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복지
· ISBN : 9791167375155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24-12-12
책 소개
목차
들어가기 전에 왜 돌봄에 관해 이야기하는가
들어가며 모두가 모두를 돌보기 위하여
1장 돌봄은 서로 교환한다
아이를 돌보는 일
돌봄의 기쁨과 슬픔
누가 돌보아야 하는가
돌봄의 대가와 진정한 돌봄
서로의 생을 지탱하는 돌봄의 가능성
돌봄이 없다면 미래도 없다: 인간의 기본적 조건으로서의 돌봄
2장 돌봄은 의지를 갖고 실천하는 것이다
돌봄은 하나의 능력이다
돌봄 이야기, 치매 앞에서 의료를 바꾸다
어떤 죽음은 돌봄이라 할 수 있을까
누가 더 아프냐고 묻기 전에
아이를 환대하는 사회란
대화의 윤리: 나 혼자서는 완성할 수 없는
3장 돌봄은 보살핌받는 이의 관점에서 이루어진다
돌봄, 보편적이면서 개별적인
장애의 도전 앞에 서는 일
망가진 것들의 애도, 새로운 것들의 피어남
돌보기 위해 거짓말을 해야 한다면
예정된 죽음 앞의 돌봄
자율성을 존중하는 돌봄은 가능한가
4장 돌봄은 피어나게 한다
타인을 피어나게 한다는 것
다음 세대의 피어남을 위하여
고통을 함께 상대해야 하는 이유
우영우에겐 장애가 없다?
로봇과 인공지능이 돌봄을 대신할 수 있는가
행복한 삶과 피어나는 삶
5장 돌봄은 구조 속에서 순환한다
여기엔 왜 돌봄이 없는가
죽음 돌보기와 돌봄의 순환 구조
집에서 혼자 죽기를 권할 수 있는 이유
파괴를 감내하고 견디는 것의 존엄함
타인의 삶으로 건너간다는 것
6장 나는 돌보며 돌봄받는다
돌봄, 타인의 고통에 응답하기
돌봄을 받는 마음에 관하여
민감한 돌봄
나가며 함께, 좋은 돌봄을, 모든 곳에서
참고문헌
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돌봄의 위기를 넘어서려면 우리는 모두에게 주어져 있는 돌봄 책임을 제대로 이행할 수 있는 사회로 나아가야 한다. 나는 모두에게 돌봄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 다만 그 책임의 근거를 내가 돌봄을 받았으며 앞으로도 받을 것이므로 그에 응답해야 한다는 주장이나, 언젠가 돌봄 서비스를 요청할 때 그것을 받기 위한 확정적인 방법으로 돌봄에 참여해야 한다는 주장과는 다른 관점에서 찾는다. 인간으로서 나는 취약하다. 질병과 굶주림, 가난과 재난으로 인해 언제든 쓰러질 수 있다. 취약함 때문에 돌봄을 받아야 하는 상태에 처할 수 있다. 취약함은 상황적인 이유로 주어지는 것이면서(즉, 그것은 내 ‘잘못’이 아니다), 나의 존재에서 덜어내거나 지울 수 없는 짐이다. 취약함은 곧 인간 본연의 조건으로, 우리를 돌보는 존재로 이끈다. 우리는 취약하기에, 본연의 취약함은 돌봄으로만 해결할 수 있기에 서로 돌보아야 할 책임을 지닌다.
그러나 모두 각자의 노동으로, 여러 책임과 역할로 가득 찬 시간표를 꾸려 살아가고 있는데, 여기에 돌봄을 넣을 자리가 있을까. 따라서 그저 “돌보라”라는 명령은 현실성이 부족하다. 모두가 돌보려면, 이를 위한 돌봄 구조와 돌봄 사회가 필요하다. 돌봄은 사회 전체를 통해 순환되어야 하고, 내가 준 돌봄은 타인의 돌봄으로 인해 보충되고 지원되어야 한다. 그때에만 우리는 각자의 돌봄 책임을, 한편으로 사회 전체의 돌봄 확대를 말할 수 있다.
나는 지금 딸을 돌보는 아빠다. 그런데 아이가 태어난 순간부터 아빠였을까. 지금의 기준에서 보자면 아니다. 나는 아이와 돌봄의 관계를 형성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몰랐다. 그것을 알게 해준 것은, 그리하여 나를 변화시킨 것은 다른 누구도 아닌 내 딸이다. 물론 다른 모든 부모와 같이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방식으로 딸의 필요와 요구에 반응해왔다. 하지만 딸의 고유한 존재 없이, 나는 딸을 돌보는 ‘아빠’가 되지 못했을 것이다. 우리에게 온 것이 다른 아이였다면, 예컨대 다른 시점에 아이를 만났다면 사뭇 다른 이해에 도달했으리라. 그러므로 나는 나의 어떤 특성이나 능력으로 아빠가 된 것이 아니라 딸이 나를 지금의 아빠로 빚어낸 것이다. 당연히 어느 하나의 사건으로 아빠가 된 것도 아니다. 딸과 함께한 오랜 경험이 나에게 고유한 것들을 부여했다. 밥을 만들어주고, 선물을 고르고, 서로 장난을 치고 시간을 보내면서 나는 조금씩 딸로 인해 아빠로 빚어졌다. 나는 이 아이가 아니었다면 다른 사람이 되었을 것이다.
우리는 이 논의에서 돌봄의 근원적 필수성을 발견한다. 돌봄은 무력한 나의 생존 조건이어서만 필수적인 것이 아니다. 돌봄은 나로부터 출발하여 나로 돌아오는 회귀의 여행, 동일자의 무한 반복이 만들어내는 공포를 깨뜨리기 위해 요청되는 필수적 조건이다. 오직 돌봄으로만 우리는 나와는 다른 것, 내가 알 수 없는 것, 예컨대 미래로 나아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