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불교, 과학과 철학을 만나다

불교, 과학과 철학을 만나다

김용정 (지은이), 윤용택 (엮은이)
장경각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불교, 과학과 철학을 만나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불교, 과학과 철학을 만나다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91191868555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4-10-20

책 소개

불교의 공 사상과 중도 사상을 토대로 동서고금의 철학과 과학을 녹여내어 그것들을 연결하여 공통의 원리를 찾아낸 통섭의 철학자 지해 김용정 선생의 글을 모아 제자 윤용택이 글의 눈높이를 맞춰 정리한 책이다.

목차

•책을 펴내며 19
•지해(智海) 김용정 선생의 학문세계 26

1부 불교, 과학, 철학의 삼중주
머리말 ― 36
1강 동서사상의 만남 ― 39
2강 불교의 중도사상 ― 56
3강 불광과 초능력 ― 77
4강 장(場) 개념으로 보는 불성 ― 86
5강 현대물리학과 불교 ― 100
6강 실체화를 떠난 참된 삶 ― 123
발원문 ― 138

2부 『반야바라밀다심경』 강의
1강 『반야심경』은 어떤 경전인가 ― 144
2강 모든 괴로움과 재난에서 벗어나는 길 ― 151
3강 오온과 공은 다르지 않다 ― 156
4강 모든 존재는 공하여 생멸도 증감도 없다 ― 162
5강 공 가운데는 그 어떤 것도 없다 ― 172
6강 궁극적 열반에 이르는 길 ― 183
7강 완전한 깨달음을 얻는 길 ― 189
8강 무엇과도 견줄 수 없는 최고의 주문 ― 194

3부 철학, 과학과 불교를 만나다
1강 서양철학과 불교의 만남 ― 204
2강 과학철학과 종교의 만남 ― 219
3강 과학과 불교의 대화 ― 227
4강 과학기술시대의 선(禪)의 의미 ― 240
5강 선(禪)의 깨달음과 이성의 자각 ― 273

4부 과학, 불교와 철학을 만나다
1강 현대 생명과학과 불교의 생명관 ― 310
2강 생명과학기술과 생명윤리 ― 343
3강 과학기술문명과 환경윤리 ― 368

•참고문헌 385
•찾아보기_ 395
•후기_은사님 영전에 바칩니다 410

저자소개

김용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동국대학교 철학과와 물리학과를 졸업한 뒤 “칸트에 있어서의 자연과 자유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국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미국의 뉴욕주립대학교와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연구교수를 지냈다. 그는 한국철학회장, 한국주역학회장, 한국선문화학회장, 한국불교발전연구원장 등을 역임했고, 계간 <과학사상> 편집인을 10여 년 동안 맡으면서 서양 과학문명과 동서양 철학사상을 접목하려 노력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과학과 불교>(동국대역경원, 1979; 석림출판사, 1996), <칸트철학연구>(유림사, 1978; 서광사, 1996), <제3의 철학>(사사연, 1986), <과학과 철학>(범양사, 1996) 등이 있고, 주요 번역서로는 카프라(F. Capra)의 <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범양사, 1979) 및 <생명의 그물(범양사, 1998), 리프킨(J. Rifkin)의 <엔트로피 1,2>(원음사, 1984), 스즈키 다이세쓰(鈴木大拙)와 에리히 프롬(E. Fromm)의 <선(禪)과 정신분석>(원음사, 1992), 사다티사(H. Sadhatisa)의 <불교란 무엇인가>(성균관대출판부, 1985) 등이 있으며, 이 외에 과학, 철학, 불교와 관련된 70여 편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윤용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주도 서귀포에서 태어나 동국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뒤 “마리오 붕게의 인과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여러 대학에서 강사를 지내면서 계간 <과학사상> 편집주간을 맡다가 2000년부터 제주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과학철학(공저, 창비, 2011), <인과와 자유>(솔과학, 2014), <한국의 르네상스인 석주명>(궁리, 2018), <제주섬에서 만난 환경철학>(제주대출판부, 2023)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카르납(R. Carnap)의 <과학철학입문>(서광사, 1993)과 C. J. 본템포와 S. J. 오델의 <미네르바의 올빼미>(서광사, 1994)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지해선생은 칸트와 카프라가 그랬듯이 서로 다른 철학, 과학, 사상을 잘 녹여내는 융섭(融攝)의 기술자요, 그것들을 연결하여 공통의 원리를 찾아내는 통섭(通攝)의 철학자였다. 그는 동양철학과 서양철학, 고대철학과 현대철학, 합리주의와 신비주의, 철학과 신화, 과학과 종교 등이 서로 배척하고 대립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상호의존적이고 상보적이어서 공생하고 상생해야 한다고 보았다.


어떠한 주장이 확실히 증명되지 않으면 과학적 성과로 이어질 수 없다. 증명된 많은 과학적 결과가 인류에게 여러 가지 많은 이익을 주고 있다. 그러나 만약 증명된 것만으로 인간을 규정한다면 우리는 이 세상에 살아남지 못할 것이다. 오늘 하루 우리가 살아낸 일들이 모두 증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공간, 시간, 인과의 범주를 넘어선 또 하나의 질서가 우리의 삶에는 존재한다.


지금까지 우리는 현대 과학문명의 부정적인 측면을 주로 비판하였으나, 반대로 현대 과학이론 중에는 긍정적으로 보아야 할 점들도 많이 있다. 필자는 그중에서 인식론적 차원에서 불교의 중도사상과 유사한 20세기 초에 기초를 놓은 양자물리학의 사유 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양자역학의 이론은 전통적인 인과적 결정론과는 전혀 다른 혁명적 사유체계로서 동양과 서양, 종교와 과학을 접목하는 데에 큰 도움을 줄 것이기 때문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