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카페에서 만난 동양철학

카페에서 만난 동양철학

(마음 근육을 키우는 하루 10분 인문 독서!)

리소정 (지은이)
힘찬북스(HCbooks)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7개 5,3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340원 -10% 560원 9,640원 >

책 이미지

카페에서 만난 동양철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카페에서 만난 동양철학 (마음 근육을 키우는 하루 10분 인문 독서!)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90227391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4-05-24

책 소개

도서출판 힘찬북스가 야심 차게 내놓은 “카페에서 읽는” 시리즈 첫 번째 책이다. “리더와 팔로워의 차이는 무엇인가?”를 주제로 리더의 자질과 바탕, 세상을 대하는 리더의 자세, 수련과 성찰을 통한 자기 계발 등 세 항목으로 나누어 동양 고전에서 뽑아낸 만고불변 선각의 가르침을 소개하고 있다.

목차

제1강// 리더의 자질과 바탕/ 007

제1장·효
제2장·윤리

제2강// 세상을 대하는 리더의 자세

제1장·노력
제2장·발전

제3강// 수련과 성찰을 통한 자기 계발

제1장·인재와 둔재
제2장·학문과 독서
제3장·성찰

부록

참고문헌
고사성어
알아두기

저자소개

리소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저술가. 문사철의 고전들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며 자기 계발을 꾀하는 이야기 그룹 ‘금요일의 인문학’을 이끌고 있다. 엮은 책으로 《카페에서 만난 동양철학》 《카페에서 만난 서양사상》 《카페에서 만난 동양고사》 《카페에서 만난 서양고사》 《카페에서 만난 명심보감》 《카페에서 만난 지혜의 말》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효 ☞

회사후소(繪事後素)라는 말이 있다. 공자가 제자인 자하와 더불어 시경의 한 편을 논하던 중에 한 말이다. 그림을 그리는 일은 바탕이 있고 난 뒤에야 가능하다는 뜻으로 〈논어〉 ‘팔일’ 편에 나온다. 본래 ‘소(素)’란 바탕을 말하는 것이고, 그 바탕이란 아무것도 칠하지 않은 순수한 본래이다. 그림은 비단에 그리기도 한다. 그림을 그리기 전에 먼저 그 바탕이 되는 캔버스가 있어야 하고 그 캔버스는 흰색이어야 한다. 그러고 나서 비로소 그 바탕에 그림을 그리는 것이다. 세상의 모든 일이란 바탕이 있고 나서야 가능하다는 것을 비유한 대목이다. 이에 자하는 외형으로서의 예는 그 본질인 인(仁)한 마음이 있고 난 뒤에라야 비로소 가치가 있는 것임을 깨달았다.
마찬가지로 어버이는 모든 생명의 근본이니 몸과 마음을 닦고 바로 세우는 ‘수신’의 첫걸음은 ‘효’에서 출발하는 것이며 이것이 바로 지도자의 정신적 자질을 결정하는 요체 중의 요체인 것이다.


춘추시대 초(楚)나라의 노래자(老萊子)는 효자로 유명하다. 노래자는 어려서부터 부모를 섬기는 정성이 지극하여 그 효성을 따를 자가 없었고, 나이가 들수록 더욱 효성이 깊어졌다. 부모님께 드리는 음식은 늘 맛있고 부드러운 것으로 하였고, 부모님이 입으실 옷은 언제나 가볍고 따뜻한 것으로 준비했으며, 아무리 마음 상하는 일이 있어도 부모님 앞에서는 얼굴빛을 온화하게 하여 편안한 마음을 가지시도록 했다.
노래자의 나이 70이 되었을 때도 부모님은 건강하였는데, 노래자는 자신의 늙은 모습을 보이지 않으려고 일부러 오색 색동옷_綵衣_을 지어 입었다. 부모님이 자신을 언제나 어린애로 생각하게 하기 위함이었다. 그뿐만 아니라 언제나 어린애처럼 재롱을 피우며 노래도 하고 춤도 추었다.
어느 날 그 노래자가 부모님의 진짓상을 올리다가 그만 발을 헛디뎌 땅에 넘어지고 말았다. 그러자 노래자는 어린애처럼 ‘응애, 응애!’ 하고 소리 내어 울었다. 자신이 늙고 기력이 없어서 땅에 넘어진 것을 부모님이 눈치채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었다.
노래자는 춘추시대 초나라의 학자로 공자와 같은 시대를 살았다. 난세를 피해 몽산(蒙山) 기슭에서 농사를 지으며 살았는데 그가 거처하는 곳마다 추종하는 이들이 모여들어 새로 마을이 생겨났다고 한다. 그는 중국 원(元)나라 곽거경(郭居敬)이 선정한 ‘24효’ 중의 한 명으로 꼽히기도 힌다. ‘24효’는 우순(虞舜)·한문제(漢文帝)·증삼(曾參)·민손(閔損)·중유·동영(董永)·염자(剡子)·강혁(江革)·육적(陸績)·당부인(唐夫人)·오맹(吳猛)·왕상(王祥)·곽거(郭巨)·양향(楊香)·주수창(朱壽昌)·유검루(庾黔婁)·노래자(老萊子)·채순(蔡順)·황향(黃香)·강시(姜詩)·왕포(王褒)·정난(丁蘭)·맹종(孟宗)·황정견(黃庭堅) 등 중국의 유명한 효자를 이른다.
― ‘칠순에 색동옷 입고 춤추다’ 중에서


윤리 ☞

삼강오상은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부강의 ‘삼강’과,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 또는 오륜의 ‘오상’을 말한다. 동중서는 유교의 고전 〈춘추〉를 해석한 〈춘추번로(春秋繁露)〉에서 이러한 개념을 논하는 한편 음양오행설을 더하여 이른바 ‘강상이론(綱常理論)’을 확립했다. 그에 따르면 우주의 기본적인 두 기운인 양(陽; 밝음·적극성·남성)과 음(陰; 어두움·소극성·여성)은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즉, 군주는 양이 되고 신하는 음이 되며, 아버지는 양이 되고 자식은 음이 되며, 남편은 양이 되고 부인은 음이 된다. 이러한 바탕 위에서 군주는 음양의 조화를 꾀해 백성을 돌보고 가르쳐 세상의 질서를 바로 세워야 한다. 그 방편으로 제도와 문물을 개혁할 수는 있지만 근본적 도덕 원리를 회피하거나 파괴해서는 안 된다. 이 같은 그의 사상은 군주의 통치 기반을 굳건하게 하는 원리로 받아들여졌고, 사회를 유지하는 기본 가치로 확산함에 따라 이에 어긋난 행위를 하는 사람은 ‘강상죄인(綱常罪人)’이라 하여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출사를 제한할 뿐만 아니라 역신으로 단죄하였다. 오늘날 지도자에게 투철한 윤리 의식을 요구하는 뿌리가 바로 여기에 있다. 강상의 도를 외면하는 지도자 아래 어찌 어진 신하와 백성이 모이겠는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0227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