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지능형 정부의 정책 이슈

지능형 정부의 정책 이슈

정충식, 고대식, 김판석, 신영진 (지은이)
윤성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5% 0원
1,000원
18,000원 >
18,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80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지능형 정부의 정책 이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지능형 정부의 정책 이슈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91503111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1-05-14

책 소개

이 책은 다양한 분야로 구성된 전문가들이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정부로의 전환 및 공공 부문의 대응 정책을 분석한 결과물이다.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지능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대응하기 위한 발판이 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목차

제1장 지능형 정부란 무엇인가? 19
제1절 지능정보사회의 등장 / 19
1. 4차 산업혁명에 의한 지능정보기술의 발전 / 19
2. 지능정보사회 추진 전략 / 20
3. 지능형 정부의 등장 / 22
제2절 외국의 인공지능 국가전략 및 디지털정부 추진 현황 / 25
1. 영국의 인공지능 및 디지털 국가 전략 / 26
2. 미국의 인공지능 및 디지털 국가 전략 / 29
3. 일본의 인공지능 및 디지털 국가 전략 / 32
4. 중국의 인공지능 국가 전략 / 35
제3절 지능형 정부의 국내 현황 / 37
1. 2017년 지능형 정부 기본 계획 / 37
2. 2019년 디지털 정부혁신 추진 계획 / 40
3. 2019년 인공지능 국가 전략 / 41
4. 2020년 디지털 정부혁신 발전 계획 / 43
제4절 지능형 정부의 정책 추진의 주요 이슈 / 45
1. 행정 부문에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 도입 가능성 / 45
2. 공공 부문의 디지털 인력 강화 / 47
3. 디지털 포용의 필요성 / 49
4. 프라이버시 침해의 가능성 / 51
5. 전자감시 정부의 가능성 / 52
제5절 지능형 정부의 발전 방향 / 55
1. 사회적 합의를 통한 정책 추진 / 55
2. 범정부적인 거버넌스 확립 / 56

제2장 지능형 정부 구현을 위한 지능정보기술 59
제1절 지능정보기술 / 59
1. 인공지능 / 60
2. 빅데이터 / 63
3. 블록체인 / 66
4. 사물인터넷 / 69
5. 5G / 71
6. 확장현실 / 74
7. 클라우드 컴퓨팅 / 78
8. 디지털 트윈 / 81
9. 로봇업무 자동화(RPA) / 84

제3장 지능형 정부의 인사행정: 89
전자 시스템 개발과 전산 직렬 개편
제1절 지능정보사회와 4차 산업혁명이 인사행정에 미치는 영향 / 89
제2절 인사행정 외의 전자 시스템 개발: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dBrain) / 93
제3절 인사행정 부문의 전자 시스템 개발: 전자인사관리시스템(e-사람) / 95
1. 전자인사관리시스템의 발전 과정과 의의 / 96
2. 전자인사관리시스템의 주요 서비스 / 99
3. 전자인사관리시스템의 서비스 구성 / 101
4. 전자인사관리시스템의 이용 효과와 향후 발전 방향 / 103
제4절 지능정보 전문인력 확보를 위한 전산 직렬 개편: 새로운 직류의 신설 / 105
1. 2014년 정보보호 직류 신설 / 109
2. 2020년 데이터 직류 신설 / 110
3. 향후의 새로운 직렬과 직류 개편 방안: 지능정보 직렬 신설 등 / 114
제5절 지능정보 전문인력 교육훈련 발전 방향 / 116

제4장 지능형정부의 조직운영 과제 모색 123
제1절 문제 인식 / 123
제2절 지능형정부의 차별적 핵심 속성에 대한 탐구 / 126
1. 정책 목표로서 정부 모형 측면에서의 차별성 / 126
2. 정책 내용으로서 추진 과제 측면에서의 차별성 / 128
3. 학술적 측면에서 지능형 정부 및 지능형 조직 연구 동향 및 그 한계 / 131
제3절 지능형정부로의 진화적 발전을 위한 선결 과제 탐색 / 133
제4절 지능형정부 완성도 제고를 위한 향후 조직 운영 정책 과제 제안 / 140
1. 지능형정부화에 따른 업무 수행 방식의 변화 예측과 대응 / 141
2. 지능형정부화에 따른 자원 배분 방식의 변화 예측과 대응 / 142
3. 지능형정부화에 따른 문제 해결 방식의 변화 예측과 대응 / 144
4. 새로운 희망을 걸어보며 / 147

제5장 지능정보화 시대의 국회 151
제1절 국회의 기능 / 151
1. 의정활동 / 152
2. 입법 지원 / 153
제2절 국회의 지능정보화 / 155
1. 지능정보화의 필요성 / 155
2. 현재의 국회 정보화 시스템 / 157
3. 국회 지능정보화의 비전 : 디지털 국회 추진단 / 161
4. 외국 국회의 지능정보화 사례 / 163
제3절 국회의 지능정보화 도입 방안 / 167
1. 국회의 전문성과 효율성 제고를 위한 RPA와 인공지능 도입 / 167
2. 의사결정 방식의 다양성 확보를 위한 온라인·비대면 회의 도입 / 171
제4절 향후 과제 / 174
1. 국회 지능정보화 추진의 원칙수립 / 174
2. 시민 의견 수렴 / 175
3. 국회 내부의 지능정보 생태계 강화 / 176

제6장 지능형 정부의 사이버보안 181
제1절 지능형 사이버보안 / 181
1. 생체 인증과 사물인터넷 / 183
2. 스마트시티에 접속하는 열쇠 / 184
3. 생체 인증 기술의 서비스 사례 / 188
제2절 전자신분증과 ‘Digital Identies’ / 189
1. 스마트시티 복지·의료·바우처 카드 / 191
2. 스마트홈과 스마트시티 보안 / 191
제3절 생체 인증의 과제와 진화 / 193
제4절 전자신분증과 재난 및 급변사태(통일) 대비 (피)난민 보안 / 197
1. 전자주민증 vs. 전자신분증 구축 / 198
2. 대규모 이재민 및 (피)난민 대상의 사이버보안 / 201
제5절 국가 기간 인프라 붕괴 시 대책 수립 / 204
1. 생체 인증, 민간 표준 FIDO, UN 산하 국제통신연합 국제표준 확정 / 205
2. 스피커 본인 인증 기술, ‘음성(Biometric)+인증서(PKI)’ 결합 / 205
3. 아마존과 MS 음성 인식 스피커?플랫폼 통합 / 206
4. 마이크로소프트 ‘No 패스워드’ 선언 / 207
5. 글로벌 가전회사 ‘사물인터넷 + 인증서(PKI)’ 준수 선언 / 207
6. 글로벌 경쟁자들의 ‘생체정보 + 사물인터넷’에 인증서(PKI) 사례 / 208
제6절 지능화 정부의 위치 정보 사용 기준 제정 / 209

제7장 지능형 정부의 프라이버시 보호 215
제1절 지능형 정부의 개인정보 보호 개념 / 215
1. 개념 정의 / 215
2. 개인정보 보호의 필요성 / 221
제2절 지능형 정부의 개인정보 보호 시장 동향 / 222
1. 시장 동향 / 222
2. 트렌드 분석 / 224
3. 이슈 사항 / 225
제3절 지능형 정부의 개인정보 보호 사례 / 227
1. 제도적 분야 / 227
2. 기술적 분야 / 229
3. 운영적 분야 / 232
제4절 지능형 정부의 개인정보 보호 발전 방향 / 237
1. 우리나라의 개선 방안 / 237
2. 개인정보 보호의 미래 방향 / 243

제8장 지능형 정부와 데이터 주권 구현 249
-공공 마이데이터 자기정보 결정권을 중심으로-
제1절 지능정보사회와 환경 변화 / 249
1. 지능정보사회와 데이터의 중요성 / 249
2. 디지털 전환과 데이터 활용의 중요성 / 252
3. 지능형 정부와 데이터 주권으로서의 자기 정보 결정권 / 256
제2절 공공 마이데이터 자기 정보 결정권에 관한 이론적 고찰 / 257
1. 데이터 주권 및 마이데이터 자기 정보 결정권에 관한 연구 동향 / 257
2. 데이터 주권 및 공공 마이데이터 자기 정보 결정권에 관한 개념 / 261
제3절 주요국의 데이터 주권 추진 현황 / 264
1. EU의 추진 사례 : GDPR / 264
2. 미국의 추진 사례 : 스마트 공개 정책과 캘리포니아주 소비자 프라이버시법 / 266
3. 영국의 추진 사례 : 정보위원회(ICO)와 정보보호법 2018 / 268
4. 핀란드의 추진 사례 : 마이데이터 사업, 오퍼레이터, 동의 기반 정보 활용 / 270
5. 주요국 추진 사례 분석을 통한 시사점 / 271
제4절 지능형 정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자기 정보 결정권 구현 방안 / 273
1. 공공 마이데이터 자기 정보 결정권의 구현을 위한 고려 사항 / 273
2. 공공 마이데이터 자기 정보 결정권의 구현을 위한 추진 방향 / 273
3. 공공 마이데이터 자기 정보 결정권의 구현을 위한 과제 / 273

제9장 지능형 정부와 윤리적 문제 279
제1절 인공지능과 윤리 / 279
1. 윤리 기준의 필요성 / 279
2. 윤리 기준과 관련된 선행 연구 / 283
제2절 사례분석을 통한 인공지능 개발의 윤리적 쟁점 / 287
1. 살피소 시스템(검색 기능, 대한민국) / 287
2. 챗봇(대화형 서비스 기능·상담, 일본) / 292
3. NASA Center for Climate Simulation(예측 기능, 미국) / 296
4. 시사점 / 299
제3절 인공지능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과제 / 304
1. 기본 원칙과 방향 / 304
2. 인공지능 윤리의 향후 과제 / 306

저자소개

정충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0년 서울 출생 1979년 영동고등학교 졸업(제4회) 1984년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1987년 고려대학교 경영학석사(경영정보 전공) 1992년 성균관대학교 행정학석사(정보시스템감사 전공) 1997년 성균관대학교 행정학박사(전자정부 전공) 1998년~현재 경성대학교 법정대학 행정학과 교수 2001년~2002년 대통령직속 전자정부특별위원회 실무위원 2003년~2004년 미국 시라큐스대학교 맥스웰스쿨 방문교수(연구년) 2006년~2007년 대통령직속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전문위원 2007년 한국지역정보화학회 회장 2009년 한국행정연구원 객원연구위원(연구년) 2010년~2011년 대통령직속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전문위원 2011년~2013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전자정부 강의(석사 및 박사) 2011년~현재 서울대학교 지능정보사회 정책연구센터 연구원 2014년, 2019년 한국행정학회 부회장 2016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객원교수(연구년) 2017년, 2018년, 2021년 한국정책학회 부회장 2017년~현재 인사혁신처 정책자문위원 2019년~2020년 정부혁신국민포럼 디지털팀장 ▪도서 전자정부론(1997, 녹두) 멀티미디어 시대의 행정(1999, 나남출판) 전자정부의 이해(2002, 다산출판사) 전자정부론(2007, 2009, 2012, 2015, 2018, 서울경제경영) 미래정부론(2012, 대영문화사) 이야기행정학(2014, 조명문화사) 전자감시사회론(2017, 서울경제경영) Developing Digital Governance(2020, Routledge) E-Government(2020, Nova Science Publishers) ▪상훈 1998년 우수학술도서(문화관광부) 2007년 홍조근정훈장(대한민국 정부) 2015년 행정자치부장관 표창 2017년 대한민국 전자정부 명예의 전당(전자정부를 빛낸 30인) 이 연구는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7S1A3A2066084)
펼치기
정충식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