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91724653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4-09-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Part 1 선생님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11가지 질문
질문 01_ 상담? 생각만 해도 긴장되고 소심해져요.
질문 02_ 좀처럼 입을 떼지 않는 아이, 상담이 가능할까요?
질문 03_ 주의력 조절이 어려운 아이, 어떻게 상담하면 좋을까요?
질문 04_ 등교를 거부하는 아이,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요?
질문 05_ 감정 조절이 힘든 아이, 때로는 두려움이 올라와요.
질문 06_ 친구들과의 갈등으로 힘들어하는 아이, 어떤 지원이 필요할까요?
질문 07_ 우울의 늪에 빠진 아이, 저도 같이 힘이 빠져요.
질문 08_ 시험을 앞두고 불안해하는 아이, 보기 안쓰러워요.
질문 09_ 수업 시간마다 자는 아이, 게임 중독 같아요.
질문 10_ 느리고 눈치가 없는 아이, 어떻게 도와야 할까요?
질문 11_ 아이 상담보다 어려운 학부모 상담, 노하우가 있나요?
Part 2 긴급하고 중요한 6가지 위기 상담
질문 12_ 위기 상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질문 13_ 자해하는 아이,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요?
질문 14_ 자살하고 싶다는 아이, 다가가기 조심스러워요.
질문 15_ 학업 중단 위기 아이, 마음을 열 수 있을까요?
질문 16_ 학교 폭력에 노출된 아이, 교사는 양쪽에서 시달려요.
질문 17_ 가정에서 돌봄을 받지 못하는 아이, 아동 학대일까요?
질문 18_ 기괴한 사고를 하는 아이, 이대로 둬도 괜찮을까요?
Part 3 선생님의 마음 챙김
질문 19_ 선생님 마음은 안녕하신가요?
질문 20_ 교사 소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질문 21_ 소진을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책속에서
질문 03. 주의력 조절이 어려운 아이, 어떻게 상담하면 좋을까요?
[생활 지도하기]
step 1. 전달 준비 활동을 합니다.
주의력 조절이 어려운 아이는 산만한 주변 상황에 주의가 쉽게 분산됩니다. 주변이 시끄럽고 자극적인 요소가 많다면, 잠깐 그 상황에서 벗어나 조용한 곳에서 일대일로 전달합니다. 이때는 아이와 눈을 마주치고 계속해서 주의를 선생님에게 둘 수 있도록 지도해 주세요.
step 2. 한 번에 하나씩, 긍정적으로 전달해 주세요.
주의력 조절이 힘든 아이는 여러 사항을 한꺼번에 들으면 기억하기 힘듭니다. 반드시 한 번에 한 가지, 핵심 사항만 전달하세요. 또 이 아이들은 평소 “하지 마.”라는 말을 많이 들어 자존감이 낮고 위축된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화가 차 있어 선생님 말에 저항하고 화를 내기도 하지요. 이들에게는 “하지 마.” 대신 “~해 줘.”라는 긍정적인 지시가 훨씬 효과적입니다.
step 3. 메시지가 잘 전달되었는지 점검하고 칭찬해요.
마지막으로, 아이가 전달 사항을 잘 이해했는지 아이의 언어로 다시 들어보세요. 아이가 제대로 말하지 못해도 한숨 쉬거나 면박 주지 말고, 다시 한 번 명확히 전달한 뒤 방금 들은 말을 들려 달라고 요청하세요. 아이가 전달 사항을 잘 이해했다면 칭찬을 듬뿍 해 주세요.
질문 09. 수업 시간마다 자는 아이, 게임 중독 같아요.
[아이 상담하기]
step 1. 아이가 게임에 관해 편히 말할 수 있도록 질문해요.
먼저 “어떤 게임을 하니?”라고 묻고, 아이의 이야기에 맞장구를 쳐 주세요. 아이가 좋아하는 게임에 선생님이 호기심을 갖고 궁금해하면 라포를 형성하기 좋습니다. 아이가 좋아하는 게임을 원 없이 말하게 한 뒤 “어떤 때 게임을 하는 것 같아?”, “게임을 하면 뭐가 좋아?” 등 아이가 게임을 하는 이유를 물으며 아이의 욕구를 탐색합니다. 게임에서 주로 만나는 친구가 있고, 채팅이나 통화를 하면서 하는 게임을 좋아하는 아이라면 현실 세계에서 친밀감의 욕구를 충족시킬 만한 친구가 없을 수 있습니다. 또는 레벨 업에 초점을 맞춘다면 현실 세계에서 부족한 성취 경험이나 인정 욕구를 충족시키고 싶은 것일 수 있어요.
step 2. 아이의 말을 경청하고 느낌에 공감해 주세요.
아이의 말을 “네 입장이라면 그럴 수 있겠다.”며 타당화하고 인정해 줍니다. 늘 지적만 받던 아이는 자신의 입장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선생님에게 마음을 열고 싶어질 거예요.
step 3. 인터넷, 스마트폰, 게임 사용에 관한 양가감정을 탐색합니다.
이제 “게임 때문에 후회하거나 곤란하거나 걱정되는 일은 없니?” 물어보세요. 이때 아이의 말을 판단하거나 평가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듣고 “~라는 거지?” 하며 명료화해 줍니다. 이 과정을 거치면서 아이는 자신이 왜 게임을 하고, 어떤 마음에 게임을 지속하며, 무엇을 기대하고 무엇을 걱정하는지 스스로 생각해 볼 수 있어요.
step 4. 아이와 함께 대안 활동을 찾아보세요.
아이가 인터넷 사용을 조금이라도 줄이고 싶은 마음을 내비치면, “어떻게 그런 생각을 할 수 있었어?”라는 칭찬과 함께 대안 활동을 살핍니다. 학교에서 친구들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일, 자기 효능감을 느낄 수 있는 활동을 찾아 주세요. 아동・청소년은 친구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또래 집단에서 긍정적인 격려를 경험할 수 있게 지도하면 좋습니다.
질문 16. 학교 폭력에 노출된 아이, 교사는 양쪽에서 시달려요.
[학부모 상담하기]
… 학부모를 상담할 때 선생님은 최대한 침착하고 중립적인 태도를 유지하면서, 발생한 사건의 구체적인 사실들을 명확하고 객관적으로, 또 평가보다 사실 위주로 전달해야 합니다. 부모 상담의 최우선 목표는 가정에서의 협조를 이끌어 내는 것임을 기억하고, 부모님의 걱정이나 우려를 충분히 듣고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중요해요.
… 가해 학생 부모님이 느끼는 억울함, 피해 학생 부모님이 느끼는 슬픔과 애통, 모두 자녀가 잘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합니다. 부모님들은 아이가 이번 사건으로 잘못된 낙인이 찍히지 않을까, 잘 적응할 수 있을까, 다른 일이 생기진 않을까 걱정이 큽니다. 이런 부모님의 마음을 충분히 읽어 주는 것만큼 협조를 이끌어 내는 지름길은 없습니다.
… 학교에서 아이를 어떻게 도울지 부모님에게 설명하는 동시에, 가정에서 부모님의 역할도 코칭합니다. 예를 들어 피해 학생 부모님에게는 아이의 회복을 위해 학교에서 위클래스 상담실이나 외부 상담 기관과 연계해 어떻게 상담을 진행할지, 반에서는 어떤 조치를 취할 계획인지 안내하고, 부모님 의견을 듣습니다. 가해 학생의 부모님에게는 아이가 자신의 행동을 돌아보고 진심으로 뉘우친다면 이번 일이 회복과 성장의 기회일 수 있음을 언급하면서, 이를 위해 부모님이 취해야 할 태도를 알려 줍니다.
… 부모님이 아이와 어떻게 대화해야 할지 몰라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학교 내 또는 지역 교육청의 상담 교사에게 자문을 구하도록 권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