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023 트렌드 모니터

2023 트렌드 모니터

(대중을 읽고 기획하는 힘)

최인수, 윤덕환, 채선애, 이진아 (지은이)
시크릿하우스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16,200원 -10% 0원
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600원 -10% 630원 10,710원 >

책 이미지

2023 트렌드 모니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023 트렌드 모니터 (대중을 읽고 기획하는 힘)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91192312293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2-10-25

책 소개

많은 경제 전문가들은 앞으로 상당한 불경기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큰 경제 위기에 직면한 대중 소비자들의 태도는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2023 트렌드 모니터≫는 2023년 변화의 핵심 키워드를 "통제의 방향 전환, '사회'에서 '나'로 회귀"라고 분석했다.

목차

서문_ 통제의 방향 전환, 내가 속한 사회에서 ‘나의 작은 일상’으로

Part 1. SOCIAL: 경험의 리버스, 달라진 세대 역할

Chapter 1. 목표 지향의 이대남 & 관계 중심의 이대녀
_젠더 갈등 확대, 연애 경험의 대리 만족
주목해야 하는 것은 ‘그 세대의 경험과 신념’
이대남과 이대녀는 대통령 선거에서 무엇을 기대한 것일까?
목표에 진격하는 이대남, 주변을 둘러보는 이대녀
조직 생활에 대한 편견, 새로 고침 필요
생각 차이 읽기: 부(富,) 성(性,) 그리고 혼밥
So what? 시사점 및 전망

[트렌드 뾰족하게 멀리 보기-1]
#글로벌 젠더 갈등 #연애 기피

Chapter 2. ‘부모를 가르치는 세대’의 탄생
_리버스 멘토링, 세대 크로스오버 콘텐츠, 삶의 자기주도성
‘이상한 나라의 부모님’
시작부터 기울어진 관계
‘새롭게’ 바라보니 회복되는 주체성
‘주체적인 선택’에 집중해야 하는 이유
스스로의 권리를 주장하기 시작한 10대
2030세대가 소득에 민감한 이유
스스로 문화를 주도해나가는 X세대
A세대의 등장
새롭게 떠오르는 질문, ‘나이’란 무엇인가?
So what? 시사점 및 전망

[트렌드 뾰족하게 멀리 보기-2]
#나이를 넘어 #세대 역할의 확장

Part 2. CULTURE: 콘텐츠 선택권의 나비 효과, 버티컬 취향 전성시대

Chapter 3. 셀럽의 영향력 약화와 5% 타깃
_선을 넘지 말 것, 대중적 영향력의 종말, 리얼리티에 열광
갑질에 대한 ‘국소적 분노’
연예인? 실력은 인정, 하지만 선을 넘지 마라
‘채널 돌리기’와 흡사한 ‘OTT 콘텐츠 선택하기’
발을 들인 이상, 돌아갈 수는 없다
리얼리티 선호, 그리고 ‘추천받은 내 취향’의 의미
So what? 시사점 및 전망

[트렌드 뾰족하게 멀리 보기-3]
#OTT의 추월 #리얼리티

Chapter 4. 중립지대, 이색과 익숙의 콜라보
_인증 소비 확산, 버티컬 취향, 평균의 종말
OTT, 오프라인과 공존하다
산업 전반의 ‘오프라인 쏠림’ 현상
인기 매장에 꼭 존재하는 ‘이것’
‘인증형 체험 소비 확산’의 의미는? 특별함 찾기
중립지대: 익숙함이 주는 안정감, 새로움이 주는 불안감 그 사이
So what? 시사점 및 전망

[트렌드 뾰족하게 멀리 보기-4]
#체험으로 연결 #레트로와의 콜라보

Part 3. LIFE: 시간, 돈, 인간관계의 선택적 소비

Chapter 5. 만성적인 외로움, 익숙하면서도 새로운 인간관계 찾기
_접촉 결핍과 낮은 공동체 의식, 모임 속 모임, 관계 복원 욕구
‘포옹’만 해주는 비즈니스가 성장하는 이유
외로움은 생각보다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익숙한 곳에서 만나고 싶지만, 약간 주저한다
인간관계의 조건, 동일 취향과 가치관
책은 그저 도울 뿐, 재미있는 대화를 원한다
So what? 시사점 및 전망

[트렌드 뾰족하게 멀리 보기-5]
#외로움 비즈니스 #행동주의 모임

Chapter 6. 돈과 시간 쥐어짜내기, 생존 재테크
_자기 계발의 귀환, 내 생활의 통제, 작고 사소한 습관의 힘
2003년, 그리고 2011년
티끌 모아 티끌? NOPE!
‘시간의 티끌’까지 모아 습관을 만들다
통제의 방향을 바꾸다: 내 일상의 선택적 집중
So what? 시사점 및 전망

[트렌드 뾰족하게 멀리 보기-6]
#지출 줄이기 #나에게 투자

Part 4. WORK: 재미와 의미, 어려운 시기를 견디는 방법

Chapter 7. 재택근무 경험이 가져온 ‘개인’주의 ‘조직’ 문화
_약한 유대, 낙인 효과 가속화, U세대의 등장
‘필패 신드롬’ 재조명
재택근무 경험, 관계와 소통에 주목하게 된 결정적 계기
So what? 시사점 및 전망

[트렌드 뾰족하게 멀리 보기-7]
#하이브리드 근무 #조용한 사직

Chapter 8. 뷰카(VUCA) 시대, 직장인으로 산다는 것
_‘작은’ 회식의 부활, 소수 집중의 인간관계, 문제는 ‘머니’
2030세대가 ‘직장 회식’에 대한 태도를 바꾸고 있다
결론은 또다시 ‘자기 계발’
자기 계발이 ‘몸’ 관리와 ‘돈’ 공부에 몰려 있는 이유
연봉만 많이 준다면 무슨 일이든 할 수 있다?
경험하면서도 자각하지 못하는 만족 요인: 직장 내 인간관계
So what? 시사점 및 전망

[트렌드 뾰족하게 멀리 보기-8]
#달라진 동기부여 #런치플레이션

[SPECIAL] 패널빅데이터 360도 분석
X-M-Z, 세대별 일상 분석 | 2022년 상반기 국내 관광 데이터 분석 | 명품 쇼핑 앱 360도 분석 | 맥주파 vs. 소주파, 주류 소비 패턴 분석 | 카테고리별 월간 앱 이용률 TOP 5 | 카테고리별 월간 방문율 TOP 5 | 카테고리별 월간 결제율 TOP 5

미주

저자소개

최인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마크로밀 엠브레인 대표이사 산업공학 박사. 한국조사협회(KORA) 회장과 서울시정개발 여론조사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 2020년 코스닥 시장에 엠브레인 상장을 성공시켰다. 기업의 내실과 외적 성장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일만 남았다. 방배동으로 사옥 이사 후, 사람들을 회사 1층 카페로 초대해 밥 사고 술 사는 걸 좋아한다.
펼치기
윤덕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마크로밀 엠브레인 이사 문화심리학 박사. 7년 동안 국립 인천대에서 겸임교수로도 일했다. MBC, KBS, YTN 등 여기저기 나온다. 강의도 무지 많이 하며, 현재 〈엠브레인 트렌드줍줍〉 유튜브를 진행한다. 평일에 얼굴 보기 힘들다. 회사에 사람이 없을 때 출근하는 이상한 습관은 여전하다. 부자들의 삶을 부러워만 한다. ▶ 유튜브 「엠브레인 트렌드줍줍」 www.youtube.com/@trendjoob
펼치기
채선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마크로밀 엠브레인 컨텐츠사업부 부서장 현재 컨텐츠사업부 총괄 부서장. 문화심리학 석사. YTN을 거쳐 현재 마크로밀 엠브레인에서 ‘뼈묻’ 중. 직급 가리지 않고, 톤 앤 매너 일정한 올곧은(?) 직장인. 라디오를 진행한 적 있고, 강의도 하고, 여기저기 글도 기고한다. 1년에 몇 번 궁서체를 쓸 때가 있는데, 이때만 잘 피하면 사이좋게 지낼 수 있는 왠지 무서운 쎈 언니.
펼치기
이진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마크로밀 엠브레인 컨텐츠사업부 매니저 대학에서 행정학을 전공했다. 막내 때부터 지금까지 차‧부장급 포스 물씬 풍기는 직장인. 콘텐츠 기획과 분석 등 뭔가 중요한 일을 엄청 많이, 속도감 있게, 심지어 잘 해낸다. 일이 진짜 많은데, 남들이 보면 일이 없는 줄 안다. 알고 보면 다 하고 노는 건데. 적당히 쇼잉도 필요하다고 잔소리하게 만드는(?) 요즘 보기 드문 인재상.
펼치기

책속에서

이제 ‘내가 무언가를 바꿀 수 있는’ 대상은 오직 ‘나 자신’뿐이다. 그래서 지금 많은 사람들은 지출을 줄이고, 시간을 계획하고, 의미 있는 기억과 경험 그리고 사람에 돈과 시간을 집중하고 축적하려고 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조직 생활에 대한 태도도 바뀌고 있다. _ ‧ <서문> 중에서


세 번째 시사점은, 탈세대 역할론이 부각되면서 ‘세대 크로스오버’ 콘텐츠가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이를테면 아이를 키우는 10대 부모의 이야기나 완숙미, 노련미로 대변되는 ‘어르신(老人)’들의 새로운 경험과 도전 등의 이야기를 담은 콘텐츠 등이다. 특히나 노년의 삶 자체가 하나의 자산인 인생의 대선배가 주축이 된 콘텐츠는 대중들에게 더욱더 많은 주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_ ‧ <‘부모를 가르치는 세대’의 탄생> 중에서


문화 콘텐츠 비즈니스의 관점에서 보면, ‘온 가족이 모여 보는’ 이라든가, ‘모든 시청자’를 만족시키는 시장이란 거의 존재하지 않거나 대중의 흥미를 끌지 못한다. ‘개인 취향’이라는 이름의 다양한 가치관을 드러내는 프로그램들이 쏟아지고 있다. 이혼한 남녀의 재혼, 남성 동성애자들의 연애, 성행위를 포함한 남녀 연애 프로그램, 고등학생들의 출산과 양육을 소재로 한 프로그램 등 이전에는 금기에 가까운 이슈나 주제들이 OTT 서비스라는 새로운 ‘제도권 방송’으로 진입하고 있는 것이 이런 현실을 방증한다. _ ‧ <셀럽의 영향력 약화와 5% 타깃>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2312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