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19세기 노동기사단과 공화적 자유

19세기 노동기사단과 공화적 자유

알렉스 고레비치 (지은이), 신은종 (옮긴이)
지식노마드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700원 -10% 0원
1,150원
19,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1개 17,35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19세기 노동기사단과 공화적 자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19세기 노동기사단과 공화적 자유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일반
· ISBN : 9791192248004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22-01-20

책 소개

공화주의란 ‘자유’에 관한 이론이다. 그동안의 공화주의가 정치 영역에서 자유의 제도화에 대해 천착했다면, 구레비치는 ‘사회경제적 영역에서의 자립’을 자유의 본질적인 요소로 파악하고, 이를 구현하고자 했던 이론적, 실천적 노력을 19세기 노동기사단의 역사를 통해 조명하고 있다.

목차

한국어판 저자 서문: 우리 시대의 노동은 자유로운가?
역자 서문: 노동공화주의를 읽는 하나의 방법
서론: 노예제는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

1장 노예제와 자유의 패러독스
노예제와 고대의 자유
딜레마에서 역설로: 노예제와 근대적 평등
자유노동의 내적 모순

2장 ‘자율계약과 독립적 노동자’: 방임적 공화주의의 전회
공화주의에서의 임금노동의 전사
자유노동의 위기
불간섭 자유의 공화적 기원에 대한 재검토

3장 ‘결핍이라는 칼’: 임금노동이 아닌 자유노동
농본주의적 공화주의
임금노동과 노동자 정당
노동가치설
“자산을 균등하게 배분하라”

4장 노동공화주의와 협력적 공화 체제
‘거짓 자유의 관념에서 벗어나기’ : 노동공화주의 총론
“자본주의 산업시스템에 공화주의 원칙을 기입하라”
노예제와 자유의 패러독스에 대한 재검토

5장 연대와 이기: 종속계급의 정치이론
시민적 덕성의 이론과 역사
시민적 덕성과 연대
시민적 덕성의 정치학 재검토

결론 아직도 멀기만 한 자유

참고문헌
미주
찾아보기

저자소개

알렉스 고레비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브라운대학교 정치학과 교수. 하버드대학교를 졸업하고 옥스퍼드대학교에서 수학한 후 컬럼비아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맥매스터 대학교 교수, 래드클리프 연구소(Radcliffe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리서치 펠로우, 하버드대학교 강사를 역임했다. 노동공화주의 이론을 처음 체계화한 젊은 석학으로 평가받고 있다. 정치학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저널 <Political Theory>는 고레비치의 이 저작(『From Slavery to the Cooperative Commonwealth』)에 대한 지상 심포지엄(2020.8. 발간)을 열었으며, Genevieve Rousseliere(듀크대), Jason Frank(코넬대), John P. McCormick(시카고대)이 참여해 노동공화주의에 대한 열띤 토론을 벌였다. 정치사상사와 경제사상사에 특별한 관심을 두고 노동과 여가, 마르크스주의, 공화주의, 파업과 시민 불복종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Political Theory>, <Modern Intellectual History>, <Constellations>, <Public Culture>, <Philosophical Topics>, <The Journal of Human Rights>,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Polity> 등에 많은 논문을 발표했다. 『Politics Without Sovereignty: A Critique of Contemporary International Relations (2007)』을 공동 편집했다. <Jacobin>, <Dissent>, <Salon>, <The Chronicle Review>, <N+1>, <The American Prospect>, <Washington Monthly> 등의 시사 매거진에 정치평론을 쓰고 있다. 현재는 파업의 윤리학에 관한 책을 집필 중이다.
펼치기
신은종 (옮긴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노동과 경영을 ‘균형과 조화’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가르친다. 고려대학교에서 사회학을 공부하고, 미시간주립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돌아와 고용노동부(행정고시 36회), 삼성글로벌리서치(초빙연구위원) 등에서 일했다. 국제적인 저소득 청소년 창업교육재단인 NFTE의 한국 대표를 맡아 우리 사회의 소외 청소년들에게 경제 교육을 지원하기도 했다. <노사관계학회저널The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국제인적자원관리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경제와 사회>, <산업관계연구> 등에 논문을 발표했으며 미국노사관계학회 최우수논문상(2002), 한국노사관계학회 우수논문상(2006)을 받았다. <한국일보>, <서울신문> 등에 칼럼을 썼고 《노사관계역사 200년》, 《인적자원관리》 등을 집필했으며 《19세기 노동기사단과 공화적 자유》를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책속에서

19세기 노동자들이 말하는 가장 보편적인 사실은 자신들에게 자유가 없다는 것이었다. 노동자이기 때문이기도 했고 노동자로서의 자유도 없었다. 그들은 고용주의 의지에 종속된 존재였다. 그가 누구든 고용주를 위해 강제로 일해야 했고, 일단 작업장에 들어가면 고용주가 행사하는 무소불위의 권력에 복종해야 했다. 이런 부자유(unfreedom)는 공화국의 시민이라면 온당히 누려야 할 자유를 원천적으로 침해받는 상태다. 진정한 시민이라면 예속이 없어야 하며 경제적 자립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 (...) 이런 주장을 펼친 노동공화주의자들은 자유에 대한 자신들만의 사유를 통해 임금노동 자체의 철폐를 주장하고 나섰다. 전성기를 구가하던 19세기 말, 이들이 내놓은 생각은 능동적이며 때로는 전투적이었던 수백만의 노동자들을 매료시켰다. 탄광과 철도산업, 구두 공장에서 사탕수수 농장에 이르기까지 이들은 노동공화주의의 지지자가 됐다. 19세기 최대의 노동자 정치조직인 노동기사단(the Knights of Labor)에 가입했고, 자유 쟁취라는 희망을 부여잡고 격렬한 저항을 벌여 나갔다.


노동공화주의는 (...) 제도정치가 아닌 노동/생활영역의 공화화를 전면에 제시해 [현대 공화주의가 놓치고 있는] 누락의 지점을 드러낸다. 거대한 담론이 아니라 ‘작고 구체적인(그러나 중요한)’ 삶의 측면을 직접 겨냥하며 갱신을 시도한다. 신자유주의에 대한 낡은 비판으로 자위하지 않는다. 일상 속 깊숙이 침투해 3생(생명·생존·생활)을 파괴하는 ‘식인 자본주의(cannibal capitalism)’의 사태(N. Fraser)를 직시하고 노동/생활의 지평에서 삶(생명)·경제(생존)·문화(생활)의 대안을 풍요롭게 모색한다. 공공선의 관점에서 비지배 자유, 협력과 연대, 시민적 덕성을 노동의 장에 구현함으로써 ‘공화적 생활세계’를 열어 낸다. 동시에 이 새로운 세계에 적합한 ‘사회적/윤리적 감각’을 창조함으로써 현대 공화주의의 갱신을 완성한다. (...) 이 책의 저자 고레비치는 이 비판적 사유의 기원을 노동기사단에서 찾는 데 일단은 성공한 것 같다.


미국 노동 운동사의 한 장을 차지한 노동기사단은 노동의 장에 공화적 가치를 구현함으로써 개인적 해방과 사회적 공화를 꿈꿨다. 이론적 지도자였던 실비스(W. Sylvis)는 미국 혁명과 내전이 불완전한 정치혁명이라고 단언한다. 공화국이라는 정치 체제가 수립됐음에도 사회경제 체제는 임금노동제라는 새로운 형식의 노예제에 의해 지배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비스는 공화 체제의 보편적 자유와 임금노동제의 종속노동은 불화할 수밖에 없거니와 종속노동을 폐지하기 위해서는 “자본주의 산업시스템에 공화주의 가치를 기입”해야 한다고 보았다. 불합리한 지배를 제거하고 노동자 스스로가 주체인 삶을 살아가는 존재로 거듭나는 것, 이것이 노동기사단의 궁극 목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