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시조집
· ISBN : 9791191108576
· 쪽수 : 128쪽
· 출판일 : 2022-11-30
목차
1부 꽃의 노래
개나리 꽃
꽃 그림자
나팔꽃
물망초 꽃
미스 김 라일락
배꽃
사랑초 꽃
싸리 꽃
아카시아 꽃
엄마 꽃
엉겅퀴 꽃
옥잠화
이팝나무
겨울장미
구름 꽃
꽃 도둑
낙엽 비
맥문동
분꽃
연잎
연꽃
연밥
옥수수
참나무
감 잎사귀
모과
2부 사랑의 노래
가는 임
노을
별꽃 향기
서동요 사랑
접동새
첫사랑
카페의 사랑
코로나
팔랑개비
하얀 낙엽
불타는 사랑
달무리
사랑의 눈동자
사랑의 비밀
사랑이 사는 곳
이별
인연
연애편지
짝사랑
그리움
제3부 인생의 노래
갈매기
낮달
매미의 열창
아침 노래
엄마 달
운동회
장마
주말 부부 여행
인생
한여름
귀뚜라미
김장
눈물방울
밥값
베짱이
사과밭 풍경
사람
스마트폰 배터리
자화상
인생의 가을
제4부 장소의 노래
거창 애우艾牛
궁남지 버드나무
금성산
백제금동대향로
백화정
사택지적비
사랑 나무
정림사지 오층 석탑
칠월의 궁남지
황포돛배
고란사
계백의 혼
두향 묘
명탄 서원의 달
무량사
사송정
성왕 상 바라보며
외제 차
의자 대왕
부여
자온대
계산桂山공주
호수에 빠진 달 - 수정궁
호수에 빠진 달 - 연화세계
호수에 빠진 달 - 물망초
<시조시집 평설> 최규학 시조의 특질
최건수(교육학 박사)
저자소개
책속에서
최규학 시인의 특징인 힘과 감각의 내러티브 구성력은 자유와 존재의 시어를 근거로 하여 나온다고 생각한다. 그의 시조는 그때그때 이미 있는 사물에 대해 노래하는 것이 아니다. 그는 우리가 아는 좁은 의미의 언어를 가지고 인간이나 사물을 표상하지 않는다. 그는 좁은 의미의 언어에서 벗어나 탈자적 자세 즉 자유의 태도를 배우고자 한다. 자유의 태도는 심리학적 특성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는 개별적이고 특수한 존재자가 아니라 전체 존재자의 존재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전체적 존재에서 탈락하면 비존재적인 존재자가 되기 때문이다. 먼저 간단히 정형시의 구조와 그의 시상 및 소재에 대해 알아보고, 마지막에 그가 어떻게 자유와 존재의 시어를 창조하는지를 설명해 본다. <중략>
하이데거는 올바른 순간, 올바른 인내의 순간에 존재의 소리를 경청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 순간은 자유와 납득을 배워 태도가 도약하는 순간이다. 시인의 힘과 감각의 근원은 심리학적 특성으로서 가지는 성질의 것이 아니라 자유와 존재에 근거하고 있다. 힘과 감각의 내러티브 구성력을 특색으로 지닌 최 시인이 올바른 순간과 올바른 인내로 더 좋은 시어를 창조해내기 바란다.
― 최건수(교육학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