실로
01. 온라인 학교와 교실 만들기
02. 온라인 교실, 환경 구성
03. 온라인 수업을 위한 도구
04. 온라인 입학과 개학
05. 학습자와 소통
06. 온라인 학부모 총회
2장 온라인 수업의 기본
07. 수업을 신나는 여는 아이스브레이킹
08. 온라인 수업을 위한 미디어 역량
09. 미디어 교육으로 온라인 수업 능력 기르기
10. 온라인 수업의 기본, 콘텐츠와 저작권
11.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을 위한 영상 제작
12. 파워포인트를 활용한 영상 만들기
13. 더빙을 활용한 대화형 영상 만들기
14. 온라인 모둠 수업
15. 수업 자료를 온라인 포트폴리오로 남기기
3장 과목별 블렌디드 러닝 노하우
(언어영역)
16. 듣기, 읽기 수업의 노하우
17.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말하기 수업
18. 표현 중심 쓰기 수업
19. 퀴즈로 문법 수업을 흥미롭게 만들기
20. 자기 주도적으로 만드는 어휘 학습 방법
21. 게임으로 비판적 읽기 수업하기
(수리영역)
22. 수리수리 수학을 재미있게
(탐구영역)
23. 실험이 필요한 과학 수업
24. 공유지도를 활용한 커뮤니티 매핑 수업
25. 학습자의 반응을 끌어내는 참여형 수업
26. 주제 공감 수업 노하우
27. 실제 같은 시뮬레이션 수업하기
28. 협업을 부르는 모자이크 수업
29. 게임화로 수업의 재미 채우기
(예체능영역)
30. 음악 프로그램과 피드백
31. 홈트레이닝 체육
4장 평가 사례
32. 평가 전 결과물 제출을 위한 프로그램 교육
33. 수업 속 형성 평가
34. 실시간 구술평가 방법
부록 : 언택트 수업을 돌아본 교사들의 토크토크
리뷰
책속에서
코로나 확산이 완화되어 교차 등교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온라인 수업도 병행하고 있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온라인상에 모일 수 있는 공간은 필요하다. 우리는 이미 EBS 온라인 클래스, 구글 클래스룸, MS 팀즈, 네이버 밴드 등의 다양한 플랫폼을 경험했다. 이전에는 가장 먼저 사용된 미디어, 교수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미디어, 이용한 경험 노하우가 많은 미디어가 학교와 교실에서 선택되었다.
하지만 누구도 경험하지 못한 상황에서 개학을 맞이한 지금은 지역과 학습자 그리고 교수자가 가르칠 과목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수업 공간을 마련해야 하므로 앞으로도 온오프라인을 병행하여 꾸준히 사용할 수 있는 미디어 공간이 필요하다.
01 온라인 학교와 교실 만들기
교수자가 직접 영상을 만들 때는 상호작용하는 영상을 구성하는 것이 좋다. 가령 영상 속에서 학습자의 이름을 불러주거나, 어제에 이어지는 오늘의 미션 7등이다. 나를 모르는 누군가가 하는 수업보다, 교수자가 나의 이름을 한 번씩 불러주면 더욱 즐겁게 참여할 수 있다. 물론 영상 속에 학습자의 이름이 등장하면, 다른 곳에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다. 동영상 편집은 무료 프로그램인 ‘온라인 비디오 커터’ 서비스를 사용하거나, 한때 마이크로소프트 프로그램에 패키지로 들어 있던 ‘무비메이커’ 등으로 편집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폰에서 키네마스터와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면 손쉽게 편집이 가능하다.
10 온라인 수업의 기본, 콘텐츠와 저작권
영상으로 제공하는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의 단점은 학습자가 얼마나 학습했는지 눈으로 확인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매 차시 수업을 구성할 때마다 학습자의 이해 정도를 확인하는 점검 장치가 필요하다. ‘티처메이드’는 학생들이 문제를 풀면 자동으로 채점을 해주고, 교사가 한눈에 결과를 볼 수 있다. 라이브워크시트와 비슷한 기능이 많고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티처메이드가 아니더라도 학생들의 듣기와 읽기에 대한 학습 상황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검을 수업 절차에 삽입하기만 해도 학생들은 영상에 더 집중할 것이다. 오프라인 수업에서도 이러한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점검은 필요하다.
16 듣기, 읽기 수업의 노하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