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스마트워크의 미래 2030

스마트워크의 미래 2030

김동욱, 정충식, 고대식, 김병조, 김판석, 김필, 박미영, 성욱준, 신승윤, 정주원, 최한별, 황성수, 황한찬, 홍길표 (지은이), 한국행정학회 정부의미래연구회, 서울대 지능정보사회 정책연구센터 (엮은이)
윤성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900원 -5% 0원
1,100원
19,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스마트워크의 미래 2030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스마트워크의 미래 2030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91503869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2-12-01

책 소개

한국행정학회 정부의미래연구회는 2022년에 서울대학교 지능정보사회 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우리나라 공공부문의 스마트워크 미래 전망과 관련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물로, 스마트워크의 다양한 정책 이슈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목차

제1장 스마트워크란 무엇인가?
제1절 스마트워크의 등장
1. 스마트워크의 등장 및 발전 과정
2. 스마트워크의 정의 및 유형
3. 스마트워크의 미래: 사이버 공간으로의 확장
제2절 공공부문 스마트워크의 국내외 동향
1. 해외 국가들의 스마트워크 동향
2. 국내 공공부문 스마트워크의 발전 과정 및 현황
제3절 스마트워크 발전의 미래 정책 이슈들
1. 지능정보기술의 발전 및 적용
2. 공공부문 클라우드 도입과 활용
3. 사이버 보안
4. 법과 제도의 개선
제4절 공공부문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발전 방향
1. 정책 추진 주체의 문제점
2. 정책의 지속가능성 확보 방안

제2장 스마트워크를 위한 지능정보기술들
제1절 스마트워크
제2절 스마트워크 인프라 기술
1. 보안기술
2. 스마트워크 서비스 기술
제3절 스마트워크 사용자 지원 기술
1. 업무용 협업도구
2. 비대면 시대 초월적 근무환경지원을 위한 메타버스

제3장 국내외 스마트워크 솔루션 시장 동향과 정책적 시사점
제1절 서론
제2절 스마트워크 솔루션 기술 발전단계
1. 태동기 ( ~ 2000s)
2. 발전기 (2000s ~ 2010s)
3. 정착기 (2010s ~ 2020s)
4. 성숙 및 융합기 (2020s ~ )
제3절 스마트워크 솔루션 시장 동향과 전망
1. 글로벌 스마트워크 솔루션 시장 동향
2. 국내 스마트워크 솔루션 시장 동향
제4절 국내 스마트워크 솔루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의 역할
1. 스마트워크 솔루션 R&D 지원 및 투자 확대
2. 중소기업 대상 스마트워크 솔루션 구축 사업 확대
3. 정부 내 민간 스마트워크 솔루션 도입을 통한 민간 기업의 레퍼런스 구축에 기여

제4장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공공기관 일선 종사자의 스마트워크
제1절 서론
제2절 일선 관료제 이론과 스마트워크
1. 립스키의 일선 관료제 이론
2. 스마트워크 국내 연구 동향
3. 일선 종사자와 스마트워크
제3절 공공기관 일선 종사자의 스마트워크 활용
1. 사회복지기관의 사례로 본 일선 종사자와 관리자
2.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스마트워크 경험
3. 스마트워크에 대한 일선 종사자와 관리자의 인식 차이
제4절 일선 종사자의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과제와 제언

제5장 스마트워크와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제1절 서론
제2절 스마트워크와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의 관계
1. 스마트워크란 무엇인가? : 재택근무 및 원격근무와의 차이
2. 스마트워크는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을 어떻게 변화시킬까?
제3절 프레임워크: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1.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선행요인들
2. 스마트워크 업무 배열 특성들과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변화 가능성
3.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의 결과
제4절 토론 및 결론

제6장 공공부문 MZ세대의 스마트워크 활용과 효과성에 대한 인식
제1절 공공부문의 MZ세대와 스마트워크
1. 공공부문의 MZ세대의 등장
2. MZ세대의 특성 그리고 공공부문에서의 이슈
3. MZ세대와 스마트워크의 정합성
제2절 공공부문 MZ세대의 스마트워크 활용 행태와 인식
1. 스마트워크 활용 활성화의 주요 변인들
2. 스마트워크 활용에 관한 인식 조사
제3절 전망과 제언: 현장의 목소리로부터
1.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선결과제
2. 스마트워크와 워킹스마트

제7장 스마트워크에 따른 공무원의 원격근무제 이용 활성화 방향
제1절 서론
제2절 스마트워크의 개념과 유형, 활용 및 원격근무의 장·단점
1. 스마트워크의 개념과 유형
2. 스마트워크의 활용
3. 스마트워크에 따른 원격근무의 장·단점
제3절 스마트워크에 따른 재택근무의 국내외 사례
1. 해외사례
2. 국내사례
제4절 공무원 유연근무제의 도입과 법령 변화 및 유형
1. 유연근무제의 도입과 활성화 기본계획
2. 공무원 근무제도의 관계 법령 변화
3. 현행 공무원 유연근무제의 유형
제5절 공무원의 원격근무제 이용 실태 분석
제6절 공무원 원격근무제의 발전 방향
1. 원격근무에 관한 법률 제정과 원격근무제 논리 모형 개발 필요
2. 원격근무 참여가능 업무 구분 및 적극적 운영 필요
3. 조직문화 개선 및 기술적 환경과 기반시설의 지속적 개선 필요
4. 원격근무 담당부처 일원화 및 원격근무 관리자 지정 필요
5. 인사기관의 조사연구 활성화 및 원격근무에 대한 경험적 연구 축적
제7절 결론

제8장 메타버스를 활용한 스마트워크의 미래 전망
제1절 메타버스에 대한 이해와 스마트워크와의 접목 현상
제2절 메타버스를 활용한 가상업무 플랫폼 동향
제3절 메타버스를 통한 일하는 방식의 변화 전망
제4절 공공부문에서의 메타버스 활용 동향과 향후 과제

제9장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스마트워크 이슈와 전망
제1절 스마트워크, 혼란의 과도기
제2절 스마트워크의 효과와 지속성
1. 스마트워크의 효과성
2. 스마트워크와 일 가정 양립
3. 코로나-19와 스마트워크의 지속성
제3절 업무의 방식으로서 스마트워크
1. 전통적 업무 방식과 스마트워크 간 긴장 관계
2. 스마트워크가 작동하는 방식들
3. 스마트워크, 보완재인가 대체재인가?
제4절 스마트워크의 미래, 누가 무엇을 결정하는가?

제10장 우리나라 공공부문 스마트워크 활성화 방안: 한국의 맥락적 관점에서
제1절 우리나라 스마트워크 정책의 개요
제2절 우리나라 공공부문 스마트워크의 전개
1. 우리나라 공공부문 스마트워크의 전개
2. 코로나-19 이후의 공공부문 스마트워크
제3절 한국의 공공부문 스마트워크 활용 현황과 문제점
1. 우리나라 스마트워크의 활용 현황
2. 재택근무 활용의 현황
3. 스마트워크센터 활용의 현황
4. 영상회의 활용의 현황
5. 소결
제4절 공공부문 스마트워크 활성화 방안: 한국의 맥락성 관점에서

저자소개

고대식 (엮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전자공학 박사 목원대학교 IT융합전자공학과 교수
펼치기
정충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0년 서울 출생 1979년 영동고등학교 졸업(제4회) 1984년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1987년 고려대학교 경영학석사(경영정보 전공) 1992년 성균관대학교 행정학석사(정보시스템감사 전공) 1997년 성균관대학교 행정학박사(전자정부 전공) 1998년~현재 경성대학교 법정대학 행정학과 교수 2001년~2002년 대통령직속 전자정부특별위원회 실무위원 2003년~2004년 미국 시라큐스대학교 맥스웰스쿨 방문교수(연구년) 2006년~2007년 대통령직속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전문위원 2007년 한국지역정보화학회 회장 2009년 한국행정연구원 객원연구위원(연구년) 2010년~2011년 대통령직속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전문위원 2011년~2013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전자정부 강의(석사 및 박사) 2011년~현재 서울대학교 지능정보사회 정책연구센터 연구원 2014년, 2019년 한국행정학회 부회장 2016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객원교수(연구년) 2017년, 2018년, 2021년 한국정책학회 부회장 2017년~현재 인사혁신처 정책자문위원 2019년~2020년 정부혁신국민포럼 디지털팀장 ▪도서 전자정부론(1997, 녹두) 멀티미디어 시대의 행정(1999, 나남출판) 전자정부의 이해(2002, 다산출판사) 전자정부론(2007, 2009, 2012, 2015, 2018, 서울경제경영) 미래정부론(2012, 대영문화사) 이야기행정학(2014, 조명문화사) 전자감시사회론(2017, 서울경제경영) Developing Digital Governance(2020, Routledge) E-Government(2020, Nova Science Publishers) ▪상훈 1998년 우수학술도서(문화관광부) 2007년 홍조근정훈장(대한민국 정부) 2015년 행정자치부장관 표창 2017년 대한민국 전자정부 명예의 전당(전자정부를 빛낸 30인) 이 연구는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7S1A3A2066084)
펼치기
정충식의 다른 책 >
성욱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7년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교수이다.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요관심사는 IT융합정책, 정책이론, 정책분석이며, 주요 논문으로는 “A Study of the Digital Divide in the Current Phase of the Information Age”, “An Empirical Study on Korea's Telecommunication Policy”, “The use of smart work in government: Empirical analysis of Korean experiences”, 저서로 『스마트위험사회와 정보정책』, 『빅데이터 시대의 기회와 위험』(공저) 등이 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교수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박사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연구원 서울대·수원대 등 시간 강사 주요 저서 ·『빅데이터 시대의 기회와 위험』(2016) ·『스마트 시대의 위험과 대응 방안』(2016) 주요 논문 · A Study of the Digital Divide in the Current Phase of the Information Age(2016) · The use of smart work in government: Empirical analysis of Korean experiences(2016) · Effects of Internet Users’ Perception Regarding the Risks and Benefits of the Internet on Cyberspace Trust(2016) · 공공부문 빅데이터 정책 활성화 연구(2016) · The Effect of Smart Device Usage on Purchase of Online Fee-based Digital Contents (2016) · A Study of Cyberbullying Policies in the Smart Age(2016) · The Policy Advice on the G4B Enhancement(2015) · 와이브로(WiBro) 정책 사례 연구(2014) · 스마트시대 정보리터러시와 정보격차에 관한 연구(2014) · 게임 셧다운(shutdown)제 정책이 청소년의 게임사용시간에 미치는 효과 연구(2014) · 미디어렙(Media Representative) 입법 과정에 관한 연구(2014) · 정책지지연합모형(ACF)을 통한 인터넷 제한적 본인확인제 정책과정에 대한 연구(2014) · 공공부문 스마트워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2013) · 개인정보보호법 입법과정에 관한 연구: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2013) · 스마트시대 정보보호정책에 관한 연구(2012)
펼치기
성욱준의 다른 책 >
황한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주요 관심 분야는 조직이론과 네트워크/거버넌스 이론의 연계, 디지털 혁신을 통한 공공가치의 개선 등이다. 최근 논문으로는 「소셜미디어 활용을 통한 지방행정의 반응성 개선: 성남시의 트위터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Can social media increase government responsiveness? A case of Seoul, Korea”(2018) 등이 있다.
펼치기
김병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펼치기
김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부연구위원
펼치기
박미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정책학 박사과정 수료
펼치기
한국행정학회 정부의미래연구회 (엮은이)    정보 더보기
정부의미래연구회는 한국행정학회의 분과연구회로서 2019년 12월에 출범하였다. 과학기술이 발전하고 대내외 제반 환경요인이 변화함에 따라 중앙정부, 지방정부, 국회 등 국가를 구성하는 주요 기관의 역할, 기능, 역량, 관계형성 등도 급변해가고 있다. 정부의미래연구회의 설립 목적은 이들 기관의 약 10년 후를 예측하고 다양한 사회적 난제를 확인하는 동시에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국가전략과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회는 델파이 조사, 시나리오 기법 등을 활용한 미래예측 연구를 지향한다. 1년 또는 2년 주기로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면서 중장기 정부변화 예측 결과를 발표하고자 한다.
펼치기
한국행정학회 정부의미래연구회의 다른 책 >
서울대 지능정보사회 정책연구센터 (엮은이)    정보 더보기
지능정보사회 정책연구센터(cisp.snu.ac.kr)는 서울대 행정대학원 산하의 한국사회과학연구(SSK) 센터이다. 2011년에 출범한 이래로 미래 한국사회의 새로운 위험현상에 대한 진단과 대응방안 제시, 그리고 성과확산을 위해 노력해왔다. 대형단계에 진입한 2017년부터는 지능정보사회 도래에 따른 공공부문의 역할과 방향, 새로운 위험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연구함으로써 미래 한국사회에 대한 예측과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서울대 지능정보사회 정책연구센터의 다른 책 >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