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학교/학습법
· ISBN : 9791191309836
· 쪽수 : 298쪽
· 출판일 : 2025-05-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왜 적기교육이어야 할까?
:아이 성장과 발달에는 적기가 있다
• 기저귀 차고 공부하는 아이들
• 우리나라 조기교육의 결정적 차이
• 사교육 선택의 기준은 부모의 불안감
• 조기교육에 대한 부모와 교사들의 속마음
• 부모들은 왜 불안해할까?
• 부모의 기대와 아이들의 눈높이는 얼마나 차이가 날까?
• 아이들은 이렇게 성장한다
• 아이가 원해서 사교육을 시킨다고 말하는 부모들에게
• 아이에게 어떤 관심을 보이고 있는가?
• 양육 철학을 가진 부모가 되라
2장 달콤한 유혹, 조기교육
:제때 출발한 아이가 정확히 도착한다
• 세계 여러나라 유치원의 문자 교육 접근법
• 조기교육이 적기교육보다 효과적일까?
• 적기교육을 시키면 아이 성적이 뒤처질까?
• 조기교육으로 우리가 잃어버린 것들
• 영재아를 둔 부모들의 특징은 무엇일까?
• 호기심과 맞바꾼 수식 암기
• 성적은 최상위 그러나 공부 의욕은 평균 이하
• 공부 근육보다 마음의 근육을 먼저 키워주자
• 초등학교 입학 전에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적기교육을 해야 하는 이유
3장 적기교육은 인성 교육
:세상의 모든 부모가 자녀에게 가르쳐야 할 것이 있다
• 오직 부모만 가르칠 수 있는 아이의 습관
• 이 시대의 키워드, 공감 능력
• 글자와 셈하기보다 긍정적 자아 개념을 먼저 길러주자
• 자존심과 자존감의 균형이 중요하다
• 몰입은 아이 행복의 핵심 가치다
• 작은 노력으로도 집중력을 키워줄 수 있다
• 친구들에게 인기 있는 아이로 키워라
• 배려는 유아에게 반드시 필요한 매너이다
•3세, ‘나’를 인정받고 싶은 나이
• 아이의 기질을 파악하면 육아가 쉬워진다
• 행복한 아이는 어떤 아이인가?
• 죄책감에 빠진 부모들에게
자녀 교육에 성공하는 부모들의 열 가지 공통점
4장 뇌 발달에 따른 적기교육
:뇌는 부모의 스킨십을 가장 좋아한다
• 아이의 뇌는 부모의 사랑으로 발달한다
• 부모가 알아야 할 뇌 발달 메커니즘
• 뇌 발달에도 적기교육이 있다
• 아이의 뇌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무엇일까?
• 땀 흘리는 운동이 뇌를 깨어나게 한다
뇌 발달을 위해 엄마가 꼭 해야 할 일
5장 그림책을 통한 언어 교육
:아이의 문해력 발달은 놀이와 소통을 통한 자연스러운 언어 체험에서 시작된다
• 부모가 알아야 할 유아기 언어 발달의 특징
• 첫 번째 문해 교실, 언어의 씨앗을 심는 우리 집
• 대화할 줄 아는 아이로 키워라
• 하이컨셉의 시대에도 그림책은 힘이 세다
• 좋은 그림책은 어떻게 고를까?
• 그림책, 왜 ‘함께 읽기’일까?
• 그림책 함께 읽기의 전략, 대화적 읽기
발달 영역별 그림책 함께 읽기
• 생각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추자
- 수학적 감수성과 사고력을 길러주는 그림책 함께 읽기
• 자기 감정을 이해한다는 것
- 감정 이해와 표현력, 조절력을 길러주는 그림책 함께 읽기
• 그림책에 담긴 사회성 모델링 보여주기
- 사회성을 길러주는 그림책 함께 읽기
• 그림책 안에서 배우는 언어 표현
- 의사소통 능력과 문해력을 길러주는 그림책 함께 읽기
• 자기만의 방식으로 세상을 볼 수 있게 하라
- 시각적 문해력과 창의력, 예술성을 길러주는 그림책 함께 읽기
6장 미래 사회를 살아갈 아이들에게 필요한 디지털 교육
:스마트 기기 사용, 조절과 절제 교육이 필요하다
• 이제는 디지털 역량 교육이다
• 스마트 기기에 과의존하는 아이들
• 스마트 기기 사용도 조기교육?
• 스마트 기기 사용에 능숙하면 똑똑한 것일까?
• 부모를 위한 바람직한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조언
7장 놀이를 통한 배움
:아이들은 놀면서 자란다
• 아이들에게 놀이 문화를 만들어줘라
• 아이들에게 진짜 놀이란 무엇일까?
• 자연과 함께하는 바깥놀이가 미래 인재의 힘이다
• 아이가 좋아하는 놀이는 무엇일까?
• 엄마 아빠가 함께하는 공동양육이 아이를 성장시킨다
• 아이와 함께 놀이하기 좋은 놀잇감
연령별 놀잇감 선택의 기준과 추천 놀잇감
리뷰
책속에서
어린 아기의 신체 발달 과정을 잘 살펴보면, 일정한 순서와 방향성이 있다. 먼저 머리를 들 수 있게 된 후에 앉을 수 있다. 그리고 앉을 수 있게 된 후에 두 발로 선다. 언어 발달도 이와 유사한 수순을 밟는다. 옹알이를 한 다음에 단어를 사용할 수 있고, 간단한 문장을 사용할 수 있게 된 다음에 복잡한 문장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달에 일정한 순서와 방향이 있는 것은, 이전 발달이 다음 발달의 기초가 되고 기초가 탄탄할 때 점차 높은 차원의 발달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기 선행 교육을 강조하는 각종 학원도 놀이 중심의 교육이라고 주장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사실은 놀이로 포장된 학습인 경우가 많다. 여기서 말하는 조기교육이란 유아의 발달 단계에 맞지 않는 내용을 지나치게 학습 위주로 일찍 가르치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