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97246739
· 쪽수 : 211쪽
· 출판일 : 2023-08-10
목차
프롤로그
1부 비에스타의 이해
무엇을 위한 교육인가? – 김 원 석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시민, 교육, 학교의 역할과 내용
- 비에스타의 민주시민 교육포럼을 정리하면서 - 김 현 수
2부 비에스타와 교사들과의 만남
가르침의 재발견을 통한 교육철학의 중요성
– 강 다 윤 (광명 광일초 교사)
비에스타가 말한 좋은 교육과 우리의 현실
정 현 숙 (대구 대실초 교사)
교사 주도성과 교사의 신념
구 본 희 (서울 관악중 교사)
교육회복을 위한 철학 탐색- 코로나 시대의 좋은 교육이란 무엇인가?
- 구 소 희 (인천 부내초등학교 교사)
교사는 어떻게 용기를 낼 수 있는가?
김 진 혁 (전남 장흥초 교사)
3부 비에스타와의 대화
비에스타의 강의 : 팬데믹 이후 교육, 방향감각을 찾아서
거트 비에스타 교수와 한국 교사 6인과의 대화
교사들과의 대화
- 1부 : 김 원 석 선생님과의 대화
- 2부 : 관계의 심리학을 연구하는 교사단 교사들과의 대화
에필로그
저자소개
책속에서
비에스타는 다시 가르침의 본질부터 시작한다. 그에 따르면 가장 기본적인 그리고 고대로부터 지금까지 여전히 유효한 교육의 형태는 바로 가리킴(pointing)이다. 우리는 누군가에게 이것, 저것을 보라고 가리킴으로써 가르침(teaching)을 시작한다.
교육은 가르치는 사람과 가르침을 받는 사람이라는 ‘이중구조’(dyadic structure)가 아닌 가르치는 사람, 가르침을 받는 사람, 가르침의 매개물이라는 ‘삼중구조’(triadic structure)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교육을 완벽히 만들거나 교육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겠다는 식의 약속들은 사실 학생의 자리를 지우는 일이다. 우리가 할 일은 다양한 매개물을 통해 아이들이 세계와 자신에 대한 민감성을 높이고, 그 속에서 변화가 발생할 수 있도록 아이들을 초대하는 것이다. 언제나 교육을 통해 배우며 하나의 주체로 성장하는 것은 자기 자신이다. 이는 다른 누가 대신해 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민주주의의 핵심 요점, 즉 민주적으로 함께 살기의 핵심 요점은 롤링 스톤스(Rolling Stones)의 가사처럼 “항상 원하는 것을 가질 수는 없다(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는 것입니다. 롤링 스톤스는 민주주의를 완벽하게 간파한 셈입니다. 따라서 민주주의는 “자기 제한(self-restraint)”을 요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