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가을 근방 가재골

가을 근방 가재골

홍신선 (지은이)
파란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9,000원 -10% 2,500원
500원
11,000원 >
9,0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900원
10,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가을 근방 가재골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가을 근방 가재골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91897197
· 쪽수 : 114쪽
· 출판일 : 2022-05-20

책 소개

파란시선 98권. 홍신선 시인의 열한 번째 시집. 젠가부터 두드러진 형세와 윤곽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불가(佛家)의 상상력이 그 전체를 아우르는 예술적 성좌의 빛살로 쏟아져 내린다. 세상의 온갖 사물들에 감춰진 광명변조(光明遍照)의 자취를 보고 듣고 어루만지려는 심상으로 가득 채워져 있다.

목차

시인의 말

제1부
매화 곁에서 – 11
초열의 나날들에서 – 12
이 낙화 세상을 만났으니 – 14
봄비 소리에는 – 16
가을 새벽 잠 깨어 보면 – 17
막돌도 집이 있다 – 18
내 안의 절집 – 19
송뢰를 듣다 – 20
신 우공이산 – 21
나의 독도법 – 22
산역 있는 날 – 24
가을 항아리 – 25
두어 닢 그늘을 깔기까지는 – 26
블랙아웃에 관하여 – 27
거미줄 – 28

제2부
터앝을 읽다 – 31
도시농부 – 32
죄의 빛깔 – 34
열매를 솎으며 – 35
낙과를 보며 – 36
숨어 사는 뜻은 – 37
처서 뒤 나그네들 – 38
가을 근방 가재골 – 40
눈 개인 아침 – 42
김장을 하며 – 43
지는 장미꽃 앞에서 – 44
까치집 겨울 한 채 – 45
늦가을 잔디밭에서 – 46
호모사피엔스 – 47
내 공명(功名)은 – 48

제3부
퇴락한 꽃 – 51
도처가 살 만한 세상이다 – 52
다시 세상을 품다 – 54
가을 난민 – 55
코스모스 꽃 피다 – 56
촛불은 어떻게 꺼지는가 – 58
포장 박스 한 장 – 60
가을 기부 천사 – 61
캐나다 단풍나무 – 62
가을이 붓 한 자루 쥐고 – 63
가을 하늘은 – 64
낙발 한 올 – 65
골 깊은 계곡엔 – 66
술래잡기 – 68
즐거운 유희 – 69
대야미역 대합실에는 – 70

제4부
어느 것이 본래면목인가 – 73
새벽 고요는 – 74
절집의 가을 – 75
몸, 덧없는 몸 – 76
삭발 – 77
낮달이 뜨는 방식 – 78
마음이 짓는 일들 – 80
갈대는 왜 웃는가 – 82
도깨비바늘을 보며 – 84
적막과 한때를 – 86
수선화는 걸레질을 한다 – 87
이른 봄 풀싹에는 – 88
소명(召命) – 89
손에 관한 명상 – 90
Epitaph – 91

해설 이찬 ‘두두물물 화화초초(頭頭物物 花花草草)’와 더불어 사는 일 – 92

저자소개

홍신선 ()    정보 더보기
1944년 경기도 화성에서 태어났다. 1965년 [시문학] 추천을 통해 시인으로 등단했다. 시집 [서벽당집] [겨울섬] [삶, 거듭 살아도](선집) [우리 이웃 사람들] [다시 고향에서] [황사 바람 속에서] [자화상을 위하여] [우연을 점찍다] [홍신선 시 전집] [마음經](연작시집) [삶의 옹이] [사람이 사람에게](선집) [직박구리의 봄노래] [가을 근방 가재골], 산문집 [실과 바늘의 악장](공저) [품 안으로 날아드는 새는 잡지 않는다] [사랑이란 이름의 느티나무] [말의 결 삶의 결] [장광설과 후박나무 가족], 저서 [현실과 언어] [우리 문학의 논쟁사] [상상력과 현실] [한국 근대문학 이론의 연구] [한국시의 논리] [한국시와 불교적 상상력]을 썼다. 서울예술대학, 안동대학교, 수원대학교, 동국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녹원문학상, 현대문학상, 한국시협상, 현대불교문학상, 김달진문학상, 김삿갓문학상, 노작문학상, 문덕수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낙화 세상을 만났으니

몸을 열면 깊은 강물이 들여다보이던
꽃 만개한 벚나무가
기어이 거품 부글대는 출렁이는 물결들을 정신없이 쏟고 섰다.

바람 한 오라기 없는 공중에
서로 앞서거니 뒤서거니 어깨 부딪치고 때로는 누군가의 등판 짚고 뛰어오르기도 하며
웬 억하심정인지 무슨 앙숙인지 섭섭한 속내 깊이 삭이는 건지
땅 위에 닿도록
지는 꽃잎들 태허 정적인 양 일체 기척 없이 내려앉는다.
두두물물(頭頭物物)이 제 나름 모두 속뜻이 있거니
두어라 적막도 하나의 소리이고 전언이니
전언이 자욱이 깔린 저 허공,
허공을 쥐어짜 이 마을에
뜻 오독한 문장을 내걸고 있는 나는 누군가.

일철 돌아오며 빈 전가(田家)에서
이 낙화 세상을 만났으니 나는 홀로 나를 만나
벚나무 몸 안의 범람하는 강물 소리를 진종일 듣는다 ■


도시농부

수동식 무동력 관리기에 쟁기날을 바꿔 달고
터앝을 간다. 뒷걸음질치다 물컹 기억 하나 밟는다.
멍에 지워 밭갈이하던 그 시절 소 대신
이랴어더뎌 이눔의 마음아
겨우 마음이나 앞세워 고삐 당겨 몰며
나는 된힘으로 갈아엎는다.
갈다가 옆으로 넘어지면 쟁기 다시 일으켜 제 고랑에 세운다. 보습밥이 얕게 쏟아지면 다시 몸을 얹어 깊이 갈아엎는다. 더러는 무릎 꿇고 헐거워진 나사를 조인다. 그렇게 멍에 지운 마음을 깊게 얕게 밀고 간다.
설익은 밭갈이에 세월 쏟아붓는
이 집중된 울력을 어떻게든 나는 길들여야 한다.
누가 농사와 선(禪)이 둘이 아닌 하나라고 했는가.
한나절 갈아엎다 보면
일체 잡념들 흙밥에 깊이 묻히는데
위 평전(平田) 아래 평전 거기
그냥 올해도 빈 허공이나 한철 내내 가꾸고 키워야 되리라.
시와 농사가 하나라고
뒤엎은 생흙에서는
영문 모를 습작의 풋내가 끊임없이 떠돈다.
보습 날에 뽀드득대며 말 한 줌 곤두박질로
흘러내리는 소리.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