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 ISBN : 9791192107868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2-04-2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코로나19 이후를 윤리에 묻자
1 K-방역에 질문하기
2 마스크 쓰기라는 건강행동
3 환자에도 순서가 있는가
4 가족의 책임은 어디까지일까
5 백신과 인권
6 노인을 위한다는 것
7 의료는 있으나 돌봄은 없다
8 감염병의 공포
9 누가 학교 폐쇄를 결정하는가
10 코로나 시대의 죽음
11 코로나19 감염에 자원하는 사람들
12 인간 너머의 건강
13 의료에서 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서기
14 데이터 보호보다 중요한 것
보론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려면
나가며 우리 모두의 건강을 위해
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지금 중요한 것은 ‘K-방역을 떠받치고 있는 주요 기술이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가?’ 하는 질문이다. 그 답에 따라 K-방역의 지위가 변화할 것이다. 이 시기를 지나면서 우리가 어떻게 달라졌는가를 말하기 위해서도, 코로나19 팬데믹 극복을 위해서도 저 질문을 짚고 넘어가야 한다.
우리는 오랫동안 결과로서의 건강과 그것을 성취하기 위한 행동을 분리해 생각해왔다. 건강이라 하면 일단 어떤 상태를 떠올리기 때문이다. 건강의 반대편에는 보통 질병이 놓인다. 건강의 가장 쉬운 정의 가운데 하나가 질병의 부재이며, 이런 인식은 상태로서의 건강을 당연시한다. 사람들은 행동을 통해 건강이라는 상태를 달성한다고 생각하지(“우리 할머니는 산을 열심히 타서 건강해지셨어.”), 행동 자체가 건강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우리 할머니는 산을 타는 건강을 가지고 계셔.”)
청년과 노인을 비교하면 청년보다 노인의 신체 상태가 일반적으로 나쁘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러므로 노인은 무조건 건강이 나쁘다고 말하는 것은 어폐가 있다. 경험적으로도 맞지 않다. 건강하다고 할 수 있는 나이 든 사람은 많다. 그리고 ‘늙어서의 건강’은 그 사람의 신체적, 사회적 활동에 달려 있다. 청년기의 상태를 이상적인 기준으로 두어 노인은 건강하지 않다고 말하기보다, 노인이 참여하는 신체적 활동 및 사회 활동 자체를 건강이라고 말하는 편이 더 적절하지 않을까? 즉 건강을 구성하는 요소로 질병의 부재나 정상 측정치(혈압, 혈당, 체질량 지수 등)를 따질 것이 아니라, 그 구성 요소에 건강행동(health behavior)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포함하는 관점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