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91192312644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3-10-13
책 소개
목차
서문_ 피드백 없는 사회, 질주하는 개인 취향
Part 1. SOCIAL: 어덜티즘, 이기적 어른들의 사회
Chapter 1. 어른이 없는 시대, 어른을 찾다
2023년 베스트셀러 흐름의 변화 키워드 2가지
40대 이상에게 불황은 ‘몸의 기억’이다
‘구체적 길거리 지식’ 결핍이 만든 베스트셀러
어른이 필요한, 어른의 부재 시대
So what? 시사점 및 전망
[트렌드 뾰족하게 멀리 보기-1] #부메랑족 #몬스터 페어런트
Chapter 2. 평균 회귀, 어중간함의 확장
상반된 소비 공존, ‘거지방’과 ‘디브’
‘BORN TO BE가 아닌 이상…’ 비로소 현실 자각
또 발목을 잡는 SNS
알게 된 만큼 보인다, 지금 문제는 ‘기준’이다
So what? 시사점 및 전망
[트렌드 뾰족하게 멀리 보기-2] #新명품 #SNS 디톡스
[패널빅데이터] Insight Ⅰ. 〈폐쇄형 SNS〉주 이용 타깃 분석
Part 2. Work: 피드백, 개인과 조직이 살아남는 법
Chapter 3. 세대 레이블링이 낳은 편견
노동계 핫이슈마다 소환되는 ‘그들’
‘MZ세대는 문제가 있어’라는 프레임
세대의 문제가 아니라 입장의 문제다
‘이직’과 ‘퇴사’에 대한 동상이몽
조직에 충성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삶에 충실한 것일 뿐
‘MZ세대는 사회성이 없어’라는 프레임
So what? 시사점 및 전망
[트렌드 뾰족하게 멀리 보기-3] #부업 허용 #DEI
Chapter 4. 능력주의, 자본 소득 필수 사회
‘목돈’을 얻게 된 희망퇴직자를 부러워하다
‘거지방’ 유행의 사회적 의미: “우리는 거지다”라고 부르는 것을 받아들인다
사회적 배경, 자원, 인간관계를 총동원해서 만든 성과가 곧 ‘능력’
노동 소득만으로는 충족할 수 없는 계층 상승 욕구, ‘불로소득’을 재정의하다
So what? 시사점 및 전망
[트렌드 뾰족하게 멀리 보기-4] #낮아지는 소명 의식 #네포 베이비
[패널빅데이터] Insight Ⅱ. 직장인 소득 수준에 따른 주 이용 앱(App) 분석
Part 3. LIFE: 시(時)성비, 시간이 곧 돈이다
Chapter 5. ‘나’ 중심으로의 선택적 경험들
新멤버십 대전
지금은 옥석 가리기 전쟁 중
‘쩐의 문제’가 낳은 감정의 소용돌이
‘현재’에서 나아지기 위한 두 가지 전략
So what? 시사점 및 전망
[트렌드 뾰족하게 멀리 보기-5] #시(時)성비 #실속 소비
Chapter 6. 폐쇄형 인간관계, 하이볼의 사회학
다시 시작된 음주 문화, 그런데 술 종류가 달라졌다
하이볼의 간략한 역사, 그리고 하이볼이 ‘뜨는’ 이유
함께보다 ‘혼자’ 한잔하는 것이 마음 편한 이유
우리는 어떤 사람을 ‘친구’라고 부르고 있을까?
So what? 시사점 및 전망
[트렌드 뾰족하게 멀리 보기-6] #임시 친구 #저도주 시장 지각변동
[패널빅데이터] Insight Ⅲ. ‘옥석 가리기 소비 전략’이 끼친 OTT 지형 변화
Part 4. CULTURE: 빨리 감기와 영트로 문화
Chapter 7. ‘빨리 감기’라는 중독
시청 습관을 바꾸게 될 ‘이 기능’을 추가하다
이제 거의 모든 영상을 ‘건너뛰면서’, ‘빨리 감기’로 본다
이제 ‘1분’도 답답하다, 숏 클립으로 짧고 빠르게
시청 습관의 변화, ‘빨리 보기’ 그리고 뇌의 정보 과부하
‘빨리 감기’ 시청의 미래, 뇌는 더 큰 자극을 원한다
So what? 시사점 및 전망
[트렌드 뾰족하게 멀리 보기-7] #슬러지 콘텐츠 #공정성 대신 매운맛
Chapter 8. 영트로, 이색 서사로 진화한 新복고 세계관
장수 브랜드는 콜라보 중
장수 브랜드뿐만이 아니다?
돌고 도는 유행, 2011~2012년 그리고 2018~2019년
양상이 좀 다른, 또 다른 복고의 등장
So what? 시사점 및 전망
[트렌드 뾰족하게 멀리 보기-8] #재소환 콘텐츠 주의보 #장수 브랜드의 변신
[패널빅데이터] Insight Ⅳ. 서울 주요 상권(거리) 성장률 Top 5&요일별 방문율 분석
미주
리뷰
책속에서
마크로밀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분석한 2023년 대중 소비자들의 삶에서 가장 큰 결핍은 바로 ‘피드백’이 부재하다는 것이다. 이런 대중 소비자들의 피드백 결핍 현상은 조직 내에서 가장 뚜렷하게 관찰되고 있다. 《2024 트렌드 모니터》는 직장 생활에서의 ‘MZ세대’라는 표현이 일종의 편견에 근거한 ‘딱지(라벨, 레이블)’일 수 있다고 분석한다. 그리고 이 편견을 완화하지 못한 과정은 조직 내에서 상호 간에 원활한 피드백의 부재에 기인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단순히 ‘주고받는 영혼 없는 말’이 아니라 무엇이 잘못되었고, 무엇이 칭찬받을 만하며, 무엇이 올바르고, 무엇이 문제가 있을 수 있는가에 대한 구체적 소통이 부족하기 때문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_<서문> 중에서
《세이노의 가르침》의 베스트셀러화는 일종의 사회현상이다. 대형 출판사 또는 마케팅 전문가들의 홍보나 마케팅이 전혀 개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존의 장수 팬들이 책을 수면 위로 끌어내고, 이것에 대해 20~50대들이 열광적으로(혹은 굉장한 반감으로) 반응한 현상이기 때문이다. 현실을 직시하게 해주고, 직접적인 문제 해결 과정을 보여주는 반면, 욕설과 특정인(등)에 대한 비하가 난무하는 이 ‘길거리 지식’과 ‘술자리 지식’에 격렬하게 반응하는 한국 사회의 현실에는, 바로 ‘어른의 부재감’이 내포되어 있다.
_
이 프레임은 위 세대에게 회사나 조직에서의 다양한 이슈 ‘발생 원인’과 ‘해법’을 그들과 조직의 문제가 아닌 ‘특이한 MZ세대’의 문제로 단순화하는 경향성을 만들어냈다. ‘세대 분리’와 ‘2030=MZ세대’라는 지적 게으름에 빠지게 만든 것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회사 생활에서 발현되는 이슈 중 상당 부분은 ‘세대’의 문제라기보다 각 연령별 조직 구성원의 ‘가치관’이나 ‘입장’의 차이 때문이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그리고 이런 입장 차이는 업무에서나 회사 생활 속에서의 소통이 크게 부족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일 수 있다. 소통과 피드백을 통해 서로의 가치관과 입장을 공유하고 기존에 가지고 있는 편견을 깰 수 있는 기회 자체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부정적 MZ세대’라는 이미지 프레임은 조직 사회 내부의 피드백 부재라는 거대한 결핍의 결과일 수 있다.
_