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학생을 깨우는 교사 세상을 바꾸는 학생

학생을 깨우는 교사 세상을 바꾸는 학생

(비에스타 교수와의 대화)

김현수, 김원석, 강다윤, 구본희, 구소희, 김진혁, 정현숙, 조현서, 거트 비에스타 (지은이)
별의친구들
1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820원 -10% 0원
990원
16,8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학생을 깨우는 교사 세상을 바꾸는 학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학생을 깨우는 교사 세상을 바꾸는 학생 (비에스타 교수와의 대화)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97246739
· 쪽수 : 211쪽
· 출판일 : 2023-08-10

목차

프롤로그

1부 비에스타의 이해

무엇을 위한 교육인가? – 김 원 석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시민, 교육, 학교의 역할과 내용
- 비에스타의 민주시민 교육포럼을 정리하면서 - 김 현 수

2부 비에스타와 교사들과의 만남

가르침의 재발견을 통한 교육철학의 중요성
– 강 다 윤 (광명 광일초 교사)
비에스타가 말한 좋은 교육과 우리의 현실
정 현 숙 (대구 대실초 교사)
교사 주도성과 교사의 신념
구 본 희 (서울 관악중 교사)
교육회복을 위한 철학 탐색- 코로나 시대의 좋은 교육이란 무엇인가?
- 구 소 희 (인천 부내초등학교 교사)
교사는 어떻게 용기를 낼 수 있는가?
김 진 혁 (전남 장흥초 교사)

3부 비에스타와의 대화

비에스타의 강의 : 팬데믹 이후 교육, 방향감각을 찾아서
거트 비에스타 교수와 한국 교사 6인과의 대화
교사들과의 대화
- 1부 : 김 원 석 선생님과의 대화
- 2부 : 관계의 심리학을 연구하는 교사단 교사들과의 대화

에필로그

저자소개

김현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 교수, 치유적 대안학교인 ‘성장학교 별’ 교장. ‘인터넷 중독’을 한국 최초로 널리 알리고 인터넷 중독 피해 지원 센터를 운영했다. 대한중독정신의학회 행위중독 위원장, 중독포럼 상임이사를 맡았다. 여가부 청소년보호위원회 위원, 한국청소년 상담복지개발원 이사, 대한청소년정신의학회 부회장 등을 지냈으며, 한국 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이사장을 맡고 있다. ‘관계의 심리학을 연구하는 교사단’ 대표이며, 사회 정서 학습에 대한 활동을 오래 하면서 미디어 중독의 대안을 활발히 찾고 있다. 지은 책으로 『교사 상처』 『공부 상처』 『무기력의 비밀』 『괴물 부모와 탄생』 등이 있다.
펼치기
구본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년 넘게 국어 수업과 평가에 진심이었습니다. 학생들이 수업을 통해 조금씩 자라는 모습을 보는 것이 낙이었습니다. 마을 답사반 동아리를 운영하며 여전히 학생들을 만나고 마을과 무엇인가를 사부작거리며 하고 있습니다.
펼치기
거트 비에스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아일랜드 메이누스대학교 교수이자 영국 에딘버러대학교 교육학 교수이며, 노르웨이 아그데르대학교와 핀란드 헬싱키예술대학에서 객원교수직을 맡고 있다. 외국 출신으로는 최초로 미국 교육철학학회 회장을 역임한 바 있다(2011~2012). 2019년 6월 22일 서울시립대학교에서 열린 <2019 학교민주시민교육 국제포럼>에서 기조강연을 하기도 했다. 주요 저서로는 『학습을 넘어(Beyond Learning)』(교육과학사, 2022), 『교육의 평등, 제3의 길(Jacques Ranciere: Education, Truth, Emancipation)』(씨아이알, 2023), 『우리는 교육에서 무엇을 평가하고 있는가(Good Education in an Age of Measurement: Ethics, Politics, Democracy)』(씨아이알,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구소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천 삼산초등학교 관계의 심리학을 연구하는 교사단으로 배움을 학생들과 실천하고 동료 교사들과 나누며 함께 성장하는 것을 큰 보람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초등상담교육연구회, 학급긍정훈육법 등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함께 운영하였고, 관계중심 생활교육지원단, 민주시민교육 아카데미, 사회정서학습(SEL) 선도교사, 교육과정-수업-평가 통합지원단 등의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학생들과 함께 읽고, 쓰고, 성찰하며 자신과 세상을 알아가는 활동을 의미 있게 이어가고 있습니다. 동료들과 함께 만든 책으로는 『요즘 아이들 학급 집단 심리의 비밀』, 『민주주의자들의 교실: 실천편』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김원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회의원 강민정 의원실, 선임비서관 교육사회학, 정치사회학을 공부하였고, 구체적으로는 민주주의와 교육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우리 교육 현실과 사회를 바라보고 이해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성공회대학과 서울교육정책연구소 등에서 연구와 강의를 하였고, 현재는 국회에서 교육 정책과 법이 만들어지는 것을 지켜보고, 지원하고 있습니다.
펼치기
강다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광명 광일초등학교 초등학교에서 10여 년 근무하고 있습니다. 학급에서 낯선 행동을 하는 아이들과 좋은 관계를 맺고 성장을 돕는 일에 보람을 느끼고 있습니다. 아이들의 글을 모아 학급 문집을 만드는 일, 선생님들과 시와 책을 함께 읽으며 가르침을 성찰하는 일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책과 세계가 만나는 그 중간, 바로 학교에서 아이들과 함께 탐험할 수 있어서 교사인 것이 좋습니다. 관계의 심리학을 연구하는 교사단에서 6년째 공부하고 있습니다.
펼치기
김진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 장동초등학교 16년째 전남에서 근무하고 있는 초등교사입니다. 세상에 대한 호기심이 많고, 배우고 싶은 것을 발견하면 동서남북 가리지 않고 열심히 찾아가고 있습니다. 관심단_뿐만 아니라, 좋은교사, 실천교육 교사모임, 전교조, TCF(한국기독교사회), 수업과 성장연구소, 광주 수업코칭연구회, 한국 아카펠라교육연구회 회원입니다.
펼치기
정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 대실초등학교 초등학교에서 30년째 근무하고 있습니다. 경북, 중국, 경기, 대구 등 다양한 곳에서 다양한 학생들을 만났습니다. 중국에 다녀온 후로 다문화학생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대학원에서 다문화를 전공하였습니다. 교직생활의 1/3을 6학년을 지도할 만큼 6학년 학생들을 지도하는 것에 애정을 갖고 있고 진로교육과 다양한 문화, 다양한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함께 어우러져 공동체 안에서 함께 하나되는 것에 관심이 있습니다. 관계 심리학을 공부하는 교사단에서 3년째 공부하고 있습니다.
펼치기
조현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 휘봉고등학교 휘봉고등학교에서 아이들과 함께 지내시고, 관계의 심리학을 연구하는 교사단과 함께_하고 계십니다.
펼치기

책속에서

비에스타는 다시 가르침의 본질부터 시작한다. 그에 따르면 가장 기본적인 그리고 고대로부터 지금까지 여전히 유효한 교육의 형태는 바로 가리킴(pointing)이다. 우리는 누군가에게 이것, 저것을 보라고 가리킴으로써 가르침(teaching)을 시작한다.

교육은 가르치는 사람과 가르침을 받는 사람이라는 ‘이중구조’(dyadic structure)가 아닌 가르치는 사람, 가르침을 받는 사람, 가르침의 매개물이라는 ‘삼중구조’(triadic structure)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교육을 완벽히 만들거나 교육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겠다는 식의 약속들은 사실 학생의 자리를 지우는 일이다. 우리가 할 일은 다양한 매개물을 통해 아이들이 세계와 자신에 대한 민감성을 높이고, 그 속에서 변화가 발생할 수 있도록 아이들을 초대하는 것이다. 언제나 교육을 통해 배우며 하나의 주체로 성장하는 것은 자기 자신이다. 이는 다른 누가 대신해 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민주주의의 핵심 요점, 즉 민주적으로 함께 살기의 핵심 요점은 롤링 스톤스(Rolling Stones)의 가사처럼 “항상 원하는 것을 가질 수는 없다(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는 것입니다. 롤링 스톤스는 민주주의를 완벽하게 간파한 셈입니다. 따라서 민주주의는 “자기 제한(self-restraint)”을 요구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