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중국
· ISBN : 9791190345194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3-03-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다자주의란 무엇인가?
1. 다자주의의 정의
2. 다자주의와 대조되는 개념
3. 시진핑의 다자주의
4. 조 바이든의 다자주의
5. 미국과 중국의 다자주의의 충돌
6. 한국의 다자주의에 대한 입장
7. 다자주의의 전망
제2장 시진핑의 다자주의
1. 2017년 세계경제포럼(WEF)에서의 시진핑의 다자주의
2. 2019년 G20 정상회의에서의 시진핑의 다자주의
3. 2019년 브릭스에서의 시진핑의 다자주의
4. 2021년 세계경제포럼(WEF)에서의 시진핑의 다자주의
5. 2021년 제76차 유엔총회에서의 시진핑의 다자주의
6. 2021년 G20 정상회의에서의 시진핑의 다자주의
7. 2021년 중·러 화상 정상회담에서의 시진핑의 다자주의
8. 2022년 뮌헨 안보회의에서의 시진핑의 다자주의
9. 2022년 G20 정상회의에서의 시진핑의 다자주의
10. 2023년 제20차 전국대표대회 보고에서의 시진핑의 다자주의
제3장 다자주의의 역사
1. 케네디라운드
2. 도쿄라운드
3. 우루과이라운드
4. 도하개발어젠다
5. 세계무역기구
6. 자유무역협정
7. 동남아시아국가연합
8.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9.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10.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
제4장 중국 외교의 방향
1. 중국의 지역주의 배경
2. 중국의 지역주의의 성장
3. 중국의 다자주의에 대한 역사
4. 중국의 다자주의 수용 원인
5. 중국의 지역강국의 추구
6. 중국식 다자주의 노선
7. 시진핑의 다자주의 실천 방침
8. 중국식 다자주의에 대한 비판
제5장 상하이 협력 기구
1. 상하이협력기구의 설립 배경
2. 상하이협력기구의 설립 과정
3. 상하이협력기구의 설립 목적과 기본 이념
4. 상하이협력기구의 성과
5. 상하이협력기구의 협력 내용
6. 상하이협력기구에 대한 시진핑의 입장
7. 상하이협력기구에 대한 중국의 입장
8. 상하이협력기구에 대한 러시아의 입장
9. 상하이협력기구에 대한 중앙아시아의 입장
10. 상하이협력기구에 대한 미국의 입장
11. 상하이협력기구에 대한 비판
제6장 일대일로(一带一路)의 개요
1. 일대일로(一带一路)의 정의
2. 일대일로(一带一路)의 목적
3. 일대일로(一带一路)의 의미
4. 일대일로(一带一路)의 역사적 배경
5. 일대일로(一带一路)의 추진 과정
6. 일대일로(一带一路)의 결실
7. 마셜 플랜과의 차이
제7장 일대일로(一带一路)의 전략
1. 정책교류(政策溝通)
2. 인프라연결(設施聯通)
3. 무역원활화(贸易畅通)
4. 자금융통(资金融通)
5. 민심상통(民心相通)
제8장 일대일로(一带一路)의 배경
1. 중국의 꿈(中國夢)
2. 경제적 배경
3. 서부 대개발
4. 에너지 공급
5. 국내 공급과잉 해소
6. 정치적 배경
7. 군사적 배경
제9장 일대일로(一带一路)의 효과
1. 파키스탄과의 협력
2. 동남아시아로의 진출
3. 인도양 국가로 진출
4. 유럽으로의 진출
5. 중앙 및 서아시아 국가로 진출
6. 아프리카로 진출
제10장 일대일로(一带一路)의 자금 운용
1. 일대일로(一带一路) 비용
2. 정책은행
3. 상업성 금융기구
4.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제11장 일대일로(一带一路)의 문제점
1. 중국의 주도권 강화
2. 종속화
3. 부채의 증가
4. 프로젝트의 불투명성
5. 인도의 반대
6. 사업의 중단과 취소
7. 안보문제
8. 군사 개입
9. 부채 폭탄 위험
10. 부실 공사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오늘날 세계는 자국의 경제적인 이익을 위하여 다자주의를 표방하고 있다. 더욱이 미국 중심의 세력을 개편하려는 중국의 의해서 다자주의를 중요 정책으로 삼았다. 그렇다면 다자주의 라는 것은 무엇인가? 다자주의Multilateralism란 여러 나라가 무역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세계적 협의체를 를 두고 가치 체계나 규범, 절차 따위를 각국이 준수하고 조율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지역적ㆍ공간적 한계를 넘어선 포괄적 상호주의를 표방하는 것을 말한다. 로버트 코핸Robert Keohane 프린스턴대 교수는“다자주의는 셋 이상의 국가 간 관계를 조율하는 것으로, 그 성공을 위해서는 집단적 정체성과 함께, 단기적으로는 손해를 보더라도 장기적으로 이익이 될 수 있다는 상호 인식이 매우 중요하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제1장 다자주의란 무엇인가?
세계경제포럼은 전 세계의 경제적인 상황이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포럼을 개최하며, 각국의 경제사업을 서로 연결하며, 지역사회의 산 업적인 목표나 안건을 결정하며 독립적 비영리재단 형태로 운영된다. 본부는 스위스 제네바에 위치하고 있으며, 다보스에서 회의를 개최하기 때문에 다보스포럼Davos Forum이라고도 한다. WEF는 1971년 1월 독일 출신의 제네바대학 경영학 교수인 클라우스 슈바브Klaus Schwab에 의해 창설된 유럽경영포럼European Management Forum多边主义으로 출발을 시작했다. 세계경제포럼은 경제발전 없이 사회발전은 불가능하고, 사회발전 없이 경제발전이 지속되지 못한다는 원칙으로 운영되는 포럼이다.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첫 회의에 400명의 유럽 경영인들이 참가하여 성황을 이루면서 지속적으로 열리고 있다.
제2장 시진핑의 다자주의
다자주의는 원래 지역주의가 중심이 되었던 국제무역에서 미국이 전통적으로 추구해온 또 다른 신념이었다. 기존의 지역주의에서 벗어나 다자주의가 보편화된 것은 오랜 세월 동안 미국이 국제적인 무역 협상 회담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얻어년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를 계기로 미국은 세계적으로 리더십을 발휘하면서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하였다. 최초의 다자주의는 케네디라운드로Kennedy Round부터 시작되었다. 케네디라운드는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 T에 관련된 6차례의 회의를 당시 미국의 대통령이었던 존 F. 케네디가 회의의 주제를 제안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제3장 다자주의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