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90777131
· 쪽수 : 297쪽
· 출판일 : 2020-09-24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 25p
제1장. 조선사편수회의 설치와 운영
1. 조선총독부의 수사(修史)사업 - 35p
조선반도사 편찬계획 / 조선사편찬위원회 설치 / 조선사편수회 설치
2. 조선사편수회의 조직과 운영 - 51p
조선사편수회 조직 / 조선사편수회 참가자의 면모
제2장. 「조선사」 편찬과 일제의 한국사 인식
1. 「조선사」 편찬 - 65p
「조선사」 편찬 방식 / 「조선사」 시기구분과 편찬 체제 / 「조선사」 간행과 소요 예산
2. 주요 참가자들(일제 관학자)의 한국사 인식 - 79p
구로이타 가쓰미(黑板勝美) / 이나바 이와키치(稻葉岩吉) / 이마니시 류(今西龍)
제3장. 해방 후 식민사학 문제
1. 식민주의사관 비판 - 89p
일제 식민사학자들의 한국사관 / 식민사관의 요체
2. 식민사학 극복의 한계 - 100p
3. 「실증사학」의 검증 - 103p
랑케 실증주의사학의 태동 / 일본 제국주의와 랑케 실증주의 수용 /
‘일제식 실증주의 사학’과 한국 실증주의 사학
제4장. 해방 후 역사학자들의 동향
1. 8.15 해방과 역사학계 동향 - 117p
역사학회 결성 / 조선사편수회 참여자들의 활동
2. 해방 후 좌우 대립 - 128p
은둔학자들의 연구 활동 / 사회주의계열 학자들의 활동
제5장. 이병도의 역사관과 해방 후 영향
1. 이병도의 학문과 역사관 형성 - 137p
2. 이병도 사학의 위상과 영향 - 162p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을 통해 본 이병도 사학 / 『역사가의 유향』을 통해 본 이병도 사학
3. 이병도 역사관의 비판 - 190p
고조선 문제 / 한사군 문제 / 삼한 문제 / 고대 지명 비정 / 역사연구 방법론
제6장. 신석호와 조선총독부 조선사편수회
1. 신석호의 학문과 역사관 형성 - 247p
조선총독부 조선사편수회 시기 / 해방 후 국사편찬위원회 시기 / 스승 신석호와 제자 강만길
2. 신석호의 역사관 - 264p
나오는 글 - 279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