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90337397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20-07-16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_자유학년제 프로젝트 수업 10
1장 공책 표지에 얽힌 이야기
2장 진로체험 활동지 만들기+진로 수업
3장 학교 가는 길 글쓰기+사회, 미술 수업
4장 책 예고편 영상 만들기+정보 수업
5장 시, 너를 알고 싶다
6장 우리 동네 생태지도 만들기+사회, 과학, 미술 수업
7장 혐오 표현 안 쓰기+도덕, 사회 수업
8장 우리말 바로 쓰기+정보 수업
9장 반가 만들기+음악 수업
10장 갈등과 성장 배우기
에필로그 _끝없는 시행착오, 그리고 기록과 공유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그렇다면 남은 문제는 어떤 프로젝트 수업을 할까였다. 기준이 필요하겠다는 생각에 나름대로 수업의 원칙을 세워보았다. 무엇보다 학생들은 자신의 생활과 관련된 문제에 맞닥뜨리면 관심을 보인다. 그 점을 기억해야 했다. 학교에서 배우는 교과가 삶의 문제를 건드려주지 않는다면 학생들은 흥미를 쉽게 잃지만 자신의 문제라고 생각하면 열성적으로 참여하고, 그렇게 배운 것은 오래 간직한다. 수업 시간에 배우는 내용이 너무 추상적이면 중학교 1학년 학생들로서는 수업에 다가가기가 수월하지 않다. ‘최대한 학생의 삶에서 시작한다’, 그것이 내 첫 번째 원칙이었다. -프롤로그
한 해 한 해가 지나가면서 수업은 점점 정교하게 되었고(20년을 했으니!) 그 때문인지 대부분 학생들이 2분 정도 자신의 이야기를 공식적으로 말할 수 있게 되었다. 학생들에게 말하기를 바로 시키면 어려워하기 때문에 쓰기를 먼저 시켰고, 쓰기를 시키다보니 문장과 문단의 개념, 개요짜기에 관한 이야기를 할 수밖에 없었다. 당연히 고쳐쓰기도 몇 번 시켰다. 말하기를 하기 전에 혼자서 연습도 해보고 짝과 연습하고 모둠별로도 연습했다. 말하기를 하는 동안 내용을 판단하면서 듣는 연습도 시켰다. 처음엔 간단하게 시작했는데, 해가 갈수록 꽤 큰 프로젝트가 되었다. -1장 공책 표지에 얽힌 이야기
체험활동이 일회성 행사로 끝나지 않으려면 교과 교사와 담임 교사가 함께 학생들의 체험을 고민해야 한다. 사전에 학습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실제 체험활동을 수행한 후, 다녀와서 정리하며 소감을 나누는 형태로 이루어지면 과정마다 학생들은 자신의 행동을 성찰할 수 있다. 학생의 체험과 수업이 밀접하게 연계되면 수업도 훨씬 생기있게 진행되고 체험도 알차진다. 그 과정에서 학생이 무엇을 어떻게 배울지를 계획하는 것은 교사의 몫이다. -2장 진로체험 활동지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