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신라/통일신라
· ISBN : 9791190429245
· 쪽수 : 422쪽
· 출판일 : 2022-05-25
책 소개
목차
서문 5
Ⅰ. 들어가는 말 11
1. 연구목적 11
2. 문제의식과 연구현황 15
3. 책의 구성과 내용 28
Ⅱ. 신라석탑의 건립배경과 변화요인 37
1. 건립배경 37
1) 7세기 37
2) 8세기 54
3) 9세기 64
2. 변화요인 73
1) 석탑 조형에 대한 관점 74
2) 불탑관의 변화 89
Ⅲ. 통일신라 석탑의 변화양상과 전개 101
1. 변화양상 101
1) 용어와 개념 101
2) 유형 106
3) 분포 114
2. 전개과정 125
1) 일반형석탑의 변화와 전개 125
(1) 전체 변형 석탑 125
(2) 기단부 변형 석탑 138
(3) 탑신부 변형 석탑 153
2) 모전석탑의 건립과 전개 163
(1) 전축형 석탑 163
(2) 전축모방형 석탑 168
Ⅳ. 통일신라 석탑의 양식 특성 177
1. 양식의 특수성 177
1) 기단부와 탑신받침의 변화 177
(1) 기단부 결구방식 177
(2) 별석 탑신받침의 형식과 특징 187
2) 새로운 양식의 적용 199
2. 변형 석탑의 건립시기 212
1) 8세기 212
2) 9세기 226
Ⅴ. 모전석탑의 양식과 변천 243
1. 전축모방형 석탑 양식 특징 243
1) 양식특징 243
(1)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244
(2) 구미 죽장사지 오층석탑 262
(3) 구미 낙산리 삼층석탑 274
(4) 상주 낙상동사지 석탑 279
2) 변천과정 291
2. 모전석탑의 건립시기 304
1) 7세기 304
2) 8세기 315
3) 9세기 330
Ⅵ. 통일신라 석탑의 조형적 특징 337
1. 다양성과 독창성 338
2. 고려시대 석탑으로의 계승 348
Ⅶ. 맺 음 말 381
참고문헌 388
찾아보기 407
저자소개
책속에서
신라는 삼국 중 가장 늦은 527년 불교를 공인하였는데 공인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던 것을 만회하려는 듯 짧은 시간 안에 사찰을 건립해 나갔으며, 이와 함께 불교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불국토사상(佛國土思想)을 통해 강조하였다. 따라서 신라의 불탑관 역시 불국토사상과 함께 전개된다고 할 수 있다.
『조탑공덕경(造塔功德經)』은 영융원년(永隆元年, 680년) 천축법사 지바하라(地婆訶羅, 613~687)와 서명사(西明寺)의 원측(圓測) 등 5명에 의해 한역되었다. 신라 출신의 원측은 이 경의 번역에 참여했을 뿐만 아니라 서문을 쓰기도 했다. 원측은 613년 출생해서 3세 때 출가하고 15세 되던 진흥왕 48년(626년) 입당 후 불수기사(佛授記寺)에서 84세로 입적한다.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잠시를 제외하곤 평생 중국에서 활동했던 인물이다. 그러나 원측이 주석했던 서명사에는 원측의 제자인 승장(勝莊)과 도증(道證) 외에도 신라 출신의 승려가 많았던 까닭에 원측이 번역하고 서문까지 쓴 『조탑공덕경』이 번역 직후 신라로 전해져 유포 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석남사에서 출현한 영태2년명(永泰二年銘) 납석제호는 불탑이 아닌 석조비로자나불과 『무구정경』을 함께 봉안한 사례인데 표면에 새겨진 명문을 통하여 무구정광다라니를 봉안했음을 알 수 있다. 내용을 보면, 돌아가신 두온애랑(豆溫哀郞)과 불상을 조성한 법승(法勝)과 법연(法緣) 두 승려, 그리고 이 불상에 예를 표한 사람, 뿐만 아니라 듣거나 그림자를 지나간 사람 등 모든 이들이 나쁜 업이 없어져 스스로 비로자나불임을 깨닫길 바라고 있다. 즉, 망자를 추복하고 있지만, 망자의 극락왕생보다는 정각을 염원하고 있는데, 이는 발원자가 승려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