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91190301374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25-10-05
책 소개
목차
| 들어가는 글 | 결국 문해력은 세상을 읽고 적응하는 힘 4
| 제 1 장 |미디어 문해력이란?
01 인공지능과 함께 살기
AI 시대, 특이점이 온다 17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힘 20
우리가 지켜야 할 것 22
02 사람을 연결하는 미디어
미디어란 무엇인가? 24
미디어는 누군가 구성한다 26
세상에 나쁜 미디어는 없다!? 29
미디어는 결국 상호작용이다 31
03 미디어 문해력의 이해
당신도 혹시 문맹인가요? 34
미디어 문해력의 개념 36
미디어 문해력을 바라보는 관점 38
[이슈 토론] AI를 수행평가에 활용해도 될까? 42
| 제 2 장 |건강한 미디어 생활
01 중독을 이기는 자기 조절력
조바심에서 벗어나기 47
미디어 중독 탈출하기 51
자기 조절력으로 균형 잡기 55
02 좋은 콘텐츠 가까이하기
나도 모르게 따라 하는 모방학습 62
최소한 이것만은 피하자 64
노란 딱지는 왜 붙을까? 67
알고리즘에 속지 않기 70
03 주체적으로 이해하기
비판적 사고란? 76
주관과 객관 분리하기 82
내면화 질문으로 나만의 의미 만들기 86
[이슈 토론] AI가 학습하는 나의 데이터로 돈을 벌 수 있을까? 90
| 제 3 장 |결에 따른 미디어 문해력
01 전통적인 미디어의 변화
아날로그에서 디지털까지, 책 95
상업성과 예술성의 조화, 영화 102
02 미디어 생태계의 기본 뿌리
돈 벌어다 주는 살림꾼, 광고 109
새로운 정보를 전하는 배달꾼, 뉴스 114
03 직관적이고 주체적인 재미
쉽고 직관적인 매력, 만화와 웹툰 123
참여와 경험, 게임 130
04 크리에이터 시대의 시작
또 다른 만남의 광장, 소셜 미디어 137
작지만 큰 영향력, 개인 방송 145
[이슈 토론] AI와 나누는 대화가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될까? 152
| 제 4 장 |창의적으로 미디어 활용하기
01 살아 움직이는 미디어 트렌드
누구나 소비자이자 생산자 157
SNS 변천사로 보는 미디어의 변화 159
매체를 넘나드는 OSMU와 트랜스 미디어 164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하이퍼 리얼리즘 170
인공지능과 함께하는 콘텐츠 172
02 미디어로 공부하기
SNS로 자기주도학습 하기 176
효과적인 인터넷 강의 학습법 182
미디어를 활용한 덕업일치 185
내 꿈을 찾는 진로 설계의 4단계 188
03 생성형 AI 활용하기
Canva로 디자인 콘텐츠 만들기 194
Suno AI로 나만의 음악 만들기 198
VREW로 영상 제작하기 201
뤼튼으로 글쓰기 204
[이슈 토론] AI 콘텐츠, 저작권 문제는 없을까? 212
| 나가는 말 | 어차피 AI가 다 하면 우리는 뭘 하나요? 214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문해력은 글을 읽고 쓰는 것부터 시작했지만, 결국 그 대상은 세상으로 확장됩니다. 이 세상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것이 미디어라는 매개체이고요. 읽어야 할 텍스트를 세상으로 확장하면, 세상을 이해하고, 세상에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것까지 포함하여 문해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체적으로 세상에 적응하며 살아가는 힘과 같습니다. 여러분이 앞으로 살아갈 세상은 더 역동적인 변화를 겪을 거예요. 그때 문해력은 여러분이 주체적으로 세상을 살아갈 힘을 제공합니다. -<들어가는 글: 결국 문해력은 세상을 읽고 적응하는 힘> 中에서
AI는 점점 더 똑똑해지고 있어요. 우리는 단순히 지시만 내리는 존재가 아니라, AI보다 앞서 생각하고 의미 있는 질문을 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인공지능에게 효과적으로 지시하기 위한 명령이나 질문인 프롬프트가 중요해지고 있어요. 마지막에는 원하는 의도가 잘 반영되었는지 검토하고 평가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 기준은 바로, 스스로가 정한 주체성과 창의성이에요. 앞으로는 자신의 의지로 생각하고, 그것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이 더욱 중요합니다. 다가올 미래에 우리가 지켜낼 ‘대체 불가능성’으로 주체성과 창의성이 먼저 꼽히는 이유입니다 -<1장. 미디어 문해력이란> 中에서
무한 리필의 유혹을 극복하고 내 건강, 입맛과 체질에 맞추어 먹는 것이 현명한 자세입니다. ‘과잉의 시대’에 스스로 절제하며 즐기고 음미하는 것이 중요해요. 긴 호흡으로 감상해 보세요. ‘빨리빨리’의 논리에서는 이 책에서 다루는 많은 내용이 사치스럽게 느껴져요. 작품을 읽고 생각할 시간, 질문할 시간, 토론할 시간, 다른 매체와 비교할 시간, 변형하고 창조할 시간. 이러한 시간은 스스로 만들어야 하는 시간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유 없는 ‘빨리빨리’란 강박에서 벗어나 마음의 여유를 되찾아 보세요. - <2장. 건강한 미디어 생활> 中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